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0912/e2009121318055597490.htm
https://m.sedaily.com/NewsView/1HR58NY109
에 실린 글을 보면서….

☞ 한문에 링크 걸린 곳은 일본어 위키로 점프합니다.
☞ 노란 칸안에 굵은 글씨는 본문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주신구라(忠臣藏).' 연말연시면 으레 일본의 TV에 등장하는 특집극 소재다. 내용은 주군을 잃은 사무라이 47인의 복수극.

 

 

적어도 신문처럼 영향력이 있으면 표기법을 따라주었으면 좋겠습니다[각주:1]. 국립국어원의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ちゅうしんぐら’이니 ‘주신구라’로 해야 하지요.
풀네임을 따지자면 ‘충신 오오이시 쿠라노스케[忠臣 大石 内助]’이니 [충신 쿠라]이라고 하는 편이 좋을 듯도 싶으나, 역시 문학 작품의 고유 명사이니 [주신구라]인 편도 좋을 듯.

 

시골의 다이묘(영주) 아사노가 수도인 에도에서 다른 다이묘인 기라에게 상처를 입혔다.' 아사노가 분개한 이유는 술수에 빠져 격식과 예법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게 돼 위신을 잃었다고 판단했기 때문. 아사노는 술책을 꾸민 기라의 얼굴에 칼자국을 남겨 무사로서 위신을 세웠으나 '할복' 명령을 받았다. 쇼군 앞에서 칼을 뽑았다는 이유에서다.

 

 

1701년에 반슈우[각주:2] 아코우 번[播州 赤穂藩] 5만석의 영주 아사노 타쿠미노카미[浅野 内匠頭][각주:3]가 키라 코우즈케노스케[吉良 上野介]에게 상처를 입힌 것은 맞습니다만, 키라는 다이묘우[大名]가 아닙니다.

키라는 막부 직신 즉 하타모토[旗本]로 그의 영지는 다이묘우의 기준인 1만석에 미치지 못합니다. 가문 대대로 미카와[三河] 키라[吉良]라는 곳에 4200석, 그에 더하여 직책이 코우케키모이리[高家肝煎][각주:4]였기에 봉급으로 2000석을 더하여 총 6200석의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한마디로 다이묘우가 아니었단 말입죠.

참고로 코우케[高家]란 막부(幕府]의 예식(禮式) 담당으로, 쇼우군[将軍]의 대리인이 되어 쿄우토[京都] 조정에 사자로 파견되거나, 반대로 쿄우토 조정에서 칙사가 왔을 시에는 칙사를 접대하는 향응역의 지휘와 지도를 맡았습니다. 그리고 그 지휘와 지도 아래서 조정의 칙사들을 접대하는 직책으로 향응역[饗応役]이 있었습니다. 향응역에는 보통 5만석 전후의 토자마 다이묘우[外様大名][각주:5]가 임명되었습니다.

지도를 하는 키라 코우즈케노스케[吉良 上野介]와 그 지도를 받는 아코우 번주 아사노 타쿠미노카미[浅野 内匠頭]는 서로 반목했다고 합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습니다.
키라가 원했던 아코우 번의 염전기법을 알려주지 않았다던가, 당시 코우케가 향응역을 지도하면 사례금을 받는 것이 통례였지만 아사노가 키라에게 준 사례금이 겁나게 적었다거나, 성질 급하고 한번 폭발하면 가슴에 통증이 생기는 병을 가진 아사노의 성질이 더러워서라던가…. 어쨌든 먼저 아사노의 뒷따마를 깐 것은 키라라고 합니다.[각주:6]

이야기나 연극의 세계에서는 저 불화로 키라가 아사노를 괴롭혔다고 합니다.
칙사를 맞이하는 방의 병풍을 화려한 것으로 하면 안 된다고 키라가 말했기에 아코우 번은 수묵화로 된 병풍을 준비했더니 나중에는 이런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쪽을 준다거나, 예복으로 다이몬[大紋]이라는 복장을 해야 하는데 키라는 나가카미시모[長裃]를 입고 나오라고 해서 쪽을 준다거나, 준비해야 할 요리도 반대로 알려주고, 타타미[畳]도 교체해야 하는데 알려주지 않았다던가…하는 이야기들이 나와 그럴 때마다 아코우 번사들이 임기응변으로 그런 난관을 헤쳐나가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만… 실제로 아사노 타쿠미노카미와 아코우 번은 이 일이 일어나기 18년 전인 1682년에 조선통신사 향응역에 임명된 적이 있었으며, 이번 칙사 향응역에 앞서서도 5년 전 칙사 향응역이었던 아사노 타쿠미노카미의 마누라의 친정 미요시 번[三次藩]의 기록도 조사했으며, 바로 전년 향응역이었던 시바타 번[新発田藩]의 기록도 살폈다 하기에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이야기 속에서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한 장치겠지요.

하단에 있는 하늘색 옷이 다이몬[大紋], 상단에 있는 인물들이 입고 있는 옷이 나가카미시모[長裃].

서울경제의 편집위원께서는 쇼우군[将軍] 앞에서 칼을 뽑았다고 하는데, 물론 아닙니다. 칼을 뽑은 장소는 외측 복도로 벽에 소나무가 그려져 있다고 해서 ‘마츠노오오로우카[松の大廊下]’라 불리는 복도에서 입니다. 성안에서 칼을 뽑는 것도 물론 금지입니다.

소나무가 그려진 복도[松の大廊下](모형). 사건은 쇼우군 앞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복도에서 일어나죠.

어쨌든, 키라는 이 복도에서 막부 루스이[留守居][각주:7]들을 총괄하는 오오루스이[大留守居] 카지카와 요소베에[梶川 与惣兵衛]와 이야기 하던 중, 아사노 타쿠미노카미가 키라의 등뒤로 다가와 “여태까지의 원한 잊지 않았겠지!”라며 차고 있던 예식용 칼[殿中差]로 한 번 휘두르지만 헛스윙, 그 외치는 소리에 뒤돌아 본 키라의 이마 한가운데에 약 11cm, 그 상처에 놀라 도망가는 키라의 등 오른쪽 견갑골에 18cm 정도의 상처를 남기고, 곁에 있던 카지카와 요소베에에게 제압당합니다.

사건을 일으킨 당시만 해도 무사의 위신 세웠다기 보다는 ‘미친놈 별지랄 다하는구나’라는 인식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아사노가 칼 들고 설치며 자기를 공격하는데도 성안이라는 장소를 분별한 키라는 무죄석방 되었습니다. 싸움을 하면 양쪽이 다 벌을 받던 무가의 관습법 ‘다툼 시 쌍방 처벌[喧嘩両成敗]’에 어긋났기에 약간의 동요가 있었습니다만, 조사 결과, 때와 장소를 분별치 못하고 원한이 있었기에 칼질 했다는 말만 되풀이하는 젊은 영주 아사노와 장소 분별한 늙은 키라와의 차이는 그 후의 처분에서도 나타납니다. 아사노는 당일 할복 & 번 폐쇄, 키라는 무죄석방.

 

아사노가 죽자 로닌(浪人·떠돌이 무사)이 될 처지인 가신 300여명이 모였다. 우두머리 격인 오이시는 '당장 기라를 치자'는 사무라이들을 만류하고 은거에 들어갔다. 적의 감시에서 벗어나고 끝까지 함께 갈 동지를 가려내기 위해서다.

 

저 300명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군요....This is Akou!?
에도[江戸]에서의 급변이 아코우 성[赤穂城]에 전해지자, 필두 가로 오오이시 쿠라노스케[大石 内蔵助]는 아코우 영내에 있던 번사(藩士) 200여명을 성안에 모이게 하여 농성을 할 것인지, 개성을 할 것인지를 협의하게 됩니다. 막부가 번 폐쇄를 명했으니 따르는 것이 순리였지만, 아코우 번사들에게는 자신들의 주군이 할복하고 번까지 폐쇄 당했는데도, 키라는 무죄 석방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었습니다. ‘다툼 시 쌍방 처벌[喧嘩両成敗]’였으니까요. 관습법으로요.

막부 역시 행여라도 아코우 번이 개길까 싶어[각주:8] 수성사[収城使]의 정사로 5만3000석의 타츠노 번[竜野藩]의 번주 와키사카 아와지노카미[脇坂 淡路守], 부사로 2만 3000석의 아시모리 번[足守藩]의 번주 키노시타 히고노카미[木下 肥後守]의 병사 4500여명이 아코우 성을 향하였고, 주변 오카야마 번[岡山藩]은 600명을 번경에 배치하는 것을 시작으로, 히메지[姫路], 톳토리[鳥取], 바다 건너 시코쿠[四国]의 마루가메[丸亀], 토쿠시마[徳島] 번도 만일을 대비하여 경계 병력을 준비시켰습니다.

당연 비둘기파와 매파가 생겼습니다.
비둘기파는 성을 넘기고 막부의 명에 순순히 따르자는 파였고, 매파는 이대로 물러나서는 너무 억울하니 농성하며 키라의 처벌도 상소하고자 했습니다. 5만석 영주의 성으로는 너무도 방어력이 뛰어나고 훌륭한 편이었던 아코우 성[赤穂城]을 내세워 농성하자는 것이었죠.

그리고 어느 시대건 비둘기파는 비겁한 놈들이 되고 매파는 지조와 절개의 사나이가 되는 법.
비둘기파의 수장이던 차석 가로 겸 번 재정담당 오오노 쿠로베에[大野 九郎兵衛]는 매파의 협박과 욕설에 견디지 못하고 밤중에 튀게 됩니다. 얼마나 급했는지 손녀를 놓고 도망갈 정도였습죠.

매파도 둘로 나뉘는데 매파 중 강경파는 아시가루 부대장[足軽頭] 하라 소우에몬[原 惣右衛門][각주:9]  등 다수로 그들은 농성하다 죽자고 주장. 매파 중에서도 온건파는 필두 가로 오오이시 쿠라노스케를 중심으로 우선 성은 내주더라도 막부에게 할복한 아사노 타쿠미노카미의 동생 아사노 다이가쿠[浅野 大学]를 새로운 번주로 삼아 가문을 재흥과 동시에 키라에게도 벌을 내려달라는 청원을 하자는 쪽이었죠.

…이야기가 길어지니 어쨌든 성을 내주게 됩니다. 오오이시는 끝까지 농성하자던 강경파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후일을 위한 혈판 서약서를 쓰게 하였습니다. 그 혈판 서약서를 쓰며 아사노 가문 재흥을 맹세했던 자들 중 끈이 있는 자들은 그런 끈을 의지하여 흩어지고, 능력 있는 자들은 능력을 살려 제 갈 길들을 갑니다. 능력 없고 빽이 없어 남겨진 쭉정이들은[각주:10], 번주를 죽게 만들고 자기는 살아남은 키라를 당장 죽이자는 파와 막부의 최종판결을 기다리자는 파로 나뉘게 됩니다. 오오이시는 막부에게 청원했던 아사노 다이가쿠의 번주 취임과 아코우 아사노 가문 재흥을 기다립니다만…. 막부의 최종판결은 아사노 다이가쿠의 영구 칩거였습니다. 마지막 희망이 사라지자 그들에게 남겨진 것은 키라에 대한 복수뿐이었습니다.

 

오이시가 고른 47명은 '주군과 의리를 저버린 자'라는 수모 속에서 시간을 기다렸다. 군자금을 마련하려 행상에 나서고 가족을 버렸다. 어떤 로닌은 여동생을 원수인 기라에게 하녀 겸 첩으로 바쳤다. 

47이란 숫자는 키라 저택에 쳐들어 간 숫자로 쳐들어 가기 전만 해도 몇 명이 더 있었습니다[각주:11]. 가령 ‘여동생을 원수인 기라에게 하녀 겸 첩으로 바쳤다’는 낭인은 가장 마지막에 탈맹한 모우리 코헤이타[毛利 小平太]를 말하는 것으로, 그가 여동생을 하녀 겸 첩으로 바쳤다는 것은 후세의 창작입니다[각주:12]. 모우리 코헤이타가 키라의 저택에 직접 들어가 하인으로 일하며 가장 정확한 정보를 가져다 주었기에 후세의 작가가 그런 식으로 창작을 하였나 봅니다.[각주:13]

 

복수에 성공한 로닌들은 쇼균의 할복 명령으로 세상을 떠났지만 일본인들에게는 영원히 살아 있다.

 

 

이 복수극에 성공한 로우시[浪士]들은 막부에 자수를 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처분을 두고 쇼우군[将軍] 토쿠가와 츠나요시[徳川 綱吉]는 고민하게 됩니다.
시간을 두었다가 나중에 살려주자는 막부의 평정소[각주:14], 그러나 평정소의 보고를 받은 노중[老中][각주:15]들의 결론은 조직폭력배같은 놈들이니[각주:16] 참수를 하자고 주장[각주:17], 이 상반된 의견에 곤혹해진 츠나요시의 최측근 야나기사와 요시야스[柳沢 吉保]는 자신의 브레인 오규우 소라이[荻生 徂徠]에게 의견을 묻자, 그들의 명분을 인정해주는 명예로운 할복[각주:18]. 야나기사와 요시야스는 오규우 소라이의 의견이 가장 타당하다고 여기고 쇼우군 츠나요시에게 여쭙니다.
 츠나요시는 그럼에도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다 다음 해 2월 1일 신년 인사를 하러 온 우에노[上野] 칸에이 사[寛永寺]의 코우벤 법친왕[公弁法親王]에게 의견을 묻자, 그들은 이미 목적을 달성했으며 충신인 그들은 목숨을 살려주더라도 다른 주군을 모시지 못할 것. 그러니 지금 그들에게 명예 있는 죽음을 언도하면 그 이름을 영원히 남길 수 있다 – 고 츠나요시에게 말하여 할복이 결정됩니다. 그리고 법친왕의 말대로 그들은 이후 충성의 대명사로 일본인에게 영원히 남습죠. 또한 연말연시가 되면 어느 방송국 중 하나는 반드시 저 츄우신쿠라[忠臣蔵]에 관한 드라마를 방영하지요.

 

호전적 일본과 집요하게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을 개척하는 일본기업에도 '주신구라'라는 공통의 인자가 담겨 있다.

 

 

이 말은 사족인 것 같습니다. 저도 사족을 달아보자면, 전투국가 한국은 집요하게 기술 개발과 시장 개척을 안 한답니까? 그럼 우리 기업에도 ‘주신구라’의 인자가 있나요?

  1. 저처럼 표기법을 전혀 따르지 않는 사람이 할 소리는 아니지만, 전 듣보잡 블로거고 신문은 그렇지 않으니까요! [본문으로]
  2. 하리마[播磨]를 말합니다. [본문으로]
  3.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가신 아사노 나가마사[浅野 長政]의 현손. 즉 손자의 손자. [본문으로]
  4. 코우케를 통솔하는 직책 [본문으로]
  5.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 이후 토쿠가와 가문[徳川家]의 부하가 된 다이묘우 [본문으로]
  6. 키라 저택에 침입한 47명 중 한 명인 호리베 야헤에[堀部 弥兵衛]가 쓴 '堀部弥兵衛金丸私記'에는, "칙사가 머무는 저택에서 키라 코우즈케노스케님 사소한 것에 이르기까지 욕을 하셨지만, 맡은 임무가 막중한 것을 알기에 아사노 타쿠미노카미님은 계속 참으셨다" [본문으로]
  7. 에도성 안채[大奥]를 감찰, 성 출입증서 관리, 쇼우군이 에도성에서 외출했을 때 에도성 수비의 임무를 가진 직책. [본문으로]
  8. 사실 이런 사태에 병력 파견은 특별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실제 아코우 번도 7년전인 1694년 빗츄우[備中] 마츠야마 번[松山藩] 미즈타니 가문[水谷家]에 후계가 끊겨 번 폐쇄가 되었을 때 3500명을 이끌고 가서 성을 접수한 적이 있었습니다. [본문으로]
  9. 여담으로 2000년도 작 영화 '기묘한 이야기 – 사무라이의 휴대폰편'에서 자주 오오이시에게 보고하며 귀찮게 하던 동글동글한 아저씨가 바로 하라 소우에몬입니다. [본문으로]
  10. 큰일을 벌이고 명성을 높여 다른 가문에 취직하고자 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실제로 거사를 벌일 후에 낭인들은 4가문에 각각 나뉘어 유폐 당했는데, 그 중 쿠마모토 호소카와 번[熊本細川藩]의 번주 호소카와 츠나토시[細川 綱利]는, 거사를 벌인 충성이 기특하다며 나중에 잘 되면 자기네 번에 취직시켜주겠다는 말을 하여, 낭인들을 희망에 부풀게 만듭니다. [본문으로]
  11. 최종적으로 맹약서를 서명한 사람은 1702년 음력 7월~8월 사이에 55명이었고, 그 수가 점점 줄어 사건이 벌어진 1702년 음력 12월 14일에는 8명이 빠진 47명이 되지요. [본문으로]
  12. 쿠니에다 칸지[邦枝 完二]의 여첩자[女間者]. [본문으로]
  13. 참고로 모우리 코헤이타는 거사가 일어나기 3일전인 12월 11일에 탈맹합니다. 이 모우리 코헤이타가 빠지면 그렇잖아도 소심한 오오이시 쿠라노스케가 마음을 돌릴까 두려워, 호리베 야스베에[堀部 安兵衛]는 비밀로 하고 정문 침입조에 배치한 계획서를 오오이시에게 제출할 정도였습니다. 오오이시도 그가 있는 줄 알고 나중에 모우리 코헤이타를 포함시켜 보고할 정도였습죠. [본문으로]
  14. 막부의 최고사법기관. 막부의 최고 직책들이 모여 회의. 단 이때 노중(老中)는 없었음. [본문으로]
  15. 막부의 수상들 [본문으로]
  16. 특히 밤 중에 무리지어 활까지 쏘며 공격한 것은 불한당이라며. [본문으로]
  17. 당시 무사에게 참수는 불명예스러운 죽음이었다고 합니다. [본문으로]
  18. 할복은 무사다운 죽음이었다 합니다. [본문으로]

 토쿠가와 막부[徳川幕府]가 들어선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즈음, 가신들을 이끌고 말에 올라 에도[江戸]의 대로를 가로지르는 히고[肥後] 54만석의 다이묘우[大名] 카토우 키요마사의 위풍당당한 모습이 에도 시민들 사이에 화제를 되었다.
 키요마사는 신장이 6척[각주:1]을 가볍게 넘고[각주:2] 햇볕에 그을린 구릿빛 얼굴에 입이나 턱 주위에는 수염이 무성하게 덮인 대장부였다. 허리에는 1m7cm의 큰 칼[大刀]을 차고, 어깨높이가 180cm 넘는 괴물같이 거대한 말에 올라타 있었다 한다. 무엇보다 당시의 말은 어깨높이 120cm가 보통이었다.
 사람들은 그런 키요마사에게서 고(故) 타이코우[太閤]
히데요시[秀吉]의 직속 장수, 무공이 뛰어나 ‘칠본창[각주:3]’이라는 이명을 얻은 무장, 임진왜란 시 일본의 맹장에 걸맞은 보습이라 보고 나중에는 유행가까지 만들었다.

에도 깡패 모가리에게 거칠 것은 없겠지만 밤색 제석만은 피하시오
江戸のもがりにさわりはすとも、よけて通しゃれ帝釈栗毛
 ‘에도 깡패 모가리[江戸のもがり]’는 당시 에도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공갈 깡패를 말하며, ‘밤색 제석[帝釈栗毛]’는 키요마사의 애마를 말한다. 안하무인인 깡패라도 키요마사가 타는 말에는 대적할 수 없다는 말이리라.

 키요마사는 센고쿠[戦国] 무장 중에서도 일화가 많은 사람인데, 특히 조선에서 호랑이 퇴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십문자 창을 휘둘러 호랑이의 숨을 끊었는데 그때 호랑이는 창의 한쪽 날을 물어서 뜯었다는 이야기인데[각주:4], 이는 에도 시대 말기의 창작으로 처음 실린 책에서 키요마사는 철포를 쏘아 호랑이를 잡았다고 한다. 여담으로 키요마사의 통칭은 토라노스케[虎之助]로  범 호(虎)자가 들어간다.

 키요마사는 히데요시와 같은 오와리[尾張] 나카무라[中村] 태생이라고 하며, 전하는 바에 따르면 키요마사의 모친은 히데요시의 모친(오오만도코로[大政所])과 사촌지간이라고 한다[각주:5]. 그런 연으로 키요마사는 어릴 적에 당시 나가하마 성[長浜城]의 성주였던 히데요시에게 맡겨졌다. 이때부터 문자 그대로 히데요시가 직접 키운 가신으로서의 키요마사 생애가 시작되는 것이다.
 히데요시 자신도 노부나가[信長]가 아니었다면 출세할 수 없었을 정도로 미천하였기에, 친척이나 히데요시 가문을 대대로 섬긴 가신이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 그렇기에 키요마사와 같이 조금이라도 핏줄이 닿는 사람을 교육시켜 자신의 수족으로 만들려 하였다. 그런 만큼 키요마사의 출세도 빨랐다.

 1576년 15살 성인식이 있던 해에 170석을 받았으며[각주:6], 1581년 6월 20살에 톳토리 성[鳥取城] 공성전에서 데뷔전[初陣]을 치르게 되는데 키요마사는 정찰 나갔다가 공을 세웠고, 이후 히데요시를 따라 각지를 전전.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칠본창(七本槍)라 일컬어지는 전공을 세워 일약 3000석[각주:7]이 주어진다. 지위도 철포 150정, 히데요시가 파견하는 무사[与力] 20명을 휘하에 둔 중급 장교[物頭]로 승진하였다. 이 정도되면 당당한 무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이례적인 출세에는 히데요시의 덕도 있었겠지만 그 이상으로 키요마사 자신이 무장으로서 뛰어난 자질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 후도 키요마사는 히데요시를 따라 코마키-나가쿠테 전쟁[小牧・長久手の役], 큐우슈우 정벌전[九州の役] 등에 참전하여 1588년에는 일거에 히고[肥後] 절반이 주어져 드디어 다이묘우[大名]가 되었다. 나머지 반을 하사 받은 것이 코니시 유키나가[小西 行長]이다.

 1592년 조선 침략[각주:8]에서 키요마사는 코니시 유키나가와 함께 선봉에 임명되어 서로 경쟁해 가며 파죽지세로 진격하였지만, 곧바로 의병(義兵)이 일어나고 명나라가 원군을 파병하자 전황이 악화되었다. 거기에 전쟁정책에 관해 대륙정복론자인 키요마사와 화평론자인 코니시 유키나가 사이에는 자연스레 반목이 생겨, 결국에는 작전에도 영향을 끼쳤다. 원래 둘은 전쟁이 일어나기 전부터 소위 무공파와 문치파로 대립하였다. 그리고 그 때문에 키요마사의 신상에 위기가 생긴다.

 조선에 가 4년째인 1595년.
 갑자기 히데요시에게서 귀국을 명령 받은 것이다. 그것이 히데요시의 분노를 나타내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었다. 귀국명령은 일본군의 감찰[軍監]인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 등이 작성한 키요마사의 행동보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시다의 보고는 전부 키요마사의 방자한 말과 행동을 비난하고 있었다.

 이리하여 명령에 따라 키요마사는 후시미[伏見]로 돌아왔지만, 히데요시는 면담을 허용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키요마사는 다섯 행정관[五奉行] 중 한 명인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에게 히데요시의 화를 풀어달라고 부탁하였다. 하지만 나가모리는 미츠나리와 화해하기만을 권할 뿐이었다. 이렇게 되자 키요마사는 이제 와서 무슨 말을 하냐며,
“하치만[八幡][각주:9]도 굽어 살피소서, 지부[治部][각주:10]놈과 평생 화해 따위 하지 않겠소. 그 놈은 조선에서 한 번도 싸우지 않은 주제[각주:11]에 남의 뒤따마만 까며 끌어내리려고만 하는 더러운 놈이다. 아무리 소인이 타이코우[太閤[각주:12]]에게 용서를 받지 못하고 배를 가르는 한이 있더라도 결코 지부 놈과는 화해는 하지 않겠소.”
하며 분노하였다고 한다.

 키요마사의 근신생활은 반년 정도 이어졌다. 그러던 1596년 7월. 킨키[近畿] 지방에 큰 지진이 일어났다 . 속설에 따르면 키요마사는 근신 중인 자신의 처지도 잊고 수하 200여를 이끌고 후시미 성에 와서 히데요시를 보호하며 성을 수비하였다. 이것을 안 히데요시도 노여움을 풀고 키요마사의 죄를 용서했다고 한다[각주:13] [각주:14]. 후세 연극 등에서 ‘지진 카토우[地震 加藤]'라 불리게 되는 명장면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키요마사의 명성은 한층 더 높아지게 되었다.

 1597년. 조선으로 재침공. 즉 정유재란이 시작되자 키요마사는 또다시 출정하여 이 해의 막바지에 가장 치열하고 처참한 전투를 치르게 된다. 유명한 울산성(蔚山城) 농성전이다.
 엄동의 12월[각주:15]. 4만4천이라는 명나라 대군의 포위 속에서도 키요마사는 철저항전 하였다. 성 안의 식량은 이미 바닥을 들어내고 있었다. 더구나 명의 전법은 장기 포위전[兵糧攻め]이었다. 성 안에 있던 오오코우치 히데모토[大河内 秀元][각주:16]는,
 “매일 행전(行纏)[각주:17]이 흘러 내렸다. 처음엔 고쳐 맸지만 나중에 뭔가 이상하여 행전을 떼어 보자 다리에 살이 하나도 없이 뼈와 가죽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
 고 기록하였고, 명나라 기록에도 - 일본군은 종이를 먹고 오줌으로 갈증을 해소하였다, 고 기록되어 있듯이 성 안 일본 병사들은 굶주림과 추위로 인해 동상에 걸리는 사람, 얼어 죽는 사람이 속출했다.
 이러한 지옥 속에서 키요마사도 죽음을 각오했는지 코바야카와 히데아키[小早川 秀秋] 등 여러 장수들에게 보낸 편지에,
 “만약 낙성된다면 이런 모습들을 타이코우[太閤] 님에게 보고해 주길 바란다”
 고 썼다. 모우리[毛利], 나베시마[鍋島], 쿠로다[黒田] 등 여러 장수의 구원이 제시간에 도착하여 조선과 명의 군사들은 포위를 풀고 철퇴하였다.

 고군(孤軍)이면서 항전을 계속한 키요마사에게 적인 명나라 측도,
 “오랑캐[酋] 중에서는 가장 사납고 굳세다”
 “재능은 유키나가보다 몇 배나 뛰어나다”
 며 절찬하였다.

 1598년 8월. 히데요시가 죽어 길었던 조선에서의 싸움도 끝났다. 키요마사에게 남겨진 것은 두 번에 걸친 전쟁 중에 한층 더 깊어진 이시다 미츠나리, 코니시 유키나가 등에 대한 증오뿐이었다. 이런 키요마사가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 이시다 미츠나리의 편을 들 이유가 없었다.
 키요마사는 큐우슈우[九州]에서 동군 측에 서서 싸워, 코니시 유키나가의 거성 우토 성[宇土城]과 속성 야츠시로 성[八代城]을 공략. 전쟁 후 히고[肥後] 전부를 하사 받았다[각주:18]. 천하의 명성 쿠마모토 성[熊本城]의 축성에 임한 것은 다음 해인 1601년이었다.

 토쿠가와의 시대에 들어서도 키요마사의 토요토미 가문[豊臣家]에 대한 충성심은 변함없었던 듯, 토요토미 가문 존속을 위해, 1611년 히데요리[秀頼]를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와 대면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후 쿠마모토로 돌아가던 도중 병에 걸려 귀성한 뒤 얼마 지나 죽었다. 그 죽음이 너무도 급작스러웠기에 독살설도 유포되었다고 한다.

[가토 기요마사(加藤 清正)]
1562년 오와리[尾張] 에치 군[愛智郡] 나카무라[中村]에서 태어났다.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合戦] 후
오우미[近江], 야마시로[山城], 카와치[河内]에 조금씩 3000석을 하사 받았다. 큐우슈우 정벌[九州征伐]에 종군하여 히고[肥後]의 반인 25만석을 영유하였다[각주:19].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 동군에 속하여 히고 54만석을 하사 받았다. 축성, 치수, 간척에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였다. 1611년 6월 24일 죽었다. 51세.

  1. 6척3촌. 약 191cm. [본문으로]
  2. 5척3촌(161)이라는 말도 있다. [본문으로]
  3. 1583년 오우미[近江]에서 히데요시[秀吉]와 시바타 카츠이에[柴田 勝家]가 싸운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뛰어난 무공을 세운 7명의 무장.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清正], 카토우 요시아키[加藤 嘉明],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 安治], 히라노 나가야스[平野 長泰], 카스야 타케노리[糟屋 武則], 카타기리 카츠모토[片桐 且元]를 지칭함. [본문으로]
  4. 때문에 키요마사의 동상에 있는 창은 십문자창이 아니라 "ㅓ"자형 창이다. [본문으로]
  5. 아라이 하쿠세키[新井 白石]의 번한보[藩翰譜]에는 그렇게 실렸다 한다. [본문으로]
  6. 문서로 남아 있기로는, 1580년 히데요시에게서 하리마[播磨] 내에 120석을 받은 것이 초견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7. 오우미[近江] 내에 1800석, 카와치[河内] 내에 1097석, 야마시로[山城]에 50석...으로 약 3000석. [본문으로]
  8. 임진왜란. [본문으로]
  9. 무가(武家)의 수호신 [본문으로]
  10. 지부쇼우유우[治部少輔]. 이시다 미츠나리의 관직명. [본문으로]
  11. 행주산성에 참전하여 부상당했다. [본문으로]
  12. 타이코우[太閤]는 칸파쿠[関白]직에서 물러난 사람을 이르는 경칭. 즉 히데요시. [본문으로]
  13. 당시 키요마사가 히데요시의 안부를 묻는 편지가 있기에(직접 지켰다면 안부 편지 같은 것은 안 쓸테니), 실제로 달려가지 않았다는 말도 있다. [본문으로]
  14. 실제 키요마사 근신이 풀리는 데에는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와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의 주선 덕분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문으로]
  15. 음력. [본문으로]
  16. 일본측에서 임진왜란, 정유재란의 전말을 기록한 "조선 이야기[朝鮮物語]"의 저자. [본문으로]
  17. 정강이에 차는 각반....(저는 행전보단 각반이 익숙합니다만 '행전'으로 쓰라고 하네요) [본문으로]
  18. 단 후에 시마바라의 난[島原の乱]의 무대가 되는 아마쿠사[天草] 섬 등은 기독교도들이 많았기에 막부에 부탁하여 옆 지방인 붕고[豊後]의 세 개군(郡)과 교환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19. 19만~25만석까지 다양. 개인적인 추측으로 19만석은 키요마사에게 주어진 것이며, 3만석은 키요마사 편제 하의 히고 지역 호족[国人], 거기에 히고[肥後] 안에 있던 히데요시 직할령[蔵入地] 3만석을 키요마사가 대관(代官)이 되어 관리한 것을 포함하여 25만석이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본문으로]

에반게리온...인가...

동영상 2009. 12. 14. 22:39 Posted by 발해지랑


근래 블로그계를 진동시키고 있는 에반게리온 파..??
그렇게 재미있고 감동적인가 보더군요.
그런 잔치에 동참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기도 하고 약간 억울하기도 하고...
여태까지 전 에바 시리즈를 본 적이 없거든요.

한창 에바가 동북 아시아를 휩쓸 때,
제 관심사는 야구였습죠.
당시 낮에는 동대문 야구장에서 그 땡볕에 땀 뻘뻘 흘리며 스코어 북 쓰고 있었고, 저녁에는 잠실...이라는 식으로 생활 전부가 야구 구경이었던지라...

덕분에 지금 이 열광에 동참 & 동감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기도, 약간 억울하기도 하군요.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블로그 쓰던 때의 배경 음악.  (4) 2010.01.08
시티헌터 엔딩곡 - get wild  (2) 2009.12.27
릴리 마를렌  (0) 2009.11.16
Deus Non Vult  (0) 2009.08.19
바람의 검심- 추억편 엔딩  (4) 2009.08.14

근황 - 20091211

내 이야기 2009. 12. 11. 21:52 Posted by 발해지랑
1. 모범시민을 보았습니다.
모범시민
감독 F. 게리 그레이 (2009 / 미국)
출연 제라드 버틀러, 제이미 폭스, 레슬리 빕, 마이클 갬본
상세보기

초반엔 좋았는데 중반 즈음 부턴가? 하여튼 이상해지기 시작하더군요. 레오니다스 왕이 왜 저러시는지 알 수가 없고, 필라델피아 시장님께서도 저렇게 오버하는 이유도 알 수 없고... 특히 검사 부인이 브렌다이다 보니 그녀가 등장할 때 마다 웃음이 나와서 몰입이 안 되더군요.




< 브렌다의 활약상 >

2. 교보에 들렸다가 책을 샀습니다(책표지 클릭시 교보문고로 점프).
아직 읽지 못한 책들이 많지만 충동구매를 피할 방법이....

쵸우소카베 모토치카 - 시코쿠의 영웅, 삼대의 영광과 고뇌, 20670원
[長宗我部 元親. 四国の雄、三代の栄光と苦悩]



복각판이니 과거에 나왔다 절판되었던 책을 이번에 새로 발매한 듯 합니다.
한 동안 특별한 주제가 없었는지 최신고대사론 이후 약 반년 동안 역사군상 시리즈 없이 있다가 뜬금없이 이 시기 어째서 쵸우소카베인가...인데...뭐 저야 구하지 못했던 역사군상 시리즈를 구했으니 만족은 합니다.

일본사에 나오는 '관직과 위계'를 알 수 있는 책. 24700원
日本史に出てくる官職と位階のことがわかる本

개념 정리를 위해서.



3. 쓰고 싶은 것은 많은데 실력 부족 & 귀찮니즘 & 글 솜씨 부족...으로 인해 '에이~ 그냥 남꺼 번역이나 하면서 떼우자~'라는 생각만 드는 요즘입니다....--;

4.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에 붙잡혀 오지 않던 센고쿠 천정기 7권이 드디어 왔습니다.
아~ 역시 재미있습니다. 구할 수 없어 못 읽는 분들에게 "약오르지~롱~"하고 싶어질 정도로 재미있습니다. 우하하~

5. 우분투를 깔다 실패했습니다. 인스톨까지는 시켰는데 리부팅하니 부트 이미지가 없다나?

'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황-20100807  (10) 2010.08.07
근황 - 20100129  (9) 2010.01.29
북오프 신촌점에 갔다 왔습죠.  (12) 2009.11.27
근황 - 20091120  (2) 2009.11.20
근황 - 20091117  (6) 2009.11.17

 만약 유우키 히데야스[結城 秀康]가 만약 이에야스[家康]의 아들이라는 자리에 있지 아니했다면, 어엿한 센고쿠[戦国]의 영웅으로 한자리를 차지하며 찬란한 업적을 남겼을 것이다. 뛰어난 자질을 가졌으면서도 그 핏줄로 인하여 결국 아무것도 행하지 못하고 일생을 끝마쳐 버린 것이다.

 히데야스의 자질을 말해주는 에피소드가 있다.
 히데야스가
에치젠[越前] 키타노쇼우[北ノ庄] 67만석이라는 큰 영지에 봉해졌을 때,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가 방문해서는,
 “만약 천하에 이변이 일어났을 시에 소인은 당신과 함께 하겠습니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 누구의 눈으로 보건 동생인 쇼우군[将軍] 히데타다[秀忠]보다 히데야스의 기량이 뛰어나 보였던 듯 하다. 아비 이에야스조차 히데야스를 두려워 했던 듯한 흔적이 있다.

 세키가하라[関ヶ原] 결전 때, 이에야스는 히데야스를 결전에 참가시키지 않으려고 아이즈[会津]의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를 봉쇄하는 임무를 주며 우츠노미야 성[宇都宮城]을 지키게 한 것은, 행여 히데야스가 세키가하라에서 전공이라도 세워 쇼우군 히데타다를 능가하면 큰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각주:1]. 히데야스라면 이런 혼란을 틈타 천하를 취할법한 실력을 가졌다 여겨지고 있었던 것이다.

 히데야스의 생모는 이름을 오만[お万]이라고 하며 미카와[三河] 치리후[池鯉鮒[각주:2]]에 있던 신사에 근무하던 신관[각주:3]의 딸이었다고 한다[각주:4]. 이에야스의 정실 츠키야마도노[築山殿]의 시녀였던 것을 이에야스가 미카와 오카자키 성[岡崎城]의 목욕탕에서 손을 대어 히데야스를 낳게 했다고 한다. 오만이 임신한 것을 알아챈 츠키야마도노는 질투를 증오로 바꾸어 오만의 옷을 모두 벗겨 나무에 매달아 채찍질했다고 한다.[각주:5] [각주:6] [각주:7]
 이런 과정을 거쳐 태어난 히데야스는 그 용모가
동자개[ギギ – 매기와 비슷하게 생긴 물고기]와 닮았다 하여 ‘오기마루[於義丸]’ 라고 불렸다고 한다. 하지만 이에야스가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지 않고 만나려 하지 않았다. 그것을 혼다 사쿠사에몬 시게츠구[本多 作左衛門 重次]나 이에야스의 적자 노부야스[信康]가 꾀를 내어 대면시켜 결국엔 이에야스가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오기마루에 대한 이에야스의 애정은 박했다. 그리고 히데야스가 태어난 지 5년이 지나 이에야스의 애첩 오아이노카타[お愛の方]에게서 히데타다[秀忠], 타다요시[忠吉]가 태어나자 한층 더 히데야스의 존재감은 엷어져 갔다.

 11살 때, 오기마루는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양자가 되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이에야스가 바친 인질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히데요시는 히데야스의 호탕한 기질을 사랑했다. 이름을 자신의 ‘히데[秀]’와 이에야스의 ‘야스[康]’를 따 ‘히데야스[秀康]’로 지은 것도, 거기에 칸토우[関東]의 명족(名族) 유우키 씨[結城氏[각주:8]]를 계승하게 한 것도 히데요시의 깊은 애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히데요시의 큐우슈우 정벌전[九州の役] 때, 히데야스가 후방에 있어 공을 세우지 못한 아쉬움에 눈물 흘린 것을 보고,
삿사 나리마사[佐々 成正]가 히데요시에게,
 “역시 토쿠가와 님의 기풍을 물려받으신 듯”
 하고 말하자 히데요시가,
 “그렇지 않네. 히데야스는 이제 내 아들이니 무(武)에 관해서는 이 히데요시를 닮은 것일세”
 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도, 히데요시가 히데야스에게 얼마나 깊은 애정을 가졌었는지를 전해주는 이야기이다.

 또한 이러한 일도 있었다. 히데야스가 16살 때의 일이라 하는데, 히데야스가 후시미[伏見]에 있는 승마장에서 말을 타고 있을 때, 승마장 관리인이 경주라도 하려는 듯이 히데야스의 옆으로 달려와 말머리를 나란히 한 것이다. 히데야스는 그 무례에 분노하며 단칼에 베어 죽여버렸다. 관리인의 죽음에 승마장에 있던 관리인의 동료들이 살기를 띠며 히데요시에게 히데야스를 벌 주라고 간청하였지만 히데요시는 오히려,
 “내 아들에게 무례를 범한 승마장 관리인이야말로 죽어 당연하다”
 고 말하며 히데야스의 호방함을 칭찬했다고 한다.

 그 히데요시가 죽은 뒤, 토요토미 가문[豊臣家]에 응어리져 있던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清正],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 등 무공파 장수들과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 등 문치파 관료들의 알력이 표면화 되었다. 결국 카토우 등이 이시다 미츠나리 습격을 꾀함에 이르자 미츠나리는 어쩔 수 없이 이에야스에게 보호를 청하였고 그 후 목숨을 건지는 대신 사와야마[佐和山]에 은거 당하게 된다. 사와야마로 향하는 미츠나리의 안전을 위해서 이에야스는 히데야스에게 호리오 요시하루[堀尾 吉晴]와 함께 호위를 맡도록 지시하였다. 히데야스는 그때 병사[足軽]들에게는 철포의 화승에 불을 붙인 채 경계하면서 행군하도록 하였으며[각주:9], 무사들에게도 갑주를 두르게 하여 완전 무장한 채로 행군하는[각주:10] 등 히데야스는 철저한 경계태세를 유지하였다.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 후 히데야스는 에치젠[越前] 후쿠이[福井[각주:11]]로 이봉(移封)되어 마츠다이라 성[松平姓]를 칭하였는데[각주:12], 1605년 히데타다가 쇼우군[将軍]이 되자 히데야스는 쇼우군의 형님이었기에 히데야스의 에치젠 가문은 “제도 밖의 에치젠 가문[制外の越前家]’이라고도 일컬어지며 남다른 대우를 받게 되었다.
 히데야스가 에도[江戸]에 올 일이 있을 때에는 쇼우군 히데타다가 일부러 시나가와[品川]까지 마중 나왔고, 시나가와에서 에도로 향하는 길에서 히데타다는 자신의 가마를 히데야스보다 아랫자리에 위치하도록 했을 정도였다.

 이런 이야기도 있다.
 히데야스의 행렬이 에도로 가기 위해서
우스이 고개[碓氷峠]]의 관문소[関所]에 이르렀을 때의 일이다. 이때 에치젠 가문은 철포 100정을 휴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단 한 정도 에도로 들여서는 안 되는 것이 천하의 법도였다. 당연히 관문소의 하급 관리들은 철포는 안 된다고 하였다. 이를 보고 히데야스가 말했다.
 “그것은 토자마 다이묘우[外様大名[각주:13]]에게나 적용되는 법도일 것이다. 내가 에치젠 츄우나곤 히데야스[越前 中納言 秀康]임을 알고 막는 것인가?”
 히데야스가 이렇게 말하자 관문소의 하급 관리들은, 츄우나곤이건 다이나곤[大納言]이건 법도는 법도올시다. 통과시킬 수는 없소 하며 말했을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시팔시팔댔다. 히데야스는 격노했다.
 “관문소의 법을 지키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 욕설들과 츄우나곤 다이나곤하며 운운대는 것은 용서할 수 없도다”
 라고 말한 뒤, 부하들을 향해서,
 “저 놈들을 한 놈도 남김없이 죽여버려!”
 하고 명령한 것이다.
  에치젠 가문의 무사들은 일제히 창을 꼬나 쥐고 칼을 칼집에서 뽑았다. 하급 관리들은 놀라 모두 도망쳤다.
 이것이 에도에 전해지자 히데타다는,
 “관리들이 도망친 것은 분별 있는 행동이도다. 아무리 관리들이 죽더라도 함부로 츄우나곤(히데야스)에게 벌을 내릴 수는 없는 법”
 이라 말하며 불문에 부쳤다고 한다.

 히데야스의 마음 속에 배다른 동생 히데타다가 쇼우군이 되었다는 것에 대한 불만이 있더라도 무리가 아니었다. 어느 날, 후시미[伏見]에서 오쿠니[阿国]를 불러 그 춤을 구경한 적이 있었다. 오쿠니의 춤을 보면서 히데야스는 눈물을 뚝뚝 흘리며 말했다.
 “천하에는 수천 만의 여성이 있겠지만 이 오쿠니를 천하 제일의 여인이라 한다. 하지만 나는 천하 제일의 남자가 될 수 없으니 여자인 오쿠니에게조차 이르질 못하는구나. 이 어찌 분하지 않단 말인가”
 하고 말했다 한다.

 히데야스는 동생 히데타다가 쇼우군이 된지 2년 후에 34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죽었다.

[유키 히데야스(結城秀康)]
1574년
미카와[三河]에서 태어났다.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의 둘째 아들. 1584년 코마키-나카쿠테 전쟁[小牧・長久手の戦い]의 강화 교섭 후 인질로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양자가 되었고, 1590년 시모우사[下総]의 명문가 유우키 가문[結城家]의 양자가 되어 10만 1천석을 상속.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 후 마츠다이라 성[松平姓]으로 복귀하여 에치젠[越前] 키타노쇼우[北ノ庄] 67만석에 봉해졌다. 1607년 죽었다.

  1. 우에스기 정벌을 앞두고 세키가하라로 향하게 되는 오야마 평정[小山の評定] 후 약 1개월 간은 히데타다가 우츠노미야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후 히데타다는 후방의 사나다 마사유키[真田 昌幸]를 정벌하러 떠나고 대신해서 그제서야 그 임무를 맡게 된 것이 히데야스이다. 그 사이 미노[美濃]의 기후 성[岐阜城]이 너무도 단기간에 함락되어 상황이 변화되자 히데타다는 급히 세키가하라로 향하게 된다....한줄 요약하면 히데야스가 공 세울 것을 두려워 하여 처음부터 우츠노미야에 남긴 것은 아니다. [본문으로]
  2. 현 치류우 시[知立市]. 당시 연못[池]에 잉어[鯉]와 붕어[鮒]가 많이 살아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3. 신사(神社)의 말단 사무를 보는 직책인 샤닌[社人]이었다 한다. [본문으로]
  4. 나가미 시마노카미 요시히데[永見 志摩守 吉英]의 딸. 혹은 셋츠[摂津]의 의사인 무라타 이치쿠[村田 意竹]의 딸(또한 나가미 시마노카미가 나중에 셋츠로 가서 무라타 이치쿠가 되었다는 말도 있다). [본문으로]
  5. 그렇게 매달린 오만을 혼다 시게츠구[本多 重次]가 구해서 자기 집으로 데리고 가서 낳게 했다고도 한다. [본문으로]
  6. 또는 오만이 매질을 맞는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친척인 혼다 한에몬[本多 半右衛門]의 집으로 도망갔으며, 한에몬은 시게츠구에게 이런 일을 보고하여 시게츠구가 양육을 담당하게 되었다고도 한다. [본문으로]
  7. 에치젠 가문의 가전[越前家伝]에 따르면 – 어떤 이유인지 모르겠으나 이에야스의 명령을 거역하고 혼다 한에몬[本多 半右衛門]의 큰엄마(伯母)에게 와서 도망치겠다고 하자 한에몬의 큰엄마는 성으로 돌아가라고 했으나, 오만은 돌아가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말했다 한다. 이 한에몬의 큰엄마는 과거 이에야스가 어렸을 때 시중 들던 여성이라 한다. 한에몬의 큰엄마 다음 날 입성하여 이에야스를 만나 오만에 대해 보고하였지만 이에야스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아 그냥 한에몬 큰엄마 집에서 머물다 30일 뒤 쌍둥이를 낳았다 한다. 한 명은 곧바로 죽었으며 나머지 한 명이 히데야스라고 한다....(여담으로 쌍둥이 중 하나가 죽지 않고 나가미 사다치카[永見 貞愛]가 되었다는 말도 있다. 당시는 동물이나 한꺼번에 여럿 낳지 사람은 한 명씩만 낳기에 쌍둥이는 사람 취급을 안 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8. 이에야스의 할머니부터 9대 쇼우군 이에시게[家重]의 생모에 이르기까지 에도 막부의 역대 쇼우군의 생모, 정실, 애첩, 측실 및 유모를 기록함과 동시에 그녀들의 출신 가문들을 기록한 [옥여기(玉輿記)]에 따르면, 유우키 가문은 카마쿠라 막부[鎌倉幕府] 초대 쇼우군[将軍]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 頼朝]의 셋째 아들인 유우키 토모미츠[結城 朝光]를 시조로 하며 - 공인된 요리토모의 아들은 2대 쇼우군 요리이에[頼家], 3대 쇼우군 사네토모[実朝]로 두 명뿐. - 히데야스의 양아버지가 되는 유우키 하루토모[結城 晴朝]는 토모미츠의 19대손이라 한다. 참고로 유우키 토모미츠는 그 어미가 요리토모의 씨를 품은 상태로 요리토모가 오가와 토모미츠[小山 朝光]에게 하사하였고 그 후 태어난 것이 유우키 토모미츠라 한다....근데 이걸 믿으면 질 확률이 높다. [본문으로]
  9. 오발의 위험과 화승을 아끼기 위해서 막 전투가 벌어지기 전이 아니면 이렇게까지 하지는 않았다. [본문으로]
  10. 갑옷과 투구 무게도 무시할 수 없는 터라 행군 시에는 상체 갑옷과 투구를 따로 챙겨서 이동하였다. [본문으로]
  11. 이때까지는 아직 키타노쇼우[北ノ庄]. 후쿠이[福居]로 이름이 바뀌는 것은 에치젠 마츠다이라 가문 3대이며 히데야스의 차남인 마츠다이라 타다마사[松平 忠昌] 때. 키타노쇼우[北ノ庄]의 키타[北]가 패배(敗北)와 글자가 같아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후에 후쿠이[福井]로 발음은 같지만 한자가 바뀌게 된다. [본문으로]
  12. 위키에 따르면 확실히 마츠다이라 성을 썼는지는 확실치 않다고 한다. [본문으로]
  13. 세키가하라 이후 토쿠가와 가문을 섬긴 가문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