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부 측이 말하길,
"츠가루의 선조 타메노부[為信]는 원래 난부 노부나오[南部 信直]의 부하인 주제에 모반을 일으켜 츠가루 지역을 훔친 것이며, 운 좋게 재빨리 당시의 천하인(天下人)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에게 영토를 인정받은 것에 불과하다"
그래서 "백성, 아이,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츠가루를 불구대천의 원수로 여겼다"는 것이 번[藩]의 풍습으로 자리잡았다고 한다.
이에 대해 츠가루 측의 반론의 증거로 내세우는 것이 자신들의 화려한 족보이다.
"츠가루 씨의 선조는 후지와라노 카마타리[藤原 鎌足]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자손 사다이진[左大臣] 우오나[魚名]의 13대 후손 히데히사[秀久]가 부친인 친쥬후쇼우군[鎮守府将軍] 모토히라[基衡]의 명령에 의해 이루마 군[入澗郡] 토사 성[十三城]에 있으면서 츠가루 6개군(郡)을 영유하였다. 이 히데히사의 자손이 바로 후리와라노 타메노부[藤原 為信]인 것이다"
또한 다섯 셋케[五摂家]의 필두 코노에 가문[近衛家]과도 혈연적으로 이어져 있다고도 한다. 코노에 히사미치[近衛 尚通]가 츠가루에 왔을 때, 모리노부[盛信]의 딸과 인연을 맺어 낳게 한 것이 타메노부의 조부[祖父]인 마사노부[政信]라고 한다. 이 인연으로 인해 타메노부는 후에 코노에 사키히사[近衛 前久]의 양자가 되었으며, 사키히사의 아들 노부타다[信尹]에게서 모란꽃의 문장(紋章)을 허락 받았다고 한다.
이런 화려한 족보를 내세우며 츠가루는 원래부터 선조의 땅이었기에 그것을 되찾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렇기에 아라이 하쿠세키[新井 白石]가 편찬한 '한칸후[藩翰譜]'에 '우쿄우다이부[右京大夫] 후지와라노 타메노부는 대대로 난부 가문의 가신으로 츠가루 지역에 살았다' 고 적혀있는 것에 대해서도 츠가루 번은 이의를 제기했다.
이런 난부-츠가루간 지역감정의 뿌리는 1491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타메노부의 선조 오오우라 미츠노부[大浦 光信]부터 3대 위가 전부 난부 씨의 모살 당해 살해되었다. 죽을 때도 미츠노부는 사무친 복수심으로, "갑옷으로 몸을 두르고, 큰 칼과 작은 칼 두 자루와 함께 난부 령을 향해서 묻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한다.
미츠노부의 유지(有志)는 대대로 이어져 후손인 타메노부에 이르러 드디어 실행에 옮기게 되는데, 타메노부는 반란을 일으키기 전에 대대적인 예행연습을 행했다. 이와키 산[岩木山]의 산록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이고, 횃불로 민가를 불태우며, 실탄을 발사하는 식의 실전을 방불케 하는 연습이었다.
준비가 갖추어졌다고 생각한 타메노부는 쿠노헤[九戸]와의 험악한 분위기로 인한 난부 가문이 혼란스런 틈을 타 불시에 반기를 들어 우선 노부나오의 친아비인 이시카와 타카노부[石川 高信]의 거성 이시카와 성[石川城]을 공략. 이어서 와토쿠 성[和徳城], 다이코우지 성[大光寺城]을 점령해 갔다.
1590년 3월. 타메노부는 난부 가문의 보호를 받고 있던 나미오카 씨[浪岡氏]를 급습하여 나미오카 씨의 영토를 손안에 넣었다. 난부 노부나오[南部 信直]가 탈환하기 위해서 쿠노헤 마사자네[九戸 政実] 이하 십 여명의 부장[部將]들에게 출진을 명했지만 모두 출진을 거부하였다.
타메노부는 민첩한 행동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즈음 오다와라 정벌[小田原征伐] 중인 토요토미 히데요시에게서 참진(參陣)하라는 명령을 받자, 곧바로 행동을 개시하여 근신 18명만을 이끌고 오다와라[小田原]로 달려가 히데요시에게서 영토를 인정받는 문서를 받아냈다. 항쟁중인 현실이 어떻건 당장 히데요시에게서 공인을 받아 내자, 난부 씨도 더 이상 어떻게 할 수 없었다.
이 타메노부의 용모에 대해서 사서(史書)는, 턱수염이 길어 가슴까지 흘러내렸기에 사람들은 타메노부를 '수염공(髭どの)'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민정가로서도 뛰어나 영내 개척에 온 힘을 다했으며, 옻나무 재배 등 산업개발에도 힘썼다고 전해지다.
[쓰가루 다메노부]
1550년생. 오오우라 타메노리[大浦 為則]의 양자. 1590년 히데요시에게서 무츠[陸奥] 츠가루[津軽] 3만석을 인정 받았고 후에 4만5천석이 되었다. 세키가하라에서는 동군에 섰다. 1607년 12월 죽다. 58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