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四.
참고로 이 다음해부터 다 다음해에 걸쳐 토요토미 가문(豊臣家)와 유대가 깊었던 다이묘우(大名)가 계속해서 죽었다. 아사노 나가마사(浅野 長政) 65세, 호리오 요시하루(堀尾 吉晴) 69세,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清正) 53세, 이케다 테루마사(池田 輝政) 50세, 아사노 요시나가(浅野 幸長) 38세 등이었다. 그들이 살아있었다고 하여도 – 가령 그것이 키요마사라고 하더라도 – 히데요리(秀頼)를 끝까지 보호할 수 있는 정치력을 가진 인물은 없었고 또한 막상 일이 벌어지면 자기 가문 보전이 우선이었기에 봉토와 자신을 따르는 가신단의 운명을 걸면서까지 위험한 도박은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여기서 소위 '종명사건(鐘銘事件)'이 일어난다. 주조를 마친 호우코우 사(方広寺)의 범종에 세이칸(清韓)이라는 중이 지은 문장이 새겨져 있었다. 이 글 중에 [국가안강(国家安康)][군신풍락(君臣豊楽)]이라는 구절이 있어 이에야스(家康)가 말하길 자긴 이름 가운데에 안(安)자를 새겨 갈라 놓은 것은 목과 몸통이 떨어지라는 저주를 담은 것이라고 하였다. '군신풍락(君臣豊楽)', '자손은창(子孫殷昌)'은 토요토미(豊臣)를 왕(君)으로 하여 자손(子孫) 번창(繁昌)을 즐(樂)긴다는 것임에 틀림이 없다고 하며, '그러니 히데요리님이 역심을 가진 것이 분명하다'고하여 오오사카(大坂)측에 엄중히 따졌다.
오오사카에게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었다. 하지만 요도도노(淀殿)와 그녀의 시녀단은 당황하면서도 이 오해만 풀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풀 생각에 몰두하였다. 곧바로 카타기리 카츠모토(片桐 且元)를 순푸(駿府)의 이에야스에게 보내는 동시에 그것만으로는 불안했는지 카츠모토가 떠난 10일정도 후에 요도도노는 자신의 유모인 오오쿠라쿄오노츠보네(大蔵卿局)를 정사(正史), 쇼우에이니(正栄尼)와 니이노츠보네(二位局)를 부사로 하여 파견하였다.
그 두 사절단이 각각 돌아와서 보고한 것이 정반대였다. 카타기리 카츠모토가 말하는, '오오고쇼(大御所=이에야스)의 생각은' – 요도도노는 물론 오오사카 성의 부엌에서 물 긷는 하녀조차도 충격 받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순푸의 의향은 세가지라고 한다. 하나는 요도도노를 칸토우(関東)에 인질로 보내라는 것. 두 번째는 히데요리의 영지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것. 마지막으로 히데요리가 직접 칸토우로 와서 용서를 비는 것. 이것 말고는 이에야스의 분노를 풀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카츠모토가 순푸에 갔다 왔다고 하여도 직접 이에야스와 만난 것은 아니었다. 카츠모토는 거듭 청했지만 이에야스가 만나주지 않았기에 속수무책으로 있다가 이에야스 측근으로 승려이자 책사인 텐카이(天海)등과 만나 겨우 이에야스의 의향이라는 것을 전해 듣고 왔음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에야스는 조금 늦게 간 노시녀단들과 허물없이 만났다. 기분이 좋으신 이 '순푸의 오오고쇼(大御所)'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며 종명사건 등은 신경도 쓰지 않는 듯이 행동하여 반대로 노시녀들을 혼란에 빠뜨렸다. 이에야스가 말하길,
"히데요리님은 쇼우군(将軍=토쿠가와 히데타다(徳川 秀忠)의 사위이기에 나에게는 손자와 마찬가지인 분. 거기에 요도도노는 쇼우군의 부인되시는 분과 자매관계이시니만큼 내가 그분들을 해칠 이유가 없지 않소?"
라는 것이었다. 노시녀들은 기뻤다.
양측의 보고를 받은 요도도노에게 이에야스와 직접 만나고 온 노시녀들의 보고야말로 진실이었고 그에 비해 카츠모토가 가져온 말은 굉장히 기괴했다. 카츠모토는 칸토우의 책략에 놀아난 것이거나 아니면 꿍꿍이가 맞아 뭔가를 꾸미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무엇보다 요도도노를 인질로 한다거나 히데요리가 오오사카 성에서 나가라니 말이 되기나 하단 말인가?
이제 요도도노의 감정은 카츠모토를 이대로 둘 수는 없다는 데까지 왔다. 곧바로 히데요리의 측근그룹을 모아 논의하게 하였고 그들은 카츠모토를 할복하게 만들기로 결정하였다. 우선 실행에 앞서 카츠모토를 소환했다. 카츠모토는 자신에게 처해진 위험을 눈치채 소환에 응하지 않았고 일족과 부하들과 함께 오오사카 성에서 무장한 채 빠져 나와 자신의 거성(居城)인 셋츠(摂津) 이바라키 성(茨木城)에 처박혀 굳게 지켰다.
이러는 일들이 벌어지는 사이. 이에야스는 자신이 쓴 시나리오대로 요도도노들이 놀아나는 것을 보고 통쾌하다는 생각보다 오히려 어리석은 자의 무모함에 소름까지 돋았을 것이다. 오오사카에서 물러난 카츠모토는 곧바로 칸토우에 부하를 보내어 이에야스에게 붙었다. 이 시대는 가문보전이 최우선이었기에 에도시대가 되어서야 이론화되고 정리된 충의사상을 카츠모토에게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카츠모토가 요도도노를 떠난 뒤에도 이에야스의 시나리오는 이어지고 있었다. 이에야스는 카츠모토가 전한 [칸토우의 요구]야말로 틀림없는 외교상의 정식 요구이며 절차였다는 것이다. 그렇게 이에야스는 말했다. 그것을 오오사카는 묵살했을 뿐만 아니라 이에야스의 요구를 전한 카츠모토를 할복까지 시키려 하였다. 이것은 칸토우에 대한 도전인 것이다.
그렇게 이에야스는 이유를 만들었다. 전쟁을 일으킬 명분이 만들어졌다. 이에야스는 틈을 주지 않고 오오사카 토벌의 군령을 내렸다.
이에야스가 그러고 있는 동안에도 토요토미 가문은 당황만 할 뿐이었다.
당황하면서도 사정이 이렇게 된 이상 서둘러 방어 준비를 해야 했기에 대규모 낭인을 모집하였다. 모병담당은 오오노 하루나가(大野 治長)였다. 하루나가가 카츠모토 퇴거 뒤의 토요토미 가문 재상이 되었다. 카타기리 카츠모토는 히데요시가 왕성할 때부터의 가신이었지만 오오노 하루나가는 말년의 히데요시를 잠깐 섬겼을 뿐 히데요시와의 인연보다는 다른 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었다. 하루나가는 요도도노의 유모인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의 아들이었다. 하루나가에 이은 No.2로 군직(軍職)의 중추에 앉은 것이 히데요리의 유모의 아들인 키무라 시게나리(木村 重成)였다. 오오사카 성은 이런 상황에서도 전쟁을 모르는 요도도노와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의 파벌이 중추를 점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여성들과 그녀들의 자식 밑으로 수많은 낭인들이 모여들었다. 세키가하라(関ヶ原)에서 몰락한 다이묘우(大名) 혹은 다이묘우의 일족이 옛 가신들을 이끌고 입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아 쵸우소카베 모리치카(長宗我部 盛親), 사나다 유키무라(真田 行村), 모우리 카츠나가(毛利 勝永), 고토우 모토츠구(後藤 基次), 센고쿠 소우야(仙石 宗也), 오오타니 다이가쿠(大谷 大学), 마시타 모리츠구(増田 盛次), 히라츠카 사마노스케(平塚 左馬助), 호리우치 우지히로(堀内 氏広), 아카시 타케노리(明石 全登) 등이 그 주된 얼굴들이었다. 이들 낭인들에 토요토미 가문의 직신(直臣)들을 합치면 성 안의 인수는 12만 이상이 되었을 것이다. 그 중 여성의 수가 1만 정도 되었다. 여성들 대부분이 히데요리와 요도도노의 시녀들에 속하였기에 여성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는 이 성의 특성을 상징하는 듯했다.
한편 이에야스가 다이묘우들에게 명령을 내려 동원한 인수는 35만이 넘었다. 세키가하라의 배는 되는 규모로 하나의 성을 공격하는 인원으로서는 사상 유례가 없는 규모였다. 동원에 앞서 이에야스는 '쇼우군(将軍)에게 역심을 품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다이묘우들에게 제출하게 하였다. 옛 토요토미 계의 다이묘우들 역시 전부 제출하였으며 이는 물론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조차 예외가 아니었다. 단 이에야스는 마사노리에게 불안감을 느껴 출진대신 에도 성(江戸城) 수비를 명했다. 이에야스가 두려워하지 않더라도 마사노리는 49만 8200석의 봉토를 버리면서까지 토요토미 가문과 함께 할 정도로 순박하지 않았으며 더구나 그는 개전에 앞서 히데요리에게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는 호의를 보였다. [토쿠가와를 따르십시오]라는 편지였다. [결코 칸토우를 거역하려 하지 마옵소서. 요도도노를 에도에 인질로 받치십시오. 또한 소인에게 도움을 바라지 마십시오. 만약 우다이진(右大臣=히데요리)님께서 오오사카 성에서 농성이라도 하신다면 소인은 에도의 쇼우군과 함께 오오사카를 공격하겠습니다]고 마사노리는 사자(使者)의 입을 통해 말했다. 요도도노는 격노하여 사자를 쫓아버렸다. 그녀는 정치적 고려보다도 인질로 되는 것이 무엇보다 싫었다. 그녀는 마사노리의 사자를 쫓아버리기에 앞서 말했다.
"나는 노부나가공(信長公)의 조카이네. 죽은 타이코우(太閤=히데요시)의 침실에 들어가는 것조차 싫었는데 이제 또 이에야스와 이불을 같이 쓰라니! 생각만해도 불쾌하네"
라 말했다. 사자는 정신이 선녀가 있다는 먼 별나라로 가는 듯 했다. 이에야스가 요구한 에도에 인질로 오라는 말은 이불을 같이 쓰자는 것이 아니었다. 이에야스가 아무리 특이한 것을 좋아한다고 하더라도 40이 넘고 자존심만 센 아줌마에게 손을 뻗칠 사람도 아니었고 그런 종류의 취향도 없었다. 그러나 요도도노는 이런 식으로 뭐든 자신의 육체를 매개로 해서만 생각을 하였기에 자신도 모르게 저런 격한 말투로 나오지 않았을까? 원래부터 요도도노에게는 정치적 즉 냉철한 이성과 예리한 고려를 필요로 하는 사고(思考)가 불가능하였으며 또한 지금까지 그렇게 하고자 한 적도 없었다. 단지 운명이 그런 사고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그녀를 배치하였을 뿐이며 또한 그녀는 그곳에서 그때그때 생겨난 감정에 충실히 따르고 행동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야스는 오오사카 포위를 완료하였고 자기 자신도 직접 출진하여 그의 직할대가 10월 22일 오우미(近江) 쿠사츠(草津) 북쪽 나가하라(永原)에 도착했을 때, 미리 오오사카 성안의 동정을 살피기 위해 들여보냈던 마에니와 한뉴우(前庭 半入)가 돌아와 보고하였다. 그의 첩보에 따르면 오오사카의 장수와 병사들은 요도도노에게 불만을 품고 있다고 한다. 요도도노가 직접 군령을 내리기에 만사가 혼란스럽고 또한 오해를 불러 실무가 이루어지질 않아 의욕을 잃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럴 테지"
이에야스에게 이것만큼 기분 좋은 첩보는 없었다. 예로부터 성은 바깥의 무력으로 인해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불화로 인해 무너진다고 하기에 공격군의 총수에게 이보다 나은 소식은 없을 것이다.
"어떤 일이 있었나?"
하고 몸을 앞으로 내밀어 그 실례를 듣고자 하였다. 마에니와 한뉴우는 상세히 열거하였는데 요는 무장보다 요도도노의 시녀가 더 권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뉴우의 말에 따르면 요도도노와 그녀의 유모인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는 모집된 낭인들을 신용하지 않아 감시로써 통솔코자 하였다. 이 때문에 요도도노와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는 여성이면서도 금과 은으로 장식된 화려한 갑주를 두르고 역시 화려한 갑주에 나기나타(薙刀)를 든 시녀들과 성의 이곳 저곳을 순시했다고 한다. 낭인들 대부분은 바다 건너 조선과 세키가하라 등 여러 전쟁터를 전전했던 자들이었기에 이 감시가 오히려 사기를 저하시키고 있다고 한다.
거기에 한술 더 떠 히데요리는 기묘한 인물이라고 한뉴우는 말했다. 농성하는 무장들과 병사들은 여성들에게 감독 받는 것을 꺼려하며,
"우리들은 히데요리공에게 목숨을 바치기 위해서 달려 온 사람들이오. 그런데도 히데요리공은 거처에서 한 발자국도 나오시질 않아 존안도 알 수 없소. 이러한 대장은 고금에 예가 없소"
고 모두 떠들어대며 '부디 저희들 앞에 모습을'이라고 오오노 하루나가에게 졸랐다.
때문에 히데요리는 단 한번 그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것도 각 부대별로가 아니었다. 우선 무사 신분 이상인 사람들을 주성곽(本丸)의 대청(大廳)과 그 앞마당에 발 디딜 틈 없이 집결시킨 후 그 모습을 드러내기 전에 히데요시 이래 토요토미 가문의 부대 표식(馬標)인 황금 표주박이 세워져 그것을 열석한 자들이 올려다 보게 하였다. 열석한 무장들은 그것을 보고 왕년을 떠올리며 용기를 북돋았다. 그때 히데요리가 나타나,
- 모두 수고.
단지 그 한마디를 조그맣게 말하고는 안으로 들어가버렸다. 그뿐이었다. 뒤에 있던 사람들에게는 목소리도 들리지 않았고 모습도 볼 수 없었기에 웅성대고 중얼거리며,
"이래서는 저 분을 위해서 목숨을 바칠 수 없다"
고들 말하며 어깨를 떨구었다.
그 뒤에도 해산하지 않고 더 나와 줄 것을 요구하자,
"어머님께서 나가서는 안 된다고 하신다"
는 답변이 되돌아 왔다. 요도도노가 히데요리의 안전을 생각하여(낭인들 중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자가 섞여있을지도 모르기에) 절대 거처에서 내보내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하여도 나이 22이나 되는 토요토미 가문의 당주가 모친이 하는 말만 듣고 총사령관으로서 해야 마땅한 것을 하지 못하는 것은 뭐라 말해야 한단 말인가?
- 우둔하신 분.
이라는 사람도 있었으며, 그렇지 않네. 저분의 서체를 본 적이 있는데 엄청난 필적(筆跡)이었지. 그러니 우둔하신 분이 아닐세, 라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하고 또 다른 사람이 말했다. 히데요리님은 핏덩이였던 시절부터 주위는 전부 여성들뿐이었고 또한 여성들의 손에 의해 커오셨다. 그것도 고급 귀족(公卿)식으로 자라셨다. 더구나 성의 바깥이라는 것을 아시지 못한다. 이에야스와의 대면을 위해서 니죠우 성(二条城)에 갔을 때를 제외하곤 아주 어리실 적에 스미요시(住吉)의 바닷가에 놀러 가신 것이 유일한 것이라 한다. 여러 특이한 성장환경 때문에 많은 무사들 앞에 나서는 것이 불가능하신, 말하자면 기형적인 남성이 되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는 것이었다. 그러나 히데요리 옹호론자조차 히데요리가 직접 격려해주길 바랬다. 그렇지 않으면 이길 수 있는 싸움조차 이기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으며 그런 주장을 사나다 유키무라, 고토우 모토츠구 등 낭인대장이 오오노 하루나가에게 요구했다.
이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의 아들은 당연히 자신의 모친에게 청했다. 모친은 요도도노와 상담했다.
- 안 된다. 그것만은 절대 안 된다.
라는 것이 절대 변하지 않는 답변이었다. 그녀에게는 에도의 인질이 되지 않겠다는 것과 히데요리를 건물 깊숙이 숨겨 놓고 무사들 앞에 내보이지 않겠다는 것이 같은 비중이었다. 그 방침에 변화를 주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그녀는 오히려 죽음을 선택할지도 몰랐다. 아니 선택할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는 다른 노시녀들인 쇼우에이니(正栄尼), 니이노츠보네(二位局), 아이바노츠보네(饗庭局), 아챠노츠보네(阿茶局), 아코노츠보네(阿古局) 등과 상담한 끝에 대신할 수 있는 자를 내보내 무사들을 납득시키기로 하였다. 성안에,
- 사에몬님(左衛門様)
라는 존귀한 인물이 있었다. 오다 우라쿠(織田
有楽=노부나가의 동생)의 적자였다. 우라쿠는 요도도노의 혈연이었기에 자신의 아들과 함께 오오사카 성에 살고 있었으며 오다 가문이라는 존귀한 가문 출신일 뿐만 아니라 관위가 종사위하(従四位下)에 전(前) 지쥬우(侍従)였다. 그런 우라쿠의 아들인 사에몬이라면 성 안의 무사들도 기뻐할 것이다. 요도도노의 노시녀들의 생각으로 무사나부랭이들은 히데요리의 존귀함에 동경하고 있으니 히데요리가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그에 버금가는 존귀한 젊은이를 내보내면 될 것이라 생각했다.
"사에몬님. 성 안을 돌아봐 주지 않겠습니까?
하고 요도도노는 친족이었기에 편안함을 가지고 부탁하였다. 사에몬은,
"귀찮아요. 귀찮아"
하며 응석을 부리듯이 목을 저었지만 결국 히데요리의 대리인으로서 순찰을 맡게 되었다. 선척적으로 경솔한 인물이었다. 거기에 부친 우라쿠가 토쿠가와와 내통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제정신으로 이 어처구니없는 짓을 할 생각도 들지 않았다. 여담으로 우라쿠와 그의 아들 사에몬 나가마사(左衛門
長政)는 후에 토쿠가와의 다이묘우가 되어 야마토(大和) 시바무라(芝村) 1만석을 영유하였고 그 가계(家系)는 메이지(明治) 시대까지 이어진다.
순찰은 매일 1회였다. 사에몬의 무장은 금색 비늘을 붉은 실과 보라색 실로 엮은 화려한 갑주를 입고 말을 탄 무사 7~8기를 이끌고서 순찰을 돌았지만 차츰 귀찮아져 총애하는 유녀(遊女)와 함께 다니게 되었다. 이름이 시치쥬우로우(七十朗)라는 유녀로 갑주, 두 자루의 칼, 등 뒤에 매는 풍선 같은 화살막이 등을 모두 새빨간 색으로 물들인 여성을 데리고 일곱 군데의 초소를 천천히 돌아다녔다. 어느 날 밤, 불침번을 서고 있던 무사가 졸고 있던 것을 발견한 사에몬은,
"시치쥬우로우! 죽여라!"
고 들고 있던 나기나타로 졸고 있는 무사의 목을 베도록 명령했다. 시치쥬우로우는 명령대로 하였다. 유녀에게 목이 베인 무사의 불운도 그러했지만 이런 사에몬의 방식에 다른 낭인들이 분노하여 자신들의 대장에게 불만을 표했다. 그 7명의 대장 – 사나다 유키무라, 고토우 모토츠구, 쵸우소카베 모리치카 들은 오오노 하루나가에게 이를 항의했다. 하루나가도 이것만큼은 타당하다고 생각하여 사에몬에게 간언(諫言)하자,
"그 아이는 히데요리님에게 보내는 사자(使者)로 쓰고 있소"
하고 강변했기에 하루나가도 그 이상 말할 수 없었다. 히데요리는 그 자란 환경 탓으로 남성을 향해 뭔가를 말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좋아하지 않아 여성을 상대로 말하는 편이 자연스럽게 목소리가 나왔다. 그 유녀는 그런 히데요리를 생각하여 전령으로 쓰고 있다. 때문에 그녀를 데리고 다닌다는 오다 사에몬의 말에 하루나가도 그 이상 뭐라고 할 수 없었다. 히데요리라는 인물은 일족인 오다 사에몬에게조차 그런 식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인물이었을 것이다.
… 이에야스는 전날 밤 마에니와 한뉴우의 보고를 듣고 처음에는 거짓말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결국 니죠우 성에서 보았던 저 위풍당당한 미장부는 몸만 크고 안은 소문대로 '우둔'할지도 모른다고 생각을 고쳤다.
소위 오오사카 겨울의 싸움(大坂冬の陣)은 이에야스에게 있어 포위와 공갈과 외교만으로 끝났다. 이에야스가 성을 조금 찔러보았지만 농성중인 낭인무리들은 이외일 정도로 강하여 첩보와는 달랐다. 추측하건대 낭인들은 자신들을 직접 지휘하는 장수로 뛰어난 무장을 만날 수 있었기에 토요토미 가문의 내부사정에 실망하면서도 막상 전투에서는 목숨을 아까워하지 않고 활약할 수 있었을 것이다. 목숨을 아끼지 않는다는 점에서 말하면 그들 낭인들에게 있어서는 이 성을 버린다 하여도 그들에게 편안한 여생이라는 것이 기다리고 있을 턱이 없었고 그 때문에 승패가 어느 쪽으로 갈리건 이곳을 죽을 장소로 각오하고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었다. 이에야스는 강화 협상을 제안했다.
이에야스는 야전의 명인이라 일컬어지고 있었지만 공성(攻城)은 서툴렀고 자기자신도 꺼려했다. 그 이에야스의 약점을 세상도 알고 있었고 오오사카 측도 알고 있었다. 때문에 히데요리와 요도도노는 이 강화 제안을 일축했다. 완고히 거부한대에는 이에야스가 먼저 강화를 제안한 것을 보고 승리할 수 있다는 강한 확신을 가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태가 변했다. 왜냐하면 이에야스가 예전 토요토미 가문의 가로(家老)인 카타기리 카츠모토 (그는 주인을 바꾸어 이에야스의 진영에 있었다)에게,
- 요도도노는 성의 어느 쯤에 있는가?
라는 것을 물었다. 카츠모토는 성 내부를 그림으로 그려 가리켰다. 이에야스는 이번 공성전을 위해서 네덜란드 상인에게 대포(佛郞機) 3문을 구입해 두었었고 그것을 전면에 배치하여 12월 16일 아침 일제히 발사시켰다. 그 중 한발이 텐슈(天守)의 기둥 중 하나를 부수었으며 거기에 또 한발이 요도도노가 살고 있는 건물의 시녀들 거소에 떨어져 찻장을 가루로 만들었다. 요도도노는 그곳에서 매일 아침 높은 신분의 시녀들과 함께 아침 차를 마시는 것이 일과였는데 때마침 그러던 중이었기에 여성들은 비명을 지르며 우왕좌왕하였고 요도도노도 그 소동에 휘말려 공포를 느껴 결국 이에야스의 신청에 굴복하여 강화를 받아들였다.
이에야스가 제시한 강화조건은 오오사카 성 외부 해자(垓子)를 메우자는 것으로 요도도노 모자도 그것을 승낙하였다. 이에야스는 이 작업에 곧바로 수만 명의 인부를 동원하여 눈깜짝할 새에 외각 해자를 메웠을 뿐만 아니라 성안에 침입하여 두 번째 성곽(二の丸), 세 번째 성곽(三の丸)의 내부 해자도 메웠고 거기서 끝나지 않고 토담이나 망루도 부수었다. 요도도노는 그 소식에 놀라 항의하기 위해 오타마노츠보네(お玉局)라는 시녀를 보냈다. 오타마는 성안에서 제일가는 미녀로 일컬어지고 있었으며 나이도 어리고 영특했다. 그녀는 작업현장에 가서 감독자인 나루세 하야토노쇼우(成瀬
隼人正)와 안도우 타테와키(安藤
帯刀)라는 이에야스의 부하 장수와 만났지만 그들은 즈질스런 말들을 하며 오타마를 놀려 그녀가 견디지 못하고 도망치게 만드는 한편 작업을 계속 진행해 나갔다. 오타마는 어쩔 수 없이 쿄우(京)에 올라가 이에야스의 모신(謀臣) 혼다 마사노부(本多
正信)에게 항의하였다. 마사노부는 크게 고개를 끄덕이며,
"하야토노쇼우, 타테와키 녀석들은 무례한 놈들이군요. 반드시 혼내겠습니다."
고 말하여 오타마를 돌려보냈지만 그러나 마사노부들은 이에야스가 쓴 시나리오의 배우이기도 하여 단순히 연극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오오사카의 여성들은 단지 놀림감일 뿐이었다.
다음 해 봄. 화의가 결렬되었다.
이에야스에게는 예정된 결렬이었다. 그는 다시 60여주의 다이묘우(大名)들을 전부 모아 대군을 일으켜 그들을 오오사카에 집결시켰다. 상기의 책략 – 이라고도 할 수 없는 어린애 눈속임 – 으로 오오사카 성은 벌거숭이나 마찬가지인 이상 자신이 서툴러하는 공성전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
토요토미 가문은 불과 3일 동안 치른 전투로 무너졌다.
낭인들과 그 낭인출신의 여러 무장에게 있어서는 이 괴멸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그들은 성이 벌거숭이가 된 이상 성을 버리고 성밖 출진이라는 자살적 전법을 취할 수 밖에 없었다. 이 전투의 스페셜리스트들은 해자가 메워진 다음부터 자신들의 운명에 절망하였지만 그 절망이 성밖의 여러 전장에서 엄청난 활약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일본의 전쟁 역사상 이 소위 여름의 전투만큼 수 많은 전사자를 낸 싸움이 없었다는 것만으로도 그들 낭인들의 괴물과 같은 활약을 연상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마지막 시텐노우지(四天王寺) 방면의 전투에서는 몇 번에 걸쳐 이에야스의 직할군이 패주하였다. 그 방면 지휘관이었던 사나다 유키무라 등도 이 절망적인 상황에 단념하고 있었으면서도 일시적으로 찾아온 국지적 승리에 일말의 희망을 발견하여,
"지금 히데요리 공이 출진하신다면!"
하고 목마른 자가 물을 떠올리는 심정으로 열망하여 여러 번 후방 오오사카 성에 사자(使者)를 보냈다. 유키무라가 보기에 진두에 히데요리의 부대 표식인 황금 표주박만 뜬다면 막부군의 옛 토오토미 계열 다이묘우(大名)나 사졸들은 그것을 멀리서 보는 것만으로 기세가 눌릴 것이다. 그 틈을 계속 밀어붙이면 만에 하나라도 활로가 열릴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런 전선에서의 출진요청에 대해서도 요도도노는 반대했다. 위험하다 – 고 하였다. 유키무라가 보낸 급사가 수 차례에 이르렀을 때 오오노 하루나가는 결국 요도도노를 통하지 않고 히데요리 앞에 나아가 직접 결단 내리라고 피를 토하듯이 외쳤다. 이외로 히데요리는 선선히 출진하겠다고 하였다.
- 말을 내오라고 하신다
라는 것이 친위기마병이나 참모, 전령 등 친위대에게 전해졌기에 그들은 크게 사기가 올라 히데요리가 나오는 것을 기다리기 위해서 성문 안쪽에 도열하였다. 그 친위대의 군용(軍容)은 히데요시 때부터 전해지는 것으로 황금 표주박의 큰 부대 표식, 황금 종이를 잘게 나눈 작은 부대 표식, 검붉은 후키누키(吹貫) 10개, 대모갑 코팅의 창 천 자루 거기에 히데요리의 말로 타이헤이라쿠(太平楽)라는 이름의 위풍당당한 말에 나시지(梨子地)의 안장이 얹혀져 이끌려 나오는 이 광경에, 타이코우(太閤)의 전성기를 그리워하며 잡병들 중에는 소리 높여 우는 병사조차 있었다.
그들은 기다렸다. 그러나 쓸데없는 짓이었다. 당사자 히데요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결국 나오지 않았다. 이유는 모른다. 요도도노가 그것을 알고 막았다고도 하며 히데요리의 출진과 함께 성안의 내응자가 봉기한다는 소문을 오오쿠라쿄우노츠보네가 듣고 제지했다고도 하는데 어쨌든 히데요리는 결국 나오지 않았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전선에서는 사나다 유키무라가 전사했다.
그 뒤 막부군이 성안에 난입하여 성은 사실상 낙성되었다. 하지만 요도도노와 그 아들의 모습이 없었기에 이에야스는 성안을 탐색시켰다. 밤이 되어 모자가 측근들과 함께 화제 속에서 운 좋게 제 모습을 간직한 식량창고에 숨어있다는 것을 알아차린 카타기리 카츠모토가 이에야스에게 보고하였다. 이 모자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다고 자부하던 이에야스도 이 추태에는 할 말을 잊었다.
'도대체 어쩌려고?'
하고 이에야스는 생각했다. 부하 무장들은 죽었고 성이 함락되었으며 성안은 전부 막부군에게 점령당하였는데 성주와 그 모친만이 창고에 처박혀 여전히 목숨을 부지하고 있다는 것은 이 시대의 미의식으로 보면 정상이 아니었다.
이에야스는 그 창고를 포위하고 어쨌든 날이 밝는 것을 기다렸다. 이 광경은 이제 전쟁이라는 거창한 이름보다는 창고에 숨어든 쌀도둑을 포졸들이 포위하고 있는 듯한, 그러한 정도로까지 전락되었다. 이러는 동안 요도도노는 마지막 행동에 나섰다. 오오노 하루나가를 창고 밖으로 내보내 요도도노와 히데요리의 목숨만은 살려달라고 이에야스에게 빌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에야스는 묵살했다.
날이 밝았지만 창고는 침묵을 지켰고 있었다. 누가 보아도 이에야스의 마음에 자비심이 생기기를 기다리고 있는 듯했다.
이윽고 포위하던 병사들은 기다리다 지쳤는지 총을 들어 일제히 쏘아댔다. 이에야스의 의사였다. 탄환은 벽을 뚫지는 못했지만 그 총성은 이에야스의 의사를 창고 안으로 전달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공격군의 사졸들도 창고 안에 있는 존귀한 분들이 일본의 관습대로 자해하여 그 마지막을 장식해 주기를 마음 속으로 빌었다.
총성으로 창고 안 사람들은 절망한 듯했다.
곧이어 흰 연기가 내부에서부터 피어 오르는 것을 밖의 사람들은 보았다. 창고 안의 존귀한 분들이 그제서야 자살을 결심하고 완료했을 것이다. 흰 연기는 얼마 지나지 않아 붉은 화염으로 변하였고 그 화염은 점점 커져 지붕을 기우뚱하게 하더니 주저앉게 만들었다. 그 불탄 자리에서 남녀 20명 정도의 유골이 재가 되어 나타났다. 그 36㎡의 불탄 자리가 토요토미 가문 최후의 장소가 되었다. 1615년 5월 8일 정오 전이었다.
****************************************************************************************************************
히데요리에게는 사세구(辭世句)가 없다. 사세구뿐만 아니라 그의 인격이나 마음 속을 추측할 수 있는 그 어떤 것도 23년의 생애 속에 남기지 않았다. 히데요리는 그림자와 같이 살았으며 죽었다. 그 죽음도 아마 다른 사람이 그 손을 잡고 힘을 가해 불문곡직하며 죽음으로 인도했음에 틀림이 없다. 그 광경도 잔인했을 터이지만 그 죽음은 이후 역사에 시로도 노래로도 남지 않았다.
****************************************************************************************************************
이렇게 이 가문은 멸망했다. 이렇게 훑어보니 토요토미 가문의 영화(榮華)는 히데요시라는 천재가 낳은 한 겹의 환영(幻影)과 같다는 생각조차 든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