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보충

일본사 이것저것 2009. 6. 6. 06:12 Posted by 발해지랑
한국에도 ´큰 人物´ 나올 때 됐다

글 중에서 하단에...
국면을 좌지우지한인물은 ‘사쓰마’의‘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와‘오쿠보 도시미치’(大勾保利道),그리고 막부 측의‘가쓰카이슈(勝海州)의세 사람이었다.
음....카츠 카이슈우[勝 海舟]가 마지막에나 등장해서 에도 성을 무혈개성에 얼굴을 비추기는 하지만 국면을 좌지우지한 인물까지는 아니지 않을까요? 어련하면 그의 제자로 여겨지는 사카모토 료우마[坂本 龍馬]가 구상했다고 하는 조각론[각주:1]에도 카츠의 이름은 없을 정도로 존재가 희미하답니다.

‘사이고’는 일찍이 자살하고, ‘오쿠보’는 젊은 나이에 암살되었다. ‘이등’은 우리의 안중근 의사에게 암살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노력으로 일본은 일찌감치 통일되고, 서구화 근대화의 길을 질주하여 오늘날의 대국이 되었다
사이고우 타카모리[西郷 隆盛]는 지 뜻대로 되지 않자 무작정 낙향해서 '사학교당'이라는 파벌을 만들고는 결국 반란을 일으켰지만('おはんたちがその気なら、おいの身体は差し上げもんそ[각주:2]라는 말을 하기는 했지만) 얼간이같은 짓[각주:3]으로 캐삽질하다가 패하고 닥돌하다 총 맞고 '이제는 여기까진가~'하고 배 가른 것.

오오쿠보 토시미치[大久保 利通]가 49살에 죽은 것이 젊은 나이였는지 어땠는지는 느끼는 사람마다 다르니 그렇다 치고, 오오쿠보가 개혁하다가 보수꼴통들(당시 일본식으로 보자면)에게 암살당했는지는 아신다면 쓰신 글하고 안 맞지 않을까?

그냥 급한 땜질 포스팅~
  1. 바쿠후 최후의 쇼우군 토쿠가와 요시노부(徳川 慶喜)가 정권을 조정에 되돌려 준 '대정봉환'에 감격하여 차후 정권의 중추(内大臣)에 요시노부를 앉힌 내각..비슷한 것. [본문으로]
  2. 반란을 일으키기 앞서 부하들에게 회의를 시키다 무개추가 반란에 이르르자. "니들이 그런 생각이라면 내 몸을 받치마"... [본문으로]
  3. 쿠마모토 성의 타니 타테키[谷 干城]한테 자기가 성을 비우고 자기 편이 되라고 명령내리면 정부를 배신하고 자기한테 올 줄 알았다고 한다. [본문으로]

폭풍 속에서 빛나야 해~

동영상 2009. 6. 3. 18:13 Posted by 발해지랑


仕草がやばいくらいにカワユス!
...
그러고 보니 1년전쟁 다룬 것 중에서는 유일하게 안 본 듯.
(무엇보다 건담이 여러 대 나오면 안 봐~)

'동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의 검심- 추억편 엔딩  (4) 2009.08.14
고양이를 키우면 이런 장점도 있습니다.  (2) 2009.07.27
이리 쉬운 걸 가지고...  (0) 2009.05.20
You는 shock!  (2) 2009.01.25
옥상 위의 소녀  (0) 2009.01.22

おもひでぺろぺろ (추억으로 낼름낼름)
 => 추억은 방울방울(원제 おもひでぼろぼろ).

ミニモミFUCKだぴょん(미니모니 fuck 다욘~)
 => 핼로~ 프로젝트의 단신 유니트 미니모니의 데뷰곡(ミニモニ。ジャンケンぴょん!)

見ろ肛門 (봐라! 항문 - 미로 코우몬)
 => 40년 동안 죽 이어져 온 수십 년 시대극의 대명사 水戸黄門(미토 코우몬)

ヤラセロナ おまんピック(야라세로나 오만픽...굳이 번역하면 ...안 하는 게 나을 것 같음)
 => 바로셀로나 올림픽 패러디

世界の射精から(세계의 사정에서)
 => 세계의 차창에서(世界の車窓から)
    전세계의 열차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운 풍경 소개 프로그램. 한국에서도 케이블 티비에서 볼 수 있음.

マゾの宅急便 (마조의 택배)
=> 지브리 애니메이션 '마녀의 택배(魔女の宅急便)'

風の谷でナニシタ(바람 계곡에서 뭐했노?)
=> 지브리 애니메이션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風の谷のナウシカ)

痴漢者トーマス (치한 토마스)
=> 꼬마 기관차 토마스

ファッキング・ニモ (퍼킹 니모)
=> 니모를 찾아서

前☆戯☆王 (전☆희☆왕)
=> (유희왕)

熟女性器 オヴァンゲリオン(.......)
真性器オバンフェロモン(.......)
=> 에반게리온.....おばさん

フェラスト・ガンプ 一股一毛 (.........)
=> 포레스트 검프

ハメナプトラ 黄金のフェラミッド (........)
=> 미이라2의 일본판 제목 ハムナプトラ2 黄金のピラミッド.....はめる

あしたのニョー (내일의 오줌)
=> 권투 만화 "내일의 죠"

ガキの腰使いやあらへんで (아이의 허리 돌림이 아니랑께)
=> 20년 동안 계속 되고 있는 코미디 프로그램 ダウンタウンのガキの使いやあらへんで!!

ちびりまる子ちゃん(지린 마루코짱)
=> 장수 만화 꼬마 마루코짱

とっとこハメ太郎(.......)
=> 축생 햄스터가 나오는 만화 とっとこハム太郎

調教ラブストーリー (조교 러브스토리)
=> 한때 엄청난 인기를 끈 드라마 동경 러브스토리

オパイレーツ・オブ・カリビアン
=> 캐러비안의 해적(パイレーツ・オブ・カリビアン)...おっぱい

ヌード・オブ・ザ・リング(누드 오브 더 링)
=> 반지의 제왕

한국이나 일본이나 작명 센스는 거기서 거기
다 아시는 당신은 저와 동급!!
....개인적으로 역사를 좋아하는 지라 "見ろ肛門"의 센스에는 뒤집어졌음.

밑에는 한국거


 한때 큐우슈우[九州] 6개 지역[国]에서 위세를 떨친 오오토모 소우린[大友 宗麟]은 기독교 다이묘우(大名)로도 유명하다.
 일본에 처음으로 기독교를 전파하여 당시
야마구치[山口]에 머물고 있던 프란시스코 하비에르를 자기 영지(領地)인 붕고[豊後]의 후나이[府
=현 오오이타 시[大分市]]로 초대하여 회견하였다. 소우린 22살 때였다. 이때부터 이 젊은 붕고의 주인은 이국(異國)의 종교에 흠뻑 빠져들기 시작한다.
"…(전략)내가 생각하기에 지금 들은 이 가르침보다 고귀한 말씀은 없었다. 또한 이 가르침보다 도리에 맞는 가르침 역시 없을 것이다"
 이때는 이렇게 고백하였지만 사실 당시만 해도 아직 기독교에 입신하지 않았다. 그 대신 붕고 영내(領內)에 포교를 허용하였으며 후나이[府
内]에 교회를 세워 한때 소우린의 영지(領地)는 일본 기독교 활동의 근거지가 될 정도였다. 한센병 환자를 수용하는 병원까지 지었다.

 한편 청년 소우린은 믿음직한 기독교 보호자이기는 하였지만 호전적이고 빠굴을 굉장히 좋아하는 센고쿠 무장이기도 하였다. 1553년에는 가신의 부인 중에 미모로 유명한 여성을 강제로 빼앗아 첩으로 삼았기 때문에 부인을 빼앗긴 핫토리 우쿄우노스케[服部 右京助]를 시작으로 한 이치마다 아키스케[一万田 鑑相], 무네카타 아키히사[宗像 鑑久] 등의 중신들이 모반을 일으켰다[각주:1]. 그외에도 소우린은 친족이나 가신들의 부인에게 손을 댔다.

 가독을 상속할 때 피비린내 나는 가문 내란이 일어났다.
 소우린의 부친 요시아키[
義鑑]가 난폭한 소우린[각주:2]을 미워하여 총애하던 측실과의 사이에서 낳은 시오이치마루[塩一丸]를 후계자로 삼으려 한 것이다. 이에 대해 장자상속을 주장하는 두 중신[각주:3]이 1550년 2월 10일 밤에 오오토모 저택의 2층에서 자고 있던 요시아키를 습격하여 시오이치마루와 그 어미를 죽인 것이다. 세상에서는 이를 '이층의 붕괴[二階崩れ]'라고 한다.[각주:4]

 소우린은 조금이라도 자신에게 해를 끼치려는 자가 있으면 육친이라 하더라도 용서치 않았다.
 1554
히고[肥後]의 키쿠치 요시타케[菊池 義武][각주:5]가 붕고[豊後]를 노렸다는 이유로 나오이리 군[直入郡] 키하라[木原]로 불러들여서[각주:6] 살해하였다. 요시타케는 소우린의 숙부였다. 이 숙부의 수급을 검사할 때 소우린은 "오오토모 가문을 노린 괘씸한 놈"이라며 채찍을 휘둘러 그 목을 마구 쳤다고 한다.

 1559년부터 1570년 동안 오오토모의 기세는 하늘 높은 줄 몰랐다. 그 사이에 쿄우토[京都] 다이토쿠 사[大徳寺]의 고승 이운 화상[惟雲和尙]을 초대하여 그에게 사사 받아 머리를 밀고 불문에 들어가 '즈이호우 소우린[瑞峯宗麟]'이라는 법호(法號)를 얻었다. 여전히 소우린은 기독교도가 아니었다.

 1571년 소우린은 아시카가 쇼우군[足利軍]에게서 '큐우슈우 탄다이[九州探題]'에 임명 받아 부젠[豊前], 치쿠젠[筑前], 치쿠고[筑後], 붕고[豊後], 히젠[肥前]의 6개 지역을 영유(領有)하는 거대 다이묘우가 되었다. 당시 후나이[府内]에 있던 선교사도 "일본 최대의 영주 중 한 명"이라며 소우린의 위세를 전해주고 있다.

 큐우슈우[九州]에 남은 곳이라고는 명문 시마즈 씨[島津氏]가 영유(領有)하는 휴우가[日向]의 일부, 사츠마[薩摩], 오오스미[隈] 3개 지역이었다. 그 시마즈 씨가 큐우슈우[九州] 제패를 목표로 북상하여 소우린의 이웃 나라인 휴우가[日向]에 침입하였다.

 이해 즉 1578년 49세의 소우린은 불교의 법의(法衣)를 벗고 세례를 받아 '프란시스코'[각주:7]라는 세례명을 받는다. 다년간 그의 입신을 거부해 왔던 부인을 버리고 새로운 부인을 맞이하여 입신한 것이었다. 신앙도 철저하여 영내(領內)에 있던 신사(神社), 사원(寺院)을 계속해서 불태워 파괴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소우린의 기독교 개종과 동시에 오오토모 가문의 운명은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한다.
 이 1578년에 4만 대군으로 휴우가[日向]에 진출한 오오토모 군[
大友軍]은 시마즈 군[島津軍]이 선두에 내세운 '하치만 대보살[八幡大菩薩]'의 깃발에 위압당해 전군이 붕괴되어 패주하였다. 사상자 2만에 달하는 참패였다. 이것이 유명한 휴우가[日向] 미미가와 전투[耳川の合戦]이다.

 이후 오오토모 왕국은 급속히 쇠퇴하여 1587년 소우린은 실의 속에 이 세상을 떠났다.

[오토모 소린(大友 宗麟)]
1530년생. 이름은 요시시게[
義鑑], 세례명은 프란시스코. 붕고[豊後] 우스키[臼杵] 성주. 1582년 오오무라[大村], 아리마[有馬] 등과 함께 일본 최초로 유럽의 로마 교황에게 사절(使節)을 파견하였다. 1587년 5월에 죽었다. 58세.

  1. 실은 오오우치 가문[大内家]에 후계자로 보낸 동생 오오우치 요시나가[大内 義長]가 큐우슈우에 있던 오오우치 가문 영지에 손을 썼고 그에 동조하여 상기의 세 명이 반란을 일으켰다 진압당했다. 부인을 취한 것은 그 후의 일. 참고로 이치마다 아키스케의 부인도 취했다. [본문으로]
  2. 소우린이 얼마나 막장이었는지 소우린을 폐적하고 시오이치마루 옹립을 주도적으로 꾀한 이리다 치카자네[入田 親誠='이리다'는 '뉴우타'라고도 읽는다]는 소우린의 후견인 & 스승이었다...지만 여기엔 또 히고[肥後]의 영지를 둘러싼 오오토모 가문 내의 파벌 싸움도 섞여 있었다. [본문으로]
  3. 소우린을 폐적하기 위해 요시아키는 네 명의 중신과 협의하였지만 네 명 다 반대. 그래서 요시아키는 네 명중 두 명을 살해하자 위기감을 느낀 나머지 두 명이 난을 일으켰다. [본문으로]
  4. 침입한 중신 두 사람은 그 자리에서 참살. 요시아키는 이때 입은 상처로 이틀 후 사망. [본문으로]
  5. 소우린의 부친 요시아키가 히고의 명문가인 키쿠치 가문을 빼앗기 위해 키쿠치 가문이 혼란스러운 틈을 타서 자신의 동생(즉 소우린에게는 숙부가 됨)을 양자로 들여보냈지만 독립심과 야망, 멍멍이 같은 성격에 비해 능력이 딸려 결국 키쿠치 가문의 가신들에게 추방. [본문으로]
  6. 갈 곳이 없는 차에 소우린이 보호해 준다는 명목으로 초대하였다. [본문으로]
  7. Dom Francisco. [본문으로]

 센고쿠 시대(戦国時代)에 소위 기독교 다이묘우(大名)는 많이 있지만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보다 독실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가 1587년에 선교사 추방령(伴天連追放令)를 선포하지만 이때도 우콘은 이에 조금도 굴하지 않았다. 코니시 유키나가(小西 行長)의 비호를 받으며 쇼우도시마(小豆島) 섬에서 우콘과 함께 몸을 숨이고 있던 선교사 오르간티노는 우콘에 관해,
 "우콘님(右近殿)의 용기 있고 굳건한 신앙에는 놀랄 따름이다"

 며 예수를 위해 죽음도 불사하겠다는 각오를 하고 있다고 기록하였다.

 1581년 우콘의 영지인 셋츠(津) 타카츠키(高槻)에는 20개의 교회가 세워져 영민(領民) 2만5천 중 1만8천이 기독교로 개종하였다고 한다. 그야말로 기독교 왕국이었다[각주:1].
 우콘의 부친 히다노카미(飛
守)[각주:2]도 세례명을 '다리오'라고 하는 성실한 신자였다. 텐쇼우(天正) 연간[각주:3]에 가독을 우콘에게 물려주고 오로지 포교에 헌신하였다[각주:4].
 선교사 프로이스(Luís Fróis)가 기록한 일화에 따르면 히다노카미의 신앙도 보통이 아니었다. 어느 추운 겨울 날 성내를 순시하다 추위에 떨고 있던 하급병사를 발견하고는 자신이 입고 있던 새로 맞춘 고가의 옷을 벗어주고는 헌 옷으로 갈아있었다고 한다. 성으로 돌아온 남편을 보고 이상히 여긴 부인 마리아(세례명)가 묻자 히다노카미는
"나는 그 옷을 주님께 바쳤다오"
라 말했다고 한다.

 타카츠키 영내(領內)에서는 장례식 때 빈부의 차가 없었다고 한다.
 영내의 가난한 기독교도가 죽었을 때 우콘 부자는 사제(司祭)를 맡았으며 장례행렬이 묘지로 옮겨질 때는 다리오와 우콘도 그 관을 짊어졌다. 더구나 최하층 천민의 역할인 묘를 파는 것마저 하였다. 그것을 보고 모두 괭이를 들고 함께 구멍을 팠으며 중신의 부인들도 맨손에 흙을 닮아 파묻는데 힘을 보탰다고 한다.

 1576년 가을. 셋츠(津) 아리오카(有岡) 성주 아라키 무라시게(荒木 村重)가 갑자기 모우리(毛利)-혼간지(本願寺)와 손을 잡고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에게 반기를 들었다. 무라시게에게 배속된 장수였던 우콘은 필사적으로 막았지만 무라시게는 듣지 않았다.
 노부나가는 우콘을 빼내오기 위해 수 차례 선교사를 파견하여 설득하였다[각주:5]. 그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최후의 카드로 꺼내어 들었다. 아군이 되지 않는다면 선교사들을 모두 십자가에 꺼꾸로 메달아 창으로 찔러 죽일 것이며 교회도 파괴할 것이다. 반대로 오다 진영에 참가한다면 셋츠(
津)의 반을 하사할 것이며 기독교 보호에도 만전을 기한다고 하였다. 하필이면 그때 부친 히다노카미가 아라키 군에 참가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육친을 선택할 것인가 신앙을 선택할 것인가? 우콘의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결국 영주의 지위를 부친에게 되돌리고 자신은 은거한다며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혼노우 사(本能寺)의 변으로 인해 죽은 노부나가의 장례식에서도 우콘은 기독교도라는 입장을 내세워 참가한 수 많은 다이묘우(大名)들 앞에서도 머리를 숙이지 않았으며 향도 피우지 않았다.

 1587년 히데요시가 선교사 추방령을 발령함에 따라 우콘의 운명은 어둠으로 변한다. 후나게 성(船上城)을 몰수 당한 뒤에는 코니시 유키나가를 의지하였으며 나중에는 카가(加賀)의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의 비호를 받았다[각주:6].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에서는 토시이에의 아들 토시나가(利長)와 함께 동군에 속하여 서군과 싸웠지만 1613년 토쿠가와 이에야스(川 家康)의 기독교 금교령이 반포되자 결국 국외로 추방당한다.

 다음 해인 1614년 9월 24일. 부인을 포함한 백여 명의 교도들과 함께 필리핀 루손 섬으로 가 그 다음 해인 1615년 마닐라에서 죽었다.

[다카야마 우콘(高山 右近)]
1552년생. 이름은 나가후사(長房), 시게토모(重友) 혹은 토모나가(友
)[각주:7]. 세례명은 동 유스토[각주:8]. 아라키 무라시게(荒木 村重)의 모반을 일으킨 다음에는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에게 배속된 다이묘우[각주:9]가 되지만 미츠히데가 모반하자 1582년부터 히데요시(秀吉)의 휘하[각주:10]가 된다. 마닐라에서 죽었을 때는 63세.

  1. 여담으로 일본에서 최초로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된 곳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2. 타카야마 토모테루(高山 友照). 히다노카미(飛騨守)는 자칭. 또한 '즈쇼(図書)'라고도 한다. [본문으로]
  3. 1574~1593년 사이. [본문으로]
  4. 우콘에게 기독교 신앙을 권한 것이 이 부친이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5. 처음엔 무라시게의 반란에 참가하였지만 상기의 언급된 오르간티노 신부의 말을 듣고 노부나가에게 항복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6. 코쿠다카는 약 3만석. 우콘은 많은 영지 대신 교회를 세울 수 있게만 해달라고 하였고 토시이에는 그 조건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본문으로]
  7. '토모요시'라고도 읽는다. [본문으로]
  8. Dom Justo [본문으로]
  9. 코쿠다카(石高)는 약 4만석. [본문으로]
  10. 이때 받은 영지는 아카시(明石) 6만석.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