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요시 나가요시[三好 長慶]

1564 74일 병사 43

1522~1564.

칸레이[각주:1](管領) 호소카와 하루모토(細川 晴元)의 집사(執事) 이즈미(和泉), 카와치(河内), 셋츠(摂津)를 지배. 이어서 쿄우토(京都)에 들어가 쇼우군(将軍) 아시카가 요시테루(足利 義輝)를 추방. 또한 주군 하루모토(晴元)도 추방하여 킨키(近畿[각주:2]) 8개국을 영유하며 전성기를 누리지만 마츠나가 히사히데(松永 久秀)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절정기의 나가요시


 전성기의 미요시 나가요시는 야마시로(山城), 야마토(大和), 카와치(河内), 이즈미(和泉), 셋츠(摂津) 등 킨키 지역에 더해 탄바(丹波)의 대부분과 하리마(播磨)의 일부 그리고 시고쿠(四石) 지역의 아와(阿波), 사누키(讃岐), 아와지(淡路), 이요(伊予)의 일부에 이르는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조정(朝廷)에게서 종사위하(従四位下) 슈리노다이부(修理大夫)에 임명받았고, 바쿠후의 직책으로는 쇼우반슈우(相伴衆[각주:3]) 중 하나로 임명된 나가요시는, 1561 3 30 자신의 저택으로 13대 쇼우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방문을 실현시켰으며 또한 옻칠한 가마(輿[각주:4])오동나무의 문장(桐紋[각주:5]) 사용도 텐노우(天皇)에게 허가 받는 등 인생의 절정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적자(嫡子) 요시오키(義興)나 동생인 요시카타(義賢)도 쇼우반슈우(相伴衆)에 이름을 올렸다. 그야말로 이 1561년 즈음은 미요시씨()의 절정기였다.


 나가요시의 절정에 달한 모습은 오동나무의 문장을 새긴 히타타레(直垂[각주:6])모습의 그림(다이토쿠(大徳)() 쥬코(聚光)()에 있다)에서도 알 수 있다.


운이 쇠퇴한 말년


 그러나 킨키와 시고쿠(四石) 지역에 위세를 떨치던 나가요시의 말년은 불행했다.

 영화(榮華)에서 곧바로 나락의 길로 떨어진다는 것은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우선 [오니소고우(鬼十河[각주:7]]라는 이명(異名)으로 아와(阿波)의 배후인 사누키(讃岐)를 휘어잡고 있던 막내 동생 소고우 카즈나가(十河 一存) 1561 4월 즈음에 병사했다. 사이가 좋지 않던 마츠나가 히사히데에 의한 독살이라는 설도 있다.


 다음으로 나가요시의 한 팔이기도 하며 본국 아와를 확실히 지배하고 있던 미요시 요시카타(호는 짓큐우())가 다음 해인 1562 3 5 [쿄우토(京都) 주변에서는 비할 바 없는 큰 싸움(近国無双大合戦)][속응인후기(続応仁後記)]이라 일컬어진 이즈미 쿠메다(久米田)의 싸움에서 하타케야마 타카마사(畠山 高政)에게 패하여 한창 일할 나이인 37살에 전사해 버렸다.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어가는 시기에 미요시 내부에도 커다란 불씨가 존재하였다.

 그 불씨란 나가요시의 비서관(右筆)으로 시작하여 출세한 마츠나가 히사히데를 말한다. 히사히데가 얼마나 권세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1561년 즈음에 루이스 프로이스[각주:8]가, [히사히데는 미요시의 부하이지만 나가요시에게서 재판권과 통치권을 빼앗아 천하의 지배권을 손에 넣었다(日本史)]'등에서 평하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조정(朝廷)의 마음에 들기 위해 아첨하는 히사히데는 미요시 내부에서 언젠가는 반드시 터질 폭탄이 되어있었다.


 한편 주변도 하타케야마 씨()나 네고로 사(根来)의 중도(衆徒)를 시작으로 한 반() 미요시 세력이 물밑에서 힘을 키우고 있었다. 쇼우군 요시테루도 겉으로는 미요시 씨()의 보호 아래 있는 척을 하면서도 반 미요시세력을 응원하고 있었다. 조정 내부에서도 미요시마츠나가를 불쾌히 여기는 귀족(公家)도 많았다.


불행이 이어진 마지막


 이렇게 힘든 시기에 나가요시에게 있어 인생 최대의 불행이 찾아왔다.

 적남 요시오키의 죽음이었다. 1563 8월 병에 걸려 같은 달 25일에 아쿠다가와 성(芥川)에서 22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죽었다. 소문으로는 히사히데가 [조부나 부친에 버금가는 기량(父祖らず器量勝)][続応仁後記]이라 일컬어지는 요시오키의 뛰어난 재능을 두려워 하여 먼저 손을 써 독살했다고 한다.


 그리고 1564 5 9일.
 요시나가는 자기 손으로 수군을 이끌고 있던 아와지(淡路)의 동생 아타기 후유야스(安宅 冬康)를 이이모리(飯盛)()에서 죽여버린 것이다. 가인(歌人)임과 동시에(茶道)에도 뛰어난 문화인(文化人). 거기에 의리와 인정이 두터운 자비심 깊은 인물이기도 하였으며 나가요시의 오만함이나 남을 경시하는 것을 보고, 방울벌레를 보내 '여름 벌레라도 자애로운 마음으로 기르면 겨울까지 날 수 있습니다. 인간은 더욱 그러합니다'라고 충고하였다고 한다.

 그러한 후유야스의 인망(人望)은 카즈나가(一存), 요시카타(義賢), 요시오키(義興)의 계속된 죽음으로 인해 더욱 높아만 갔다. 모반(謀叛)의 야망이 있다던가, 반역의 기운이 있다는 풍설을 전하는 히사히데의 참언(讒言)을 믿고 나가요시는 후유야스를 죽였다.


 확실히 미요시 가문에서 유일하게 남은 실력자를 히사히데가 없애려 한 것은 당연한 것일 수도 있지만, 후계자로 선택하여 맞아들인 요시츠구(義継 = (소고우 카즈나가(十河 一存)의 아들)가 너무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그의 앞길을 생각하여 나가요시가 꾸민 일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불과 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적남 요시오키 그리고 소고우 카즈나가, 미요시 요시카타, 아타기 후유야스라는 자신을 지탱해 온 유능한 동생들을 전부 잃어버린 불행이 이어진 것이다.


 후유야스가 불운한 죽음을 당한 불과 40여일 후인 1564 6 22일.
 요시츠구는 가문 상속에 관한 허가를 내려준데에 대한 답례를 하기 위하여 4000여의 무리를 이끌고 쿄우토(京都)에 갔다. 요시츠구는 이이모리 성()으로 곧바로 돌아왔는데 10일 후인 7 4 나가요시는 성 아래의 저택에서 병사했다. 43세였다.

 나가요시는 1561년 즈음부터 자주 병에 걸렸다고도 하는데 적남 요시오키의 죽음에 많이 낙담한 나가요시는 후유야스의 죽음 이후 병이 더욱 깊어졌다고 한다. 또한 말년은 렌가(連歌)에 빠져 살았다고 한다. 확실히 어지럽게 변하는 정치세계에서의 생활이 나가요시의 마음을 황폐화 시켰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1. 무로마치 바쿠후(室町幕府)의 역직으로 굳이 따지자면 '정승'이라고 할 수 있음. [본문으로]
  2. 쿄우토(京都) 주변. 즉 수도권. [본문으로]
  3. 쇼우군이 궁궐에 입궐하거나 여러 곳을 방문할 때 함께 갈 수 있는 사람들을 지칭. 칸레이(管領) 다음 가는 권위를 가졌다. [본문으로]
  4. '누리고시'라 읽는다. 상자에 옻칠을 한 가마로 쇼우군이나 몬제키(門跡 – 황족이나 높은 쿠게(公家)가 출가한 특별한 절)만이 이용할 수 있었다. [본문으로]
  5. 원래는 황가의 문장으로, 텐노우(天皇)에게서 공이 있는 사람에게 하사되었다. [본문으로]
  6. 무가(武家)의 예복. [본문으로]
  7. 악마와 같은 소고우. 즉 악마라 불릴 정도로 맹장임을 나타낸다. [본문으로]
  8. 포루투갈의 선교사로 당시 일본에 대하여 쓴 日本史가 당시의 여러 사정을 알려주는 귀중한 사료이다. [본문으로]

도요토미노 히데나가(豊臣 秀長)

1591 1 22일 병사 51.

1540~1591.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이부제(異父第[각주:1]). 히데요시를 보좌하며 하리마(播磨) 공략전 등 여러 지역에서 활약. 혼노우(本能)()의 변 후에는 히메지(姫路)()에서 천하 통일을 도왔다. 키이(紀伊), 이즈미(和泉), 야마토(大和)를 영유(領有)하며 [야마토 다이나곤(大和 大納言)]으로 불리는 실력자였다.










히데요시를 지탱해 온 동생


  오다 가문(織田)에서 출세한 형 히데요시의 꼬임에 넘어가 억지로 사무라이가 된 '키노시타 코이치로우 히데나가(木下 小一郎 秀長)'. 하지만 형과 함께 전장(戰場)에서 활약하면서 형의 좋은 조언자, 보좌역이 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히데요시가 타지마(但馬)를 평정한 1581년.

 히데나가가 이즈시(出石)()에 입성하여 타지마를 통치하였으며 히데요시가 타지마, 하리마를 영유하자 1582년 히데나가가 히메지성으로 거처를 옮겨 그 지역의 경영에 힘썼다. 그리고 1585 히데요시와 함께 키이의 네고로(根来), 사이가(雑賀) 토벌에 참가하여 그 지역을 평정하자 히데요시에게서 키이, 이즈미 양 지역이 하사 받아 영지 경영을 위해서 와카야마(和歌山)에성을 쌓기 시작했다.

 그리고 같은 해 6월의 시코쿠(四国)정벌에서는 병에 걸려 누워있던 히데요시를 대리하여 원정군을 지휘. 불과 50여일 만에 쵸우소카베 모토치카(長宗我部 元親)를 항복시키는 전공을 올렸다. 히데요시는 동생의 이런 생각하지도 못했던 전공을 기뻐하여 야마토, 이즈미, 키이의 3개국() 100만석의 영주로 임명하였고 거성(居城)으로 야마토 코오리야마(郡山)()이 주어졌다.


 히데나가는 히데요시를 닮아 인정미가 넘쳤고 거기에 온후하고 성실한 인격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큐우슈우(九州) 원정 후인 1588 8월 종이위(従二位) 곤다이나곤(権大納言)에 서임 받으면서 부터는 야마토 다이나곤(大和 大納言)이라 불리며 [토요토미 가문 내에 관한 것은 소우에키(宗易 = 센노리큐우(千利休)]에게, 천하에 관한 일은 히데나가에게]라는 풍설이 돌 정도로 히데나가는 리큐우와 함께 히데요시의 양 팔이 되어 토요토미 정권을 뒤에서 지탱했다.


히데나가가 죽은 후, 갈팡질팡하는 히데요시


 1590 3월.

 히데요시는 쿄우토(京都)를 출발, 오다와라(小田原)를 토벌하기 위해 떠났다. 이 때 히데나가는 쿄우토(京都)에 있었는데 1월에 한 때 중태에 빠질 정도로 위중한 병에 걸려있었다. 히데요시는 걱정한 나머지 병상에 있는 히데나가를 세 번 병문안 한 후에야 출진하였고 이 병문안으로 안정을 찾았는지 히데나가의 병이 일단은 나아져, 4 15일에는 야마토 코오리야마에 귀성했다. 하지만 히데나가의 병은 회복되지 않고 재발하였다.


 10월 오다와라 토벌을 끝내고 쿄우토(京都)에 개선한 히데요시는 곧바로 야마토 코오리야마로 달려가 히데나가를 병문안 하였다. 그리고 나라(奈良)의 카스가(春日) 대사(大社)5천석을 기부하여 병이 낳게 해달라는 기도를 의뢰하였고 쿄우토(京都)로 돌아와서도 쿄우토(京都) 안팎의 여러 절과 신사에 병이 낫게 하는 기도를 하라고 명령하였다.


 하지만 히데요시의 바램도 허무하게 히데나가는 새해가 밝은 1591 1 22 야마토 코오리야마성에서 죽었다. 향년 51.

 장례는 히데요시가 주최하였고 1 29일에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의 보제(菩提[각주:2])사였던 다이토쿠(大徳)() 소우켄(総見)()에서 코케이 소우친(古渓 宗陳) 화상(和尙)을 도사(導師)로 초빙하여 성대하게 치렀다. 묘는 당초 성 아래인 미노야마(箕山)에 세워진 후 코케이 소우친 화상에 의해 보제소 타이코우(大光)()이 세워져 옮겨졌다.


 히데나가가 야마토 코오리야마성()에 있던 것은 6년여에 지나지 않지만 히데요시를 보좌하는 한편 코오리야마 성()을 크게 개축하면서 성 밑 마을(城下町)을 정비하였고, 옛날부터 지역에 자리 잡고 있던 절 등이 가진 무력을 해체하여 지역에 바탕을 둔 세력을 뿌리째 없애버리는 등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에 이르는 길을 정비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히데나가의 죽음으로 인해, 히데요시는 가족 중에 좋은 조언자를 잃은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토요토미 정권의 장래에 불안한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다. 센노리큐우에게 할복을 명하는 등 히데요시 말년의 폭주가 시작된 것이다.


코오리야마 토요토미가() 폐절(廢絶[각주:3])


 후계자를 낳지 못했던 히데나가는 히데요시와 히데나가의 누나로 칸파쿠(関白) 히데츠구의 생모인 토모의 셋째 아들 히데야스(秀保)를 양자로 삼았다. 후에 [야마토 츄우나곤(大和 中納言)]이라 불린 히데야스가 히데나가의 영지를 이은 것은 그의 나이 13살 때.

 하지만 [태어나면서부터 성질이 더럽고 나아지질 않았다]고 할 정도였으며 더구나 악성 치질에 걸려 고생하여 이 치질 요양을 위해서 야마토의 토츠카와(十津川) 온천에 간 1595 4 16 잘못해서 절벽에서 떨어져 추락사하고 말았다. 그 때문에 히데요시는 히데야스의 죽음을 불길하게 여겨 코오리야마 토요토미가() 2 11년 만에 폐절해 버렸다.


 히데요시는 이후 야마토 코오리야마에 오봉행(五奉行) 중 한 명인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에게 20만석을 주고 배치하였지만, 세키가하라(ヶ原)의 싸움 후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에 의해 영지를 몰수당했을 뿐만 아니라 야마토 코오리야마성()을 폐성하기로 결정하여 철저하게 부서졌다.


 또한 히데나가의 묘가 있는 타이코우(大光)()은 쿄우토(京都)의 다이토쿠(大徳)()로 옮겨졌는데, 이것은 이장한 타카토라(高虎)1576년에 20살의 나이로 히데나가를 시작으로 1595년 히데야스가 죽을 때까지 코오리야마 토요토미 가()를 섬겼기 때문이다. 오오사카 여름의 싸움에서 토요토미 가()가 멸망하면서부터 해가 갈수록 황폐해져 가는 히데나가의 묘를 보고 안타까웠던 타카토라는 토요토미 일족의 묘가 있는 쿄우토(京都)로 옮겼으며 히데나가는 지금도 다이토쿠사()의 타이코우원() 안에 있는 묘소에서 타카토라의 묘와 사이좋게 나란히 잠들고 있다.

  1. 아버지가 틀리고 어머니가 같은 형제 [본문으로]
  2. 사후(死後)의 명복을 빔 [본문으로]
  3. 가문을 없애고 끊기게 함 [본문으로]

도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

1598 8 18일 병사 62

1536 ~ 1598.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을 섬기며, [스노마타 하룻밤 성(墨俣一夜城)[각주:1]]등의 공을 세웠다. 빗츄우(備中) 타카마츠(高松)() 공격 중에 혼노우(本能)()의 변을 듣자마자 츄우고쿠 대반전(中国大返[각주:2])를 감행하여 야마자키(山崎)의 싸움에서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를 쓰러뜨렸다. 후에 쵸우소카베(長宗我部), 시마즈(島津), 호우죠우(北条)()를 항복시켜 천하를 통일하였다.







현실도피의 꽃구경


 토요토미노 히데요시는 1598년 새해가 밝자 교착상태에 빠진 조선 전선(朝鮮 戰線[각주:3])우울함에서 도피라도 하듯이 [다이고의 꽃구경(醍醐花見)]의 장소가 되는 다이고(醍醐)()의 정비에 열중했다. 1년 전부터 기획한 꽃구경이었지만 어두운 현실에서 눈을 돌려 도피하기에는 다시 없는 기회인 듯 했다.

 말년의 히데요시는 고독한 위정자(爲政者)였다.


 히데요시 스스로 다이고사()로 가서 오우닌의 난(応仁の乱) 때 황폐해진 절의 여러 건물()을 계속해서 수복(修復)하고 정원을 새로 만드는 것에도 직접 힘을 쏟는 등 진두지휘(陣頭指揮)하였다. 마치 이 꽃구경 행사가 [마지막 잔치]가 될 것이라는 것을 히데요시 자신이 예지라도 한 것인지 굉장한 열의를 가지고 힘을 쏟았던 것이다.


 이렇게 준비의 만전을 기한 끝에 열린 3 15 [다이고의 꽃구경] 문자 그대로 호화찬란한 사상 최고의 꽃구경이 되었다.

 히데요시는 어린 히데요리()와 함께 키타노만도코로(北政所[각주:4]), 요도도노(淀殿[각주:5]), 마츠노마루도노(丸殿[각주:6]), 산노마루도노(丸殿[각주:7])등의 정실(正室), 측실(側室)들을 시작으로, 그녀들의 시녀들이나 여러 다이묘우(大名)의 부인들과 함께 만개한 벚나무 아래를 거닐며 하루 종일 꽃구경 잔치를 즐겼다. 늙은 히데요시에게 있어 화려한 옷을 입은 여인들 사이에서 즐기는 꽃구경은 현세를 잊고 도원경(桃源境)에서 노니는 심경이었음이 틀림 없다.


병에 걸린 히데요시


 꽃구경이 끝난 뒤에도 히데요시는 다이고사()에 들려 절 수복에 힘썼다. 여전히 어두운 현실에서 조금이라도 도피하고픈 듯이.


 하지만 5 9.

 천하인(天下人)만이 소유할 수 있다고 하는 천하의 명석(名石 - 藤戸石) 히데요시의 손을 떠나 다이고사()로 옮겨져 산호우()()의 정원 정면 중앙에 놓여 졌을 때 히데요시는 후시미(伏見)()에서 병으로 누워 있었다.


 히데요시는 그 4일 전인 5 5일.

 갑자기 병에 걸려 그 날부터 투병 생활에 들어간다. 하지만 당초는 본인도 가볍게 생각하고 있던 병이 날이 갈수록 악화되었다. 그 때문에 전국의 절과 신사(神社)들에게 쾌유할 수 있도록 기도해 달라는 요청이 내려졌고 조정(朝廷)에서도 임시 카구라(神楽[각주:8])를 행하여 병마에서 헤어 나올 수 있게 하는 기도가 행해졌다. 하지만 기도의 효험은 나타나질 않았고 한 때는 인사불성에 빠졌다.


비통한 최후와 유언장


 히데요시도 죽음이 가까워진 것을 깨달은 듯 하다.

 7 15일. 여러 다이묘우(大名)들에게 후계자인 히데요리에게 충성을 맹세한다는 서약서(誓紙)를 제출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오대로(五大老), 오봉행(五奉行)을 정하여 당시 6살의 어린 히데요리를 위해 토요토미 정권 체제를 강화하는 등 죽을 때가 다 된 히데요시에게오직 히데요리의 미래만이 신경 쓰일 뿐이었다.


 그리고 8 5일.

 히데요시는 오대로에게 보낸 이승에서의 이별이라고 할 수 있는 유언장을 써서 계속해서 히데요리를 부탁하였다.

히데요리를 부탁합니다. 이것 말고는 아무런 미련도 남지 않습니다.

거듭거듭 히데요리를 부탁합니다. 다섯 분에게 부탁합니다.

막상 다섯 분에게 말씀드리고나니 이별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현세에 미련을 남긴 채 죽음을 맞이하고 있던 텐카비토(天下人) 히데요시의 비통한 마지막 말이었다.


 이리하여 히데요시는 그 해인 1598 8 18일 새벽. 후시미 성에서 생이 마감하였다. 향년 62.


 히데요시에게는 또한 사세구()가 있다.

이슬 떨어져 이슬처럼 사라지는 나의 생명이려나

무슨 일(또는 오오사카)이건 꿈 속의 꿈

 오대로에게 보낸 유언장처럼 아쉬움이 배어 나오는 서글픈 시이다.

 하지만 이 시는 히데요시의 예언이기도 했는지 히데요시는 토요토미 가문을 시작으로 토요토미 정권의 비극적인 결말까지 예견한 듯하다.


 히데요리는 히데요시가 그 후사를 부탁했던 오대로의 필두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에게 공격 당하여 토요토미 가문은는 멸망하였다. 거기에 히데요시가 쌓은 난공불락의 성이었던 오오사카 성()은 오오사카 여름의 전투에서 불에 타 없어졌으며 후시미 성()도 세키가하라(ヶ原)의 싸움에서 공격 받은 피해로 인하여 폐성(廢城)이 되어 없어졌다. 그리고 히데요시를 신으로 모신 호우고쿠(豊国) 신사(神社) 이에야스의 파괴 명령으로 인해 소멸되었다. 이리하여 히데요시 일대(一代)의 힘으로 쌓아 올린 토요토미 가 영광의 흔적은 이에야스에 의해 전부 이 세상에서 말살되어 그야말로 남가일몽(南柯一夢)처럼 허무하게 없어진 것이다.

  1. 스노마타에 하룻밤만에 성을 세웠다는 전설. [본문으로]
  2. 보통보다 더 빨리 철수한 것을 이름 [본문으로]
  3. 정유재란을 말함. [본문으로]
  4. 정실 네네(ねね). [본문으로]
  5. 히데요리의 친모(親母). [본문으로]
  6. 와카사 타케다(若狭 武田)씨(氏) 최후의 당주 타케다 모토아키(武田元明)의 부인. 타케다가 혼노(本能)사(寺)의 변 때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의 편을 들어 후에 할복. 이에 따라 히데요시의 측실이 되었다. [본문으로]
  7. 오다 노부나가의 다섯 번째 딸. [본문으로]
  8. 신에 춤을 바치기 위해 추어진 가무(歌舞). [본문으로]

호소카와 유사이(細川幽)

1610 8 20일 병사 77

1534~1610.

탄고(丹後)() 타나베(田辺)성주.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 義昭)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에게 소개하여 쇼우군()으로 옹립하였으며 후에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을 섬겼다. 세키가하라(ヶ原) 전투를 앞두고 서군의 공격을 받지만, 코요우제이(後陽成)텐노우(天皇)가 개성(開城)을 알선. 위기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가인(歌人)으로도 유명.







칙명(勅命)으로 목숨을 건지다.


 1600년.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는 이에야스(家康) 타도를 목표로 거병(擧兵)하였다. 세키가하라(ヶ原) 싸움의 전초전(前哨戰)으로 미츠나리는 호소카와 유우사이(細川 幽)가 지키는 탄고(丹後) 타나베(田辺) 성을 공격하게 하였다. 그 이유는 유우사이, 타다오키(忠興) 부자(父子)가 이에야스에게 가담하였고 거기에 타다오키의 부인 가라샤가 미츠나리의 인질 정책에 응하지 않고, 오오사카(大坂) 저택에서 자살하였기 때문이다[각주:1]. 이것은 미츠나리에게 있어서 커다란 손해였다.

 미츠나리는 탄바(丹波) 후쿠치야마(福知山) 성주 오노기 키미사토(小田木 公鄕) 등의 무장과 군세 1 5천을 타나베성으로 향하게 했다.


 타다오키는 이에야스를 따라 아이즈() 원정 중이었기에 유우사이는 5백명의 병사들과 농성했다. 유우사이는 이들을 지휘하며 방어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낙성은 바람 앞의 등불과 같았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유우사이는 텐노우(天皇)의 동생인 토시히토(智仁) 신노우(親王 = 하치죠우미야(八条宮))에게 고금집오의(古今集奧義)를 전수하고자 하였다. 놀란 토시히토 친왕은 비밀리에 고요우제이(後陽成) 텐노우(天皇)에게 유우사이의 목숨을 구해달라고 간청하였고[각주:2], 텐노우는 오오사카 성과 타나베 성 양 쪽에 칙사(勅使)를 파견하여 정전(停戰)시킨 것이다.

 [칙명을 받들며 감읍할 따름이다. 옥명(玉命)에 따라 구질구질한 목숨을 더 이어가겠다]며 유우사이는 개성(開城)한 후 일시적으로 카메야마(亀山)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곧이어 세키가하라(関ヶ原)의 싸움에서 이긴 이에야스에게서 타지마(但馬)가 더해져 쿄우토(京都) 요시다(吉田)에 은거하였다.


노래와 함께 여생을 보내다.


 세키가하라(関ヶ原) 싸움 후 토쿠가와 이에야스는 천하의 패권을 손에 넣긴 했지만 바쿠후(幕府)의 의식(儀式[각주:3])은 전혀 몰랐다. 그래서 한 때 아시카가 쇼우군가()를 섬긴 적이 있는 유식(有識[각주:4])한 유우사이에게 부탁하여 무가(武家)의 의식(儀式)에 대해 가르침을 받았다. 하지만 그 중에는 유우사이 자신이 정한 예식도 많았다고 하며 이것을 [무로마치 바쿠후의 가식(室町殿御家式)]이라고 불렀다.


 한편 이에야스 쪽에 선 타다오키는 부젠(豊前) 나카츠(中津) 37만석이라는 큰 영지를 받았다. 메이지(明治) 시대까지 이어진 히고(肥後) 쿠마모토(熊本) 55만석으로 전봉()된 것은 타다오키의 아들 타다토시(忠利) 때이다. 할아버지인 유우사이의 덕()에 의한 것이 컸다.


 이에야스는 유우사이에게도 쿄우토(京都) 근방에 한 지방()을 주려고 하였으나 완고히 거절하고 대신 6천석의 은거료(隱居料[각주:5])를 받았다. 유우사이는 쿄우토(京都) 요시다(吉田)산에 살며 제자인 마츠나가 테이토쿠(松永 貞德[각주:6]) 등의 시를 봐주면서 평온한 생활을 보내기 시작했다.


 그 후 노령 때문인지 몸 상태가 나빠져 1609 11 29일자의 [智仁親王御記[각주:7]]에는 유우사이가 방문했지만 굉장히 쇠약해진 상태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음해인 1610년 여름에 병이 났고 이 병이 악화되어 8 20일 새벽, 쿄우토(京都) 산죠우 쿠루마야쵸우(車屋町)에서 죽었다. 77살이었다. 유우사이는 문인(文人)으로도 이름 높지만, [호소카와 유우사이 비망록(細川幽斎覚書)]을 보면 일류의 검법가(劍法家)인 것도 알 수 있다.

[쿄우토(京都市)사쿄우쿠(左京区)텐쥬인(天授院)]에 있는 유우사이의 묘.

  1. 천주교도였기 때문에 자살은 못하고 대신 가신에게 창으로 자신을 찌르게 하여 죽었다. [본문으로]
  2. 유우사이 같은 옛 것을 잘 아는 사람이 죽는 것은 너무 아깝다며. 이에 대한 이야기는 '토요토미 가의 사람들'의 '하치죠우노미야' 7편을 참고해 주시길... [본문으로]
  3. 여러 행사를 치르는 방법 등 [본문으로]
  4. 여기서는 옛 일, 의식, 의례에 밝은 사람을 이름 [본문으로]
  5. 은거한 사람에게 주는 쌀 또는 그 만큼의 이익이 나는 영지 [본문으로]
  6. 마츠나가 히사히데(松永 久秀)의 손자라고 한다 [본문으로]
  7. 토시히토 친왕의 일기 [본문으로]

이시다 미쓰나리[石田 三成]

1600 10 1일 참수 41

1560~1600.

어릴 때부터 히데요시[秀吉]를 가까이서 섬겼다. 토요토미 정권[豊臣政権]에서는 오봉행(五奉行)중의 한 사람으로 문리파(文吏派) 다이묘우[大名]의 리더로 인식되었다. 히데요시가 죽은 후 이에야스[家康] 타도를 꾀하여 미노[美濃] 세키가하라[ヶ原]에서 결전을 벌이지만 패배. 쿄우토[京都] 로쿠죠우 강변[六 河原]에서 참수당했다.









태합(太閤)의 넘버 원 총신(寵臣)


 어렸을 때부터 절에서 일했던[각주:1] 이시다 미츠나리가 권력의 정점에 선 것은, 태합 토요토미노 히데요시 아래서 봉행에 임명되어 오우미[近江] 사와야마[佐和山] 19 4천석(쿠라이리치[入地[각주:2]]를 포함하면 약 30만석)을 영유하면서 부터이다.

 히데요시는 말년에 정권 집행을 미츠나리에게 맡겼으며, 이런 미츠나리에게는 아무리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라도 미츠나리의 눈치를 보지 않으면 안 될 정도였다고 한다.


 미츠나리의 권세가 쇠퇴하기 시작한 것은 1598 8 18 히데요시가 죽으면서부터이다.
[이타자카 보쿠사이 비망록(板坂)]에 따르면, 오대로(五大老)[각주:3]와 오봉행(五奉行)[각주:4] 제도는 이 해(1598) 7 13일에 정해졌다고 한다.  히데요시는 죽음을 예감하여 자신의 유언을 법규로 삼아 자신의 사후에도 토요토미 정권의 안정을 꾀하려 하였다. 히데요시의 뇌리에는 토요토미 가의 존속(存續밖에 없었다. 정권을 히데요리[秀頼]에게 물려주고 싶지만 히데요시는 자신이 죽은 뒤 천하를 거머쥐는 것은 이에야스라고 간파하고 있었다. 때문에 히데요리의 보좌를 맡은 코이데 히데마사[小出 秀政][각주:5]와 카타기리 카츠모토[片桐 且元][각주:6]에게는,

내 가문을 끊기게 하고 싶지 않으면 절대 이에야스에게 반항해서는 안 된다. 조심 또 조심스럽게 이에야스를 섬겨 히데요리를 나쁘게 생각하지 않게 하여라. 그러면 우리 가문이 끊어지는 일은 없다.

 고 유언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러는 한편 총애하는 신하인 이시다 미츠나리에게는 일시적이나마 정권을 토쿠가와 이에야스와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에게 맡기지만, 히데요리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는 히데요리가 물려받을 수 있도록 꾀하라고 히데마사와 카타모토와는 정반대의 명령을 내린 것이다.


타도 이에야스


 미츠나리는 융통성이 없는 정직한 사람이었다. 히데요시의 명령을 충실히 실행하려고 하였다.

 토시이에는 히데요시의 막역한 친구였기에 히데요시의 유언을 잘 지켰다. 그러나 이에야스의 야망은 천하를 잡는데 있었다. 곧바로 토오토미 가문을 멸하려고 할 것이 분명했다. 미츠나리는 그런 이에야스의 행동에 제동을 걸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 암살도 계획했지만 실패했다. 거기에 더 귀찮은 일이 생겼는데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正],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 등 무공파(武功派)와 알력이 생긴 것이었다. 그들은 1599년 윤3 3 히데요리의 후견인이었던 마에다 토시이에가 병으로 죽는 것과 동시에 미츠나리를 습격했다. 이것을 중재한 것이 이에야스였다. 대신 미츠나리는 사와야마 성[佐和山城]에 칩거 당하게 되었다.


 대로, 봉행 제도를 무시한 이에야스 독재 정치는 그 누구도 막을 수가 없었다.

 상경명령에 응하지 않던 같은 대로(大老직급인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를 치기 위한 아이즈 원정[津遠征]에 아무도 반대의 뜻을 표하지 않고 이에야스를 따라간 것도 이에야스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원정 뒤에는 미츠나리의 거병(擧兵)을 유도하는 것에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지 못했다.


곶감을 거절하다.


 이에야스가 자리를 비운틈을 노려 미츠나리는 거병하였다.

 맹우(盟友) 오오타니 요시츠구[大谷 吉継]는 무모하다고 반대하였지만, 태합 히데요시에 대한 보은(報恩)이라는 말에 동의하였다. 이에야스의 유언 위반을 지탄하는 격문(檄文)을 여러 다이묘우[大名]에게 날리며 선전포고하였다.


 터져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었던 것은 이에야스였다. 토요토미 은고(恩顧[각주:7])의 토자마 다이묘우[外大名[각주:8]]를 거느리고 미츠나리에게 대항하기 위하여 말머리를 서쪽으로 향했다. 미츠나리는 만전의 태세로 미노[美濃] 세키가하라[ヶ原]에 포진하여 동군(東軍)을 유격하려 하였다.


 1600 9 15일 이른 아침. 천하를 가름하는 최후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서군을 표방한 많은 무장들이 싸우지 않는 와중에서도 선전하였다. 그러나 미츠나리가 예측하지 못했던 사태가 일어났다.

 코바야카와 히데아키[小早川 秀秋]등 다섯 무장[각주:9]이 싸움 중에 서군을 배신하고서는 공격해 왔다. 무방비의 등 뒤를 총에 맞은 것과 같이 충격과 혼란 속에서 서군은 완패하였다.


 미츠나리에게는 이에야스 타도의 대의(大義)가 있었다.

 울분을 삼키고 이부키[伊吹]산 속으로 도망쳤지만, 패배자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인정은 종이보다 얇은 법. 밀고에 의해 숨어있던 곳이 밝혀져 이에야스 앞에 잡혀왔다. 미츠나리의 행위를 문책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이에야스 편에 선 무장 중에도 동정의 눈길을 보내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미츠나리는 잡힌 몸이면서도 비굴해지기는커녕 오히려 더 강직했다. 창피한 행위는 아니었다고 후회하는 안색조차 띄우지 않았다.


 쿄우토[京都] 로쿠죠우 강변[六河原]의 형장으로 향할 때, 갈증을 느낀 미츠나리가 따스한 물을 원하자 경호하던 무사가 따스한 물은 없으니까 대신하라며 곶감을 권했다. 이에 미츠나리는 곶감은 담()에 나쁘다고 거절했다. 경호하던 무사들은 비웃었지만 "큰 뜻을 품고 있는 사람은 죽기 바로 직전까지 생명을 아끼는 법이다"고 말하였다고 한다.

미츠나리가 포진했던 사사오 산[笹尾山](기후 현[岐阜県] 세키가하라 정[関ヶ原町])

  1. 당시엔 입을 줄이기 위해서 아이를 절에 맡기는 일이 다반사였다. 히데요시도 어렸을 땐 절에 맡겨졌다고 한다. [본문으로]
  2. 히데요시의 직할령을 말하며, 미츠나리는 이 직할령의 대관(代官 – 주인을 대신하여 관리함)을 맡았다. [본문으로]
  3.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 모우리 테루모토[毛利 輝元],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 [본문으로]
  4. 일반적으로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 아사노 나가마사(浅野 長政), 나츠카 마사이에(長束 正家),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 마에다 겡이(前田 玄以) [본문으로]
  5. 히데마사의 부인은 히데요시의 모친 오오만도코로[大政所]의 동생. 즉 히데요시의 이모부. [본문으로]
  6. 시즈가타케[賤ヶ岳] 칠본창 중 한 명. [본문으로]
  7. 히데요시에게 은혜를 가지고 있거나 직접 히데요시가 키운 무장들 [본문으로]
  8. 직속 부하가 아닌 동맹격인 다이묘우 [본문으로]
  9. 이 중 넷은 히데아키의 배신을 대비하여 요시츠구가 배치한 무장들이었다. 이 중에는 한국에서'만' 명장 취급을 받는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 安治]도 있었다 [본문으로]

'일본서적 번역 > 전국무장의말년(了)'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요토미노 히데요시  (9) 2007.03.23
호소카와 유우사이  (0) 2007.03.21
가모우 우지사토  (0) 2007.03.01
아시카가 요시아키  (2) 2006.12.02
아자이 나가마사  (0) 2006.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