조소카베 모토치카 (長宗我部 元親)

1599 5 19일 병사(病死) 61.

1539 ~ 1599.

토사(土佐) 오코우(岡豊)성주(城主). 부친인 쿠니치카()의 뒤를 이었다. 반농반병(半農半兵)의 무사인[이치료우구소쿠(一領具足)]를 활용하여 시코쿠()를 통일하지만,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에게 항복하여 토사(土佐) 일국()를 안도(安堵[각주:1])받았다. 후에 히데요시를 도와 임진왜란에도 출병하였다.








후계자 문제


 [시코쿠()의 패자(覇者)]가 된 쵸우소카베 모토치카이지만 곧이어 토요토미노 히데요시의 침공을 받고 항복하여 결국 토사(土佐) 일국()의 다이묘우(大名)가 되어 버린다. 그 후에 모토치카는 [모토치카 백개조(元親百箇)]에서도, “히데요시님에게서 내려오는 명령은 어떤 일이건 따를 것이라 규정하는 등 히데요시를 위해서 헌신적이라고 할 정도로 따랐다.


 히데요시의 명령에 따라 큐우슈우(九州) 출병이 한창이던 1586 12 14일.

 붕고(豊後) 베츠기가와(次川) 강에서 벌어진 시마즈 씨(島津)와의 전투에서 모토치카는 가장 사랑하던 첫째 아들 노부치카(信親) 700여명의 장병(將兵)과 함께 잃게 되었다. 모토치카의 낙담은 상상 이상으로 히데요시는 오오스미()()을 하사하여 위로하려 했지만 모토치카는 이를 사양하였다.

 노부치카는 가신들의 신뢰도 두터웠으며 또한 모토치카도 노부치카에게 굉장히 기대하였다. 그 때문에 후계자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그것은 모토치카만의 문제가 아니고 가신들 끼리도 여러 가지 이해관계가 교차하고 있었던 듯하다.


 모토치카는 넷째 아들인 모리치카(盛親)를 귀여워하고 있었기에 모리치카에게 가독(家督)을 잇게 하려 하였다. 이러한 가중의 내분을 수습하기 위해서 모토치카는 반대파를 숙청했다. 의견을 낸 일족의 키라 치카자네(吉良 親[각주:2])나 히에야마 치카오키(比江山 親興[각주:3])에게는 할복을 명령하는 등 무거운 처벌이 내려졌다.


 모토치카는 결국 둘째인 카가와 고로우지로우 치카카즈(香川 五 親和), 셋째인 츠노 마고지로우 치카타다(津野 孫次 親忠)가 아닌 넷째 센쿠마마루(千熊丸 후에 모리치카)를 후계자로 선택하였다. 그리고 사자(使者)를 상경시켜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각주:4])에보시오야(烏帽子親[각주:5])로 삼아 센쿠마마루의 성인식(元服)을 치르게 하여 우에몬타로우 모리치카(右衛門太郎 盛親)라 이름을 갖게 해서 후계자로 결정한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둘째 치카카즈는 스스로 단식(斷食)하여 굶어 죽었다고 한다. 후계자는 노부치카의 전사 후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나 겨우 정해졌다.


모토치카의 말년.


 어쨌든 후계문제를 해결한 모토치카는 영내(領內)에 토지조사인 검지([각주:6])를 실행하여 영국(領國) 지배를 확립함과 동시에 오고우(岡豊)에서 이전했던 오오타카사카 성(大高坂)에서 한번 더 해상 교통의 거점인 우라도 성()으로 거성(居城)을 옮겼으며 1597년에는 [쵸우소카베 모토치카 백개조(長宗我部元親百箇条)]를 제정하여 법령을 정비하였다. 그와 더불어 히데요시의 요청에 따라 오다와라(小田原) 출병이나 조선 출병 등에 종군(從軍)하여 싸움터에서도 공을 세웠다.

 모토치카는 모리치카를 제 앞가림은 하는 무장으로 키우고자 싸움터는 물론 여러 곳을 데리고 다니거나 했기에 여생을 즐길 여유 같은 것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던 중 1596 8월에 에스파냐 선적인 '산 펠리페' 호가 우라토에 표착하는 사건도 일어났다[각주:7]


모토치카의 최후


 그러던 중 토요토미노 히데요시가 1598 8 18일에 병으로 죽었다. 히데요시를 존경하고 따르던 모토치카는 충격을 받은 듯 하다.


 1599 3월.

 모토치카는 셋째 아들인 츠노 치카타다를 유폐하였다. 조선 출병에 종군하여 전공도 세운 치카타다는 동생 모리치카가 후계자가 된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던 것이다. 이 처분은 가신 히사타케 쿠라노스케(久武 内蔵[각주:8])의 책모에 위한 것이라 여겨지지만, 모토치카 자신도 사려가 결여되어 있었을 가능성도 있으며 동시에 육체적으로도 쇠약(衰弱)해 있었던 듯 하다.


 병이 조금 나아 소강상태가 된 4 23.

 모토치카는 모리치카와 함께 상경하여 토요토미노 히데요리(豊臣 秀)를 알현하였다. 그러나 모토치카의 몸은 결코 좋은 편은 아니어서 오오사카(大坂)나 쿄우토(京都)의 명의(名醫)들이 달려들었지만 결국 5 19일 모토치카는 후시미(伏見)의 저택에서 이 세상을 떠났다. 향년 61.


 죽기 9일 전인 5 10일에 모리치카를 머리맡으로 불러 싸움터에서의 마음 가짐 등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한다. 유해(遺骸)는 텐류우 사()에서 화장(火葬)하였고, 유골은 토사(土佐)로 보내져, 나가하마(長浜)의 텐보(天甫)()에 묻혔다.


 말년의 모토치카는 자기 주장을 굳히지 않는 고집쟁이가 되었던 듯하다. 1600 9월 세키가하라(ヶ原)에서 모리치카는 서군(西軍)에 속하여 모토치카가 목숨 걸며 지켜왔던 토사를 빼앗겨 버린다.

텐보산(天甫山)에 있는 모토치카의 묘[코우치(高知)시(市)]

  1. 원래 가지고 있던 영지를 계속해서 영유할 수 있도록 인정 받음. [본문으로]
  2. 모토치카의 조카가 된다. [본문으로]
  3. 모토치카와는 사촌형제. [본문으로]
  4. 오봉행(五奉行) 중의 한 명. [본문으로]
  5. 성인식(元服) 때 에보시를 씌어 주며, 자신의 이름 중 한 글자를 성인식을 치루는 에보시고(烏帽子子)에게 붙여주는 사람. [본문으로]
  6. 정확한 수확량을 측정하여 세금을 낼 양을 정함. [본문으로]
  7. 당시 선교사 추방령(1587년)이 내려져 있었지만, 무역의 이익때문에 히데요시는 철저한 단속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필리핀을 떠나 멕시코로 향하던 에스파냐 국적의 산 펠리페 호가 태풍을 만나 파손되어 수리를 받기 위해 우라토에 입항. 히데요시는 조사관으로 마시타 나가모리를 파견하였는데 항해사 중 하나가 ‘에스파냐가 광대한 영토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기독교의 포교와 선교사들의 활약 덕분이다’라는 말을 듣고, 기독교의 목적은 자국의 식민지화라는 것이라 깨달은 히데요시는 이후 기독교 금지를 철저히 하기에 이른다. [본문으로]
  8. 치카나오(親直)를 말한다. 형인 히사타케 치카노부(久武 親信)가 지 동생 쓰면 가문멸망할 것이니 쓰지 말라고 할 정도였다. [본문으로]
하치스카 이에마사[蜂須賀 家政]

1636 12 30일 병사(病死) 81.

1559 ~ 1638.

하치스카 마사카츠[蜂須賀 正勝]적남(嫡男). 키노시타 토우키치로우[木下 藤吉郎]를 섬기며 아네가와 전투[姉川の戦い]에서 데뷔전. 시코쿠[] 공략의 전공(戰功)으로 아와[阿波] 일국()을 하사 받았다. 조선 침략 시에는 위기에 빠진 아사노 요시나가[野 幸長]를 구출하는 활약을 하였고 은거 후에도 적자 요시시게[鎮]를 보좌하였다.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과 이에마사

 

 1600 9월.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에서 토요토미 계[豊臣系] 무공파(武功派) 다이묘우[大名]의 유력 무장으로 여겨지던 하치스카 이에마사는 - 아직 14살인 적자 요시시게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토쿠가와 이에야스[川 家康]의 동군에 종군시키는 한편 자신은 영지를 히데요리에게 반환하고 아와[阿波]를 나와서 은거. 머리를 깎고 '호우안[蓬庵]'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코우야 산[高野山]에 올랐다[각주:1].

 이것이 효과를 발휘해 아와[阿波] 일국은 요시시게에게 새로이 주어졌다.[각주:2]

 

 이에마사는 아와[阿波]로 돌아와서 카츠우라 군[勝浦郡] 나카다 촌[中田村]의 은거소(코마츠시마 시[小松島市])에서 여생을 보낼 생각이었다.

 하지만 세상은 여전히 센고쿠(戦国).

 1605년 아와 군[阿波郡] 이치바 쵸우[市場町]에 호우안의 서명으로 마을 법률을 반포하는 등, 요시시게의 뒤에서 번()의 정치를 보좌하는 한편 쇼우군 토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秀忠]나 이이 가문[井伊家] 등 - 토쿠가와 가문[徳川家]의 중신(重臣)과 연락을 자주 하여 하치스카 가문[蜂須賀家]과 토쿠가와 막부(幕府)와의 파이프를 강고히 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1614 8월.

 은거소에서 200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토요토미노 히데요리[豊臣 秀)에게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히데요시의 목상(木像)을 받든 호우코쿠 신사[神社]를 세웠다. 이 해 10월에 오오사카 겨울 전투[大坂 冬の陣]이 일어났기에 이 사실은 이에마사를 이야기하는데 있었서 굉장히 흥미롭다.

 

편히 쉬려던 여생이……

 

 어쨌든 오오사카 여름 전투[大坂 夏の陣]에서 토요토미 씨가 멸망하여 천하가 토쿠가와의 것이 되자, 요시시게는 전공(戰功)에 의해 아와지[淡路] 일국()이 더해져 25 7천석의 다이묘우[大名]가 되었다.

 

 1618년.

 요시시게도 착실히 성장하여 농민정책을 중심을 한 '벽서 23개조[壁書二十三条][각주:3]라는 국법을 제정하여 번정(藩政) 확립에 힘썼다.

 이에마사도 안심했을 것이다. 번정은 전부 요시시게에게 맡기고 편히 여생을 즐기려고 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역사는 이에마사를 쉬게 나두질 않았다.

 1620 2 26일.

 하치스카 요시시게가 35살이라는 한창 일할 나이에 토쿠시마 성[城]에서 병으로 죽어버린 것이다.

 4월에 그 뒤를 센마츠마루[千松丸 = 타다테루[忠英]]가 이었지만 아직 10살이라는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이에마사는 나카다 촌()의 은거소에서 토쿠시마 성의 서측 성곽[西丸][각주:4]으로 옮겨 와, 어린 번주(藩主)를 후견하여 1629년 병으로 누울 때까지 사실상 이에마사가 통치를 계속 하게 된 것이다.

 

 그때 가노(家老)[각주:5]나 모노가시라[物頭][각주:6] 등 주요 가신들에게 대하여 몇 가지 지시를 내렸다.

 

 번주가 어린 동안에는 모노가시라가 모든 것을 처리할 것.

 주인이 어린 동안에는 각자가 자기 할 일은 확실히 할 것.

 공공(公共)의 일은 밤낮없이 봉사할 것.

 어떤 일이건 사사로운 감정을 넣지 말 것.

 

 등의 지시를 내렸다.

 또한 에도[戸] 루스이야쿠[留守居役][각주:7]에게도 에도 저택의 운영에 대해서 4개조의 지시를 내렸다.

 

 이에마사는 하세가와 에치젠[長谷川 越前]이나 외손자인 하치스카 야마시로[蜂須賀 山城][각주:8]를 가로(家老)로 삼아 센마츠마루를 보좌시켰다.

 참근교대(交代)[각주:9] 할 때에도 이에마사가 같이 갔다.

 이에마사는 번정의 확립에 큰 역할을 이룸과 동시에 노련함을 무기로 바쿠후가 흠잡을 만한 일이 없도록 노력했다.

 

 1623년에는 쿠니부교우[奉行]를 설치하여 지방 행정의 정비를 꾀했고,

 1627 7월에는 요시시게의 '벽서 23개조'를 보완하는 의미에서 '이서 7개조(裏書七)'를 제정하였다.

 센마츠마루는 1623년에 아와노카미 타타시게[阿波守 忠鎮]라 이름을 바꾸고, 다음 해 봄에는 타다테루(忠英)라 고쳤다.

 

 그 후에도 이에마사는 신전(新田)개발이나 염전(鹽田)개발에도 힘을 쏟았다.

 또한 매년 에도에 가서는 막부와의 파이프를 더욱 강고히 했으며 죽기 직전까지 이에마사가 가신들에게 영지를 배분하는 문서를 쓰는 등 번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이에마사의 언행을 기록한 [존어집(尊語集)]에는,

 어린 타다테루의 늦잠을 고치라고 한 말이나, 가신들이 타다테루가 자신들을 함부로 다루는 것에 대해 상담하러 왔을 때, '어렸을 때는 그런 법이다'라며 타다테루를 감싸는 듯 하다가, 에도로 출발하기 전에 인사를 올리러 온 타다테루에게 정원에 있는 개나 참새를 자신의 뜻대로 다루는 것을 보여준 뒤 새나 동물도 이렇게 자신을 따르게 할 수 있으니 부하에게 정을 주고 위엄을 가지고 가르치면 충의를 행하지 않는 자는 없다고 말한 부분이 보인다.

 

 1638 12 23일.

 토쿠시마 성[城] 서측 성곽에서 죽었다 81.

 번정의 확립을 자신의 눈으로 끝까지 지켜본 일생이었다.

코우겐 사[興源寺]에 있는 이에마사의 묘 - 토쿠시마 시[徳島市]


  1. 속세를 버리고 중이 되겠다는 의미. [본문으로]
  2. 이에마사는 서군 편에 섰다, 혹은 병에 걸렸었기에 오오사카[大坂]에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본문으로]
  3. 벽서(壁書)란 법령을 적은 종이나 나무를 벽에 붙인 것을 말한다. [본문으로]
  4. 에도시대 때. 보통 서측 성곽[西の丸]은 다이묘우[大名]가 은거하며 머무는 곳이었다. [본문으로]
  5. 가문의 수상(首相) 격 [본문으로]
  6. 중급 관리자. [본문으로]
  7. 에도[江戸]에 있는 번(藩)의 저택의 책임자. [본문으로]
  8. 하치스카 야마시로의 증조부는 코마키-나가쿠테 전투[小牧-長久手の戦い]에서 죽은 이케다 츠네오키[池田 恒興]이다. [본문으로]
  9. 참근(参勤)은 쇼우군에게 봉사한다는 의미, 교대(交代)는 봉사를 쉬고 자기 영지로 돌아가 정무를 맡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1년 터울로 에도와 자기 영토를 왔다 갔다 했으며 처자식은 인질로 에도에 항상 남겨 두었다. [본문으로]

깃카와 모토하루[吉川 元春]

1586 11 5일 병사(病死) 57.

1530 ~ 1586.

모우리 모토나리[毛利元就]의 둘째 아들. 호족 킷카와 가문[吉川家]을 상속하였다. 이츠쿠시마 전투[島の戦い]나 아마고 가문[尼子家] 평정 등에서 공을 세웠다. 동생인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 隆景]와 함께 '모우리 양 천[毛利 [각주:1]]'이라 일컬어 졌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요청으로 큐우슈우[九州]로 출전하지만 코쿠라[小倉]에서 죽었다.








무패의 명장


 킷카와 모토하루는 센고쿠[戦国] 굴지의 실전적(實戰的)인 명장(名將)이다.

 1530년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의 둘째 아들로 아키[安芸] 요시다[吉田] 코오리야마 성[郡山城]에서 태어나 1541 12살의 나이에 아마고 하루히사[尼子 晴久]와의 코오리야마 농성전(籠城戰)에서 처음 데뷔전을 치뤘다. 이후 싸움터를 내달리길 80회에 가까웠고 그 중 64번의 싸움에서는 승리했다[각주:2].


 명장(名將)은 명장을 안다고 한다.

 운명의 장난인지 스에 타카후사[陶 隆房=晴賢]와는 의형제의 맺을 정도의 사이였다.

 아키[安芸] 신쇼우[新荘]에 입성하여 킷카와 가문 중흥(中興)의 시조가 되어서는 동생인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 隆景]와 더불어, () '카와[川]'를 짊어지고 모우리 양 천[毛利両川]의 일익을 담당하며 모우리 종가(宗家)의 융성(隆盛)을 위해 분주한 일생이었다그런 모토하루이기에 말년이 한가롭고 평온할 턱이 없었다.


은거를 바라는 나날들


 모토하루가 은거를 결심한 것은 그때까지 항상 공세에 서서 전쟁을 벌였던 것이 빗츄우[備中] 타카마츠 성[高松城]을 둘러싼 히데요시 군()과의 대결에서는 항상 수세로 돌아서 버린 때부터이다. 공격형인 모토하루로서는 히데요시에게 굴복한 것에 정신적으로 견딜 수가 없었다.

 더구나 혼노우 사의 변[本能寺の変]을 알지 못한 채(알고 있었다고 생각되는 사료도 있다), 감쪽같이 히데요시의 술책에 넘어가 싸움을 멈추고 타카마츠 성장(城將)시미즈 무네하루[清 宗治]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등의 실책이 모토하루를 정신적으로 궁지에 몰아 넣었다.


 1582 12 20일.

 "늙었기에 가문을 모토나가[元長]에게 물려준다"(江譜拾遺)고 하고선 곧바로 은거해 버렸다. 모토하루 53, 눈이 내리는 날이었다.

 은거 후, 일본의 중앙에선 노부나가[信長] 사후의 주도권 쟁탈전이 일어나 히데요시 대 시바타 카츠이에[柴田 勝家] 등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 때 히데요시, 카츠이에 쌍방에서 자기들을 도와달라는 요청이 왔지만 모토하루는 신중히 양 진영(陣營)을 관찰했다. 결국 히데요시의 확고한 자신감과 실행력이 가득 쓰여진 편지를 보고 이후는 히데요시 편에 서기로 했다.


 그러나 히데요시와의 영지(領地) 문제에서 코지마 반도[児 半島][각주:3]를 빼앗겼고, 거기에 모토하루가 가장 귀여워하고 있던 셋째 아들 츠네노부[経信]와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의 양자(養子)인 모토사토[元総][각주:4]를 히데요시에게 인질로 바치는 등 굴욕적인 타협을 참으며 모우리 종가의 안태(安泰)를 위해 노력하였다.

 참고로 츠네노부는 후에 이와쿠니[岩国] 킷카와 가문의 시조(始祖)가 되는 히로이에[広家][각주:5] 그 다음 해에는 귀국을 허락 받았다. 모우리 안태를 위한 인질을 바친 셈으로 모우리 종가의 테루모토[輝元]는 츠네노부에게 오키[隠岐] 일국(一国)를 하사하는 등 공로를 인정하여 모토하루의 마음 고생에 보답하였다.


 히데요시는 키이[紀伊] 공략을 끝내자 시코쿠[四国]의 쵸우소카베[長宗我部] 공략에 임하여 모토하루에게도 출진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모토하루는 히데요시의 뜻에 따르는 것을 거부하여 은거인 몸이라는 이유로 큰 아들 모토나가를 대신하여 보냈다. 모토하루를 대신한 킷카와 가문과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 隆景]의 모우리 양 천[毛利両川]은 시코쿠[四国]를 파죽지세로 진격했다. 쵸우소카베[長宗我部]와 싸우던 1585 7월에는 난죠우 모토츠구[南条 元続]에게 시코쿠[四国] 침공으로 방비가 허술해진 호우키[伯耆] 카와라야마 성[河原山城]을 빼앗기는 사태가 발생하지만 노련한 모토하루는 곧바로 배다른 동생인 스에츠구 모토야스[元康][각주:6]에게 명령하여 이를 탈환케 하였다.


모토하루 최후



 그 후도 모토하루가 바라는 편온한 은거 생활의 희망이 이루어지는 일 없이 결국 모토하루의 마지막 출진의 날이 다가온다.


 1586년.

 시마즈 요시히사[島津 義久]는 큐우슈우[九州] 통일을 목표로 붕고[豊後]의 오오토모 소우린[大友 宗麟]을 공격하였다. 히데요시는 시마즈를 토벌하기 위해 모우리 테루모토를 대장으로 삼아 백전연마의 노장 모토하루에게도 출진을 지시하였다. 동생인 타카카게에게 이요[伊予]를 하사한 것처럼, 출진만 한다면 모토하루에게 치쿠젠[筑前] 일국(一国)을 주겠다고 하였다. 모토하루는 히데요시의 명령을 따르고 싶지 않았지만 모우리 종가를 위해서는 출진할 수밖에 없었다.


 1586 8 19일.

 모토하루는 모토나가, 츠네노부를 거느리고 아키[安芸] 신쇼우를 출발하여 사에키 군[佐伯郡]의 오가타[小方]에서 배를 타고 건너가 코쿠라 성[小倉城]을 공략했다. 모우리가 공격해 왔다는 소식을 들은 시마즈는 어쩔 수 없이 공격 중이던 치쿠젠[筑前] 타치바나야마 성[立花山城] 포위를 풀고 히고[肥後] 야츠시로[八代]로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농성하고 있던 타치바나 성주(城主)인 타치바나 무네토라[立花 統虎 = 후의 무네시게[宗茂]]는 성을 나와 시마즈 군()을 추격하여 치쿠젠의 타카토리이 성[高鳥居城]을 공략하고, 이와야 성[岩屋城]과 호우만 성[宝満城]을 탈회하였다.


 이때 모토하루는 부스럼(통증이 심했다고 하며 경과를 봐서는 피부암이라 추정된다)이 나서 코쿠라 성에서 요양하고 있었다. 아들인 모토나가는 쾌유를 바라며 사찰에 명해 기도를 올리게 하였고, 테루모토도 의사를 파견하여 치료를 하게 했지만 낫는 일 없이 11 5일 코쿠라 성()에서 죽었다. 향년 57.

  1. 모토나리가 구축한 모우리 가[毛利家]의 군사-정치 조직. 모토나리의 둘째와 셋째 아들을 양자로 보낸 킷카와나 코바야카와 가문에는 '카와[川]'라는 글자가 들어갔기에 이러한 이름이 되었다 [본문으로]
  2. 위키에 따르면 76전 64승 12무승부 였다고 한다. [본문으로]
  3. 당시는 간척 사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코지마 섬이었다. [본문으로]
  4. 모우리 모토나라의 9번째 아들. 후에 모우리 히데카네[毛利 秀包] [본문으로]
  5. 세키가하라에서 모우리 군단의 움직임을 막아 동군을 유리하게 한 인물. [본문으로]
  6. 모우리 모토나리의 8번째 아들 [본문으로]
모리 데루모토[毛利 輝元]

1625 4 27일 병사(病死) 73.

 

1553 ~ 1625.

모우리 타카모토[毛利 隆元]의 장남. 할아버지인 모토나리[元就]가 죽은 뒤 가독 상속. 츄우고쿠[国] 지방에 120여 만석을 영유(領有)하며 토요토미[豊臣] 정권의 오대로(五大老)[각주:1] 중 한 명이 된다.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에서 서군(西軍)의 총사령관이 되지만 패하여 스오우[周防], 나가토[長門] 2개 국[]으로 감봉(滅封). 쵸우슈우 번[長州藩]번조(藩祖)가 되었다.

 

 




 


은거와 오오사카[大坂]의 전투

 

 테루모토는 1553 1 20일에 아키[安芸] 코오리야마 성[郡山城]에서 모우리 타카모토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타카모토의 급사(急死)로 인하여 할아버지인 모토나리의 후견(後見)을 받아 11살에 성인식을 치렀다.

 젊어서부터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 등을 상대하며 성장했다.

 

 히데요시의 말년에는 오대로(五大老)라는 중직에 임명되어 츄우고쿠[国] 지방 9개국() 120만석의 거대 다이묘우[大大名]로 군림하고 있었다.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에서는 서군의 총사령관이면서도 중요한 때 움직이지 않았다.

 

 테루모토는 세키가하라[ヶ原]에서 지자마자 머리를 깎고 '겐안소우즈이[幻庵宗瑞]'라는 호를 칭하였다. 스오우[周防], 나가토[長門] 2개국()으로 감봉 되어, 번(藩)의 수도를 찬 바람이 휘몰아치는 북쪽 해변의 땅 하기[萩]로 하는 이봉(移封)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때부터 테루모토의 말년이라고 해야 할 지도 모르겠지만 아직 쉬기에는 일렀다.

 

 오오사카 공성전[大坂の役]에서는 토쿠가와 씨[徳川氏]에 대한 충성과 히데요시가 죽을 때 말한 '히데요리를 부탁한다'라는 유언 사이에서 고심한 끝에 토요토미 가문[徳川家]에 대한 마지막 봉사라는 의미로 극비리에 토요토미 히데요리[豊臣 秀頼]에게 사노 도우카[佐野 道可]라는 인물을 파겼하였다.

 사실 사노 도우카라는 것은 위명(僞名)으로 정체는 필두(筆頭) 노신(老臣)인 시시도 모토츠구[宍戸 続]의 동생인 나이토우 모토모리[藤 元盛]였다.

 테루모토는 도우카에게 병량(兵糧) 1만석()[각주:2]을 대신한 황금(黃金) 500매를 주고서는 그의 가족과 자손은 확실히 뒤를 돌보아 줄 테니 걱정 말라며 오오사카 성[大坂城]으로 입성시켰다.

 , '만약 토요토미 쪽이 이겼을 때는 모우리 씨[毛利氏]에게 10개국()을 줄 것'이란 약속을 히데요리와 맺었다.

 

 그러나 토요토미 측이 패배하여 오오사카 성이 낙성(落城)되고, 토요토미 가문이 멸망한 뒤에도 도우카가 살아 남았기에 문제였다. 이에야스는 도우카가 모우리의 가신(家臣)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테루모토는 모른다고 잡아떼면서 쿄우토[京都]에 숨어있던 도우카를 잡아서는 할복(割腹)시키고, 목을 이에야스에게 바치기까지 했다. 또한 테루모토가 뒤를 돌봐주겠다고 약속했던 도우카의 장남인 모토요시[元珍]와 둘째인 아와야 모토토요[粟屋 元豊]도 이에야스에게 보냈다.

 이에야스는 두 아들까지 죄를 주고 싶지 않다며 귀국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테루모토는 둘 다 아비 도우카와 마찬가지로 배를 가르게 하여 막부(幕府)에게 자신은 무죄라는 것을 주장했다.

 충신을 죽여서 가문을 지킨다.

 모우리의 그런 전통으로 이후에도 바쿠후에게 카이에키[改易][각주:3]당하는 일 없이 메이지 시대[明治時代]를 맞이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토쿠가와의 천하가 되자 테루모토도 그다지 위기감 느끼는 일 없이 - 은거생활은 주로 모우리 종가(宗家)안태(安泰)를 위해 힘썼다.

 

 우선은 1616.

 테루모토의 딸과 킷카와 히로마사[吉川 正][각주:4]와의 결혼이었다. 킷카와 가문[吉川家]에 시집 보내기에 앞서 테루모토는 제멋대로이고 성질이 급한 딸에게, 

 모우리 가문과 킷카와 가문과의 강한 유대를 위해서이니 불만이 있더라도 뭐든 참아야 하느니라 

 라고 아비답게 간절히 타이르고 거기에 결혼 지참금[化粧料]으로 5천석을 주어서 시집 보냈다. 

 결혼으로 인해 이와쿠니 령[領] 킷카와 가문과의 결속이 두터워지자, 1617년에는 둘째 아들인 나리타카[就隆]에게 스오우[周防] 토쿠야마[山] 3만석을 나누어 주어 '토쿠야마 번[徳山藩]'을 만들었다.

 

 1600년에는 모우리 히데모토[毛利 秀元]의 '쵸우후 번[長府]' 3 6천석을 창설.

 나중의 일이지만 1653년에 히데모토의 둘째 아들 모토토모[元知]의 '키요스에 번[藩]' 1만석이 세워져, 종가(宗家) 보좌를 맡는 모우리 삼가(三家)가 만드는 등 영국(領國) 경영을 강화해 갔다.

 

 1617년에는 쵸우후의 모우리 히데모토의 딸 쇼우키쿠코[松菊子]를 토쿠야마의 나리타카와 결혼시켜 쵸우후 번[長府藩]과 토쿠야마 번[徳山]의 결속도 강화시켰다.

 

 1619.

 2대 쇼우군[軍] 토쿠가와 히데타다[川 秀忠]의 상락(上洛)[각주:5]이 있었다.

 테루모토는 히데타다와 만나기 위해서 노쇠한 몸을 이끌고 상락.

 간신히 히데타다의 숙소인 니죠우 성[城]에 입성했다. 테루모토의 몸을 걱정한 히데타다의 배려로 가마를 타고 현관까지 왔고, 야규우 무네노리[柳生 宗矩], 카미오 모리요[神尾 守世], 전의(典醫)[각주:6]인 마나세 마사츠구[曲直瀨 正紹] 등의 도움으로 입장하여 혼다 마사즈미[本多 正純]의 손에 이끌려 겨우 히데타다와 대면할 수 있었다. 

 전 병이 들어 약해졌습니다. 앞으로 모우리를 잘 부탁드립니다.” 

 라는 뜻을 전한 후 영지로 돌아왔다.

 

 돌아오자 마자 테루모토의 큰 아들로 초대 하기 번주(藩主)인 모우리 히데나리[秀就]에게 가문의 번영과 조심해야 할 것에 대해서 타이르고 20개조에 이르는 유훈(遺訓)을 남겨 히데나리에게 반성과 자숙을 촉구했다.

 그 후에도 쇠약한 몸을 쉬는 일 없이 1625 4 27일.

 향년 73세로 하기 성[萩城]에서 병으로 죽었다.

옛 텐쥬 원[天樹院]에 있는 테루모토 부부의 묘 - 하기 시[萩市]


  1.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 모우리 테루모토[毛利 輝元],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 [본문으로]
  2. 1석은 어른 한 명이 1년간 먹을 수 있는 쌀. 약 150Kg. 즉 1만석이면 쌀 1500톤. [본문으로]
  3. 영지를 몰수하고 평민으로 강등시키거나 영토를 대폭 줄임. [본문으로]
  4. 세키가하라 때 서군이던 모우리 가문을 혼란에 빠뜨려 전후 감봉으로 몰아 넣었던 킷카와 히로이에[吉川 広家]의 아들. [본문으로]
  5. 상경(上京)의 다른 말. 여기서 락(洛)은 낙양(洛陽)의 '낙(洛)'이다. 여러 번 중국 왕조의 수도가 되었기에, 낙양에 간다는 말은 곧 수도로 간다는 말을 의미했다. [본문으로]
  6. 궁중 의사. [본문으로]

'일본서적 번역 > 전국무장의말년(了)'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치스카 이에마사  (6) 2007.09.17
킷카와 모토하루  (6) 2007.09.15
모우리 모토나리  (2) 2007.08.22
오오우치 요시타카  (12) 2007.08.18
야마나카 유키모리  (10) 2007.08.14
글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 주세요.

'일본서적 번역 > 총리대신織田信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화 선거이옵니다(2편)  (8) 2007.12.06
제 5화 선거이옵니다(1편)  (16) 2007.10.11
제 3화 일미 정상회담(전편)  (4) 2007.06.28
제 2화 국회 해산  (0) 2007.03.03
제 1화 정권탄생  (4) 2006.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