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키 무라시게(荒木 村重)

1586 5 4일 병사(病死) 52.

생년불명[각주:1] ~ 1586년.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를 섬겨 셋츠() 아리오카(有岡)()의 성주(城主)가 되었다. 후에 모우리(毛利)(), 혼간지(本願寺)와 손을 잡고 모반을 일으키지만 실패하여 도망쳤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시대가 되자, 센노 소우에키(千 宗易)에게 다도(茶道)를 배워, [利休七哲[각주:2]]의 한 사람으로 꼽힐 정도의 다인(茶人)이 되었다. (그림은 KOEI의 태합입지전V)






풍류의 자리에 있던 이외의 인물



 혼노우(本能)()의 변이 일어난 지 1 3개월 정도 지난 1583 9 16.

 아라키 무라시게는 죽은 오다 노부나가를 대신하여 쿄우토(京都)와 킨키(近畿)의 새로운 패자(覇者)가 된 하시바 히데요시(羽柴 秀吉)가 처음으로 개최한 [차 도구 전시회 = 御道具揃]에 참가하였다. 이미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道薰(도우쿤)]이라는 호를 칭하고 있었다. 참가한 면면(面面)을 보면,

구우나이쿄우(宮内卿) 호우인(法印[각주:3])[마츠이 유우칸(松井 友閑)]

소우에키(센노 리큐우 = 千 利休)

모즈야 소우안(万代屋 宗安)

텐노우지야(天王寺屋[츠다(津田)]소우규우(宗及)

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전부 노부나가의 풍류 취미와 관련된 스키샤(数奇者[각주:4])이며 사도우(茶頭[각주:5])였다.


더구나 이를 구경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케다 쇼우뉴우(勝入)[츠네오키(恒興)],

의사인 토쿠운켄(德雲軒)[야쿠인 젠소우(院 全宗)]

가 있었다. 츠네오키는 노부나가의 유형제(乳兄弟[각주:6])였으며, 토쿠운켄은 산몬(山門[각주:7])이나 조정에 연줄이 있는 승의(僧醫)였기에 둘 다 히데요시의 권력장악에 불가결한 사람들이었다.


 소우규우나 소우에키라는 당대 풍류의 세계를 둘로 나뉘고 있던 다도(茶道)의 거장들과 섞여 무라시게가 내 놓은 것은 [모모지리(桃尻)의 하나이레(花入[각주:8])], 못케이(牧溪)가 그린 걸개 그림인 [범귀회(帰絵)], [효우고(兵庫)의 오오츠보(大壷)] 어느 것이나 이름있는 명물이었다.


 주군(主君)의 복수전이 된 야마사키(山崎)의 싸움에서 이기고, 자기 입으로 일본 통치는 이제부터라고 한 시즈가타케(賤ヶ岳)의 싸움 및 키타노쇼우(北ノ庄)()의 싸움을 이겨 정청(政廳)으로 오오사카(大坂)()과 쿄우토(京都)에 저택을 짓기 시작한 히데요시의 면목을 살리기에 충분한 전시회가 되었다. 그렇다고는 하여도 이상한 것은 이러한 장소에 어째서 무라시게가 있을 수 있었냐는 점이었다.


 무라시게라고 하면 1578 10월.

 혼간지(本願寺)에 딸을 인질로 보내어 법주(法主)인 켄뇨 코우사( 光佐)와 맹약을 맺고서는 주군인 노부나가에게 반역을 한 다이묘우(大名)가 아니었던가? 그 때문에 거성(居城)에서 쫓겨나 영지(領地)도 잃고 방랑의 몸이 되었던 인물이 아니었던가? 그런 무라시게가 하필이면 노부나가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히데요시 밑에 있는 것은 어찌된 일이란 말인가?

 확실히 무라시게는 셋츠의 이케다(池田)()의 부하에서 올라 온 토자마(外様[각주:9])의 신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셋츠의 국주(国主)로 발탁시켜 준 노부나가를 가장 중대한 국면에 배반하여 숙적인 혼간지(本願寺)와 모우리(毛利)()의 연합세력으로 달려간 반역자였기에 오다(織田)쪽에게 있어서는 용서할 수 없는 인물이었을 터였다.


다인(茶人)으로 여생을 보내다.


 당초 여러 방법으로 무라시게의 뜻을 돌릴 방법을 시도했던 노부나가도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자 공격에 전념하였다.

 우선 무라시게에게 가담하고 있던 셋츠 타카츠키(高槻)()의 성주인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과 이바라키(茨木)()의 성주인 나카가와 키요히데(中川 清秀)등을 귀순시킨 후에 무라시게의 거성(居城) 아리오카(有岡)를 포위하였다. 1578 11월부터 10개월간에 걸친 장기 포위전을 전개 하여 다음 해 1579 9 2 무라시게가 처자식을버려둔 채 아리오카성()을 탈출하여 아마가사키(尼崎)()으로 도망치자, 노부나가 군세는 아리오카성을 함락시켜 무라시게의 처자식과 친척 36명을 쿄우토(京都)의 로쿠죠(六条) 강변(河原)에서 처형하였고, 가신(家臣)의 처자식 120여명을 성 아래서 십자가 같은 곳에 매달아 창으로 찔러 죽였으며, 510여명을 역시 성 아래 4개의 집에 쳐 넣고 불을 질러 죽였다.[立入左京亮入道隆佐記].

 그 비참함엔 구경하던 사람도 눈물을 흘렸고 눈을 뜨고 볼 수 없을 정도여서 부처가 이 세상을 창조한 이래로 이러한 일은 없었다고 사람들은 말했다 한다.


 이런 학살이 일어날 즈음. 무라시게는 아마가사키(尼崎)()에서 하나구마(華熊)()으로 피난하였지만 여기도 1580 7월 초 즈음에 오다 세력에게 공격받아 낙성(落城)되자 모우리(毛利)()의 영토로 도망쳤다.자신의 처자식뿐만 아니라 친척, 가신의 처자식마저 참혹한 죽음을 당하는 와중에 거성(居城)이나 일족(一族), 가신을 계속해서 버려가며 도망친 무라시게의 목적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무라시게가 주가(主家)인 이케다(池田)()를 쓰러뜨리는 하극상(下剋上)으로 몸을 일으키긴 했지만 노부나가에게 반역을 일으킨 것은 참언(讒言)에 의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시야마(石山)()[本願寺]을 포위하고 있던 아라키 무라시게의 부대에서 매일 밤마다 작은 배를 이용하여 성()안으로 쌀을 팔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자 노부나가에게 변명을 하려 했던 무라시게를 측근인 나카가와 키요히데가 만류하여 어쩔 수 없이 반역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자세한 사정을 안 노부나가의 적남(嫡男) 노부타다(信忠)나 히데요시들이 무라시게를 굉장히 불쌍히 여겼다고 한다. [寬政重修諸家譜]


 이 때문인지 혼노우(本能)()의 변 후 머물던 빙고(備後) 오노미치(尾道)에서 다인(茶人)인 츠다 소우규우(津田 宗及)에게 사람을 보내는 등 해서 히데요시에 대한 알선을 의뢰한 듯하다. 히데요시에게서 셋츠인지 이즈미(和泉)에 조그만 영지(領地)를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주로 다도(茶道)를 통해 섬겼던 듯하다. 모우리(毛利)()와 관계 개선을 꾀하려 하던 히데요시에게 무라시게라는 존재가 필요했을 것이다.


 1586년에 사카이()에서 죽었다.

 후반생은 하극상으로 몸을 일으켰던 효웅(梟雄)의 이미지와는 먼 일개의 스키샤(数奇者)와 같은 최후였다.

  1. 위키피디아와 KOEI 태합입지전 평전에는 1535년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2. 리큐우(=宗易)에게 배운 제자들 중 뛰어난 일곱 제자. 문서에 따라 다르나 주로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 忠興), 후루타 시게테루(古田 重然), 시바야마 무네츠나(芝山 宗綱, 세타 마사타다(瀬田正忠), 카모우 우지사토(蒲生 氏郷),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 마키무라 토시사다(牧村利貞)를 지칭함. 아라키 무라시게의 경우 오다 우라쿠사이(織田 有楽斎), 리큐우의 아들인 센노 도우안(千 道安)과 함께 십철(十哲)로 꼽힌다. [본문으로]
  3. 승정의 최고위. [본문으로]
  4. 풍류인(風流人)을 말하나 주로 다인(茶人)을 지칭한다. [본문으로]
  5. 다도(茶道)의 자리에서 리드하던 사람. [본문으로]
  6. 같은 여성의 젖을 먹고 자란 사이. 높은 집안의 아이는 모친의 젖이 아닌 다른 사람의 젖을 먹는 풍습이 있었는데, 노부나가는 유모의 유두를 물어 뜯는 버릇이 있었지만 츠네오키의 모친의 젖만은 얌전히 먹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7. 보통은 '절'을 뜻하나 여기서는 히에이산(比叡山) 엔략쿠(延暦)사(寺)를 말함. [본문으로]
  8. 다도할 때 꽃을 꽃아 놓는 도자기. [본문으로]
  9. 대대로 섬긴 가문 아닌 새로 부하가 된 가문. [본문으로]

다카야마 우콘(高山右近)

1615 1 6일 병사(病死) 63

1552~1615.

셋츠(摂津) 타카츠키(高槻)성주(城主).

세례명 유스토(Justo).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를 섬기며 시즈가타케(賤ヶ岳)의 싸움 등에서 공을 세웠다. 히데요시,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의 기독교 금교령(禁敎令)으로 인하여 영지를 몰수당하고 국외로 추방 당하여 마닐라에서 병사하였다.








평화로운 생활을 깨트린 추방령


 토요토미노 히데요시에게서,
 [
()을 따르겠느냐? 다이묘우(大名)로 남겠느냐?]라는 힐문에 주저없이 다이묘우(大名)의 지위를 버린 기독교 무장 다카야마 우콘은 카가(加賀) 마에다 가문(前田)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우콘은 카나자와(
)의 해자(垓子)이시가키(石垣) 등의 개수(改修)를 지휘하였고 타카오카 성(高岡)의 건물 위치나 배치(縄張)도 정했다.

 마에다 가문이 토쿠가와 이에야스의 편을 든 세키가하라(ヶ原) 전쟁 호쿠리쿠(北陸) 방면의 전투에서도 크게 활약하여 이에야스가, "우콘의 부하 천 명은 다른 무장의 1만 명에 필적한다"고 말할 정도였다.

 우콘의 정확한 영지는 불명이지만 2만석 전후라 여겨지며 마에다 가문의 역대 당주()에게 절대적인 신뢰를 받고 있었다.


 우콘은 카가, 노토(能登)를 비옥(肥沃)한 신앙의 땅으로 만들고 싶다고 생각하여 예수회에 의뢰해서 수도원을 세우고 선교사를 초대하여 커다란 성과를 올렸다. 2대 번주(藩主) 토시나가(利長)는 그러한 우콘의 좋은 이해자였다.


 우콘은 또한 센노 리큐우(千 利休)를 스승으로 삼아, [리큐우 칠철(利休七哲)[각주:1]]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다인(茶人)이기도 하였다. 리큐우가 히데요시에게 죽음을 선고 받아 쿄우()에서 사카이()로 향하는 배를 타고 떠날 때도, 히데요시를 두려워한 다른 제자들과는 달리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 忠興)와 함께 둘이서만 배웅했다. 우콘은 와비챠(わび[각주:2])의 극한에 이른 다인으로 '난보우(南坊)'라는 다인호(茶人號[각주:3])를 자칭했다. 신앙과 다도(茶道)…. 카나자와에서의 말년은 평화로웠다.


 그러나 토쿠가와 정권은 오오사카 성(大坂)의 토요토미노 히데요리(豊臣 秀)가 에도 바쿠후(江戸幕府)와의 결전을 앞두고 낭인을 소집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중에 많은 기독교 무사가 있다는 정보를 얻었다. 1612 12 바쿠후(幕府)는 선교사의 국외 추방(バテレン追放令)과 기독교인 명부의 작성을 명령하였다.


 62세인 우콘에게 힘겨운 새해가 찾아왔다.

 바쿠후에서 우콘그의 동료인 나이토우 죠안(内藤 如安[각주:4]) 그리고 그 가족들을 즉각 추방하라는 명령이 마에다 가에 전해졌다.

 친구들은 우콘에게,

[60세를 넘긴 당신은 괜찮지만 손자들이 불쌍하다. 개종(改宗)한 척을 하면 어떻겠나?]하고 설득했지만 우콘은 이를 거절했다.

 우콘은 3대 번주인 토시츠네(利常)에게 앞으로 섬길 수 없음을 사과하고 그 해의 연공에 해당하는 황금 60매를 헌상. 은거하고 있던 토시나가에게도 황금 30매 상당의 다기(茶器)를 보냈지만 이별을 슬퍼하며 받지 않고 오히려 여행에 쓰라며 돈을 더해서 돌려주었다.


 이리하여 1월이라는 가장 춥고 눈도 많은 계절에 우콘은 부인인 쥬리아, 가노(家老)의 집에 시집갔었지만 우콘을 따르기 위해 이혼하고 온 딸, 죽은 장남의 아들인 손자 다섯을 포함한 8명과 죠안의 가족 10명들과 함께 카나자와를 출발하였다. 평소도 넘기 힘든 호쿠리쿠의 산길을 그리스도의 수난을 생각하며 쌓여있는 눈을 손으로 헤쳐가며 걸어서 넘었다.


고난의 마닐라 항해



 나가사키(長崎)의 행정관(奉行)은 우콘 일행에게 국외 추방을 선언하였고 우콘은 존경하는 호레몬 신부가 마닐라로 향한 것을 알고 마닐라 행의 배에 몸을 실었으며 친구인 죠안도 이에 따랐다. 그 배는 너덜너덜한 정크선[각주:5]으로, 1614 11 8 나가사키 항구 밖의 키바치(木鉢)의 항구를 출항했다.


 배에는 350명이나 되는 인원이 꽉 들어차 계단뿐만 아니라 갑판에도 사람이 넘쳤다. 순풍을 만나면 10일이면 도착하지만 계절은 최악으로 1개월이 지나도 여전히 바다 위에 있었다. 위생상태도 나빴고 더구나 마닐라로 들어가기 직전에 폭풍우를 만나 돛대가 부러져 어선에 발견되기 전까지 4일간 바탄 반도의 앞바다를 표류하였으며 이 때문에 배 안에서 4명이 죽었다.


도착 직후에 객사


 그러나 선교사의 보고로 우콘 등이 얼마나 독실한 신자였는지를 알고 있던 스페인 현지 총독 후앙 데 실바는 표류하는 배를 구원하여 성벽도시 인트라므로스의 해안으로 견인하였다.


 일행은 요새에서 발사되는 축포로 환영 받으며 마닐라에 첫발을 내딛자 교회의 종들이 일제히 울렸고 의장병과 시민들의 환호를 받았다. 총독은 국빈 대우로 우콘을 맞이하여 신앙의 스승으로 앞으로도 오랫동안 머물기를 바랬다.


 그러나 이때 이미 우콘의 몸은 배에서의 열악한 환경, 거기에 마음의 피로가 겹쳐 병마에 침식당하고 있었다. 마닐라에 상륙한지 44일 후인 1615 1 6(서력 2 3), 가족과 죠안이 보는 앞에서 63세로 죽었다.

총독관저의 거실로 옮겨진 관 속의 우콘은 무인을 상징하는 갑옷과 다인을 의미하는 쥬우토쿠(十徳) 두건을 쓴 모습으로 마치 살아있는 듯이 보였다 한다.


 우콘의 관은 총독을 시작으로 재판관, 수도사, 시회 의원, 유력자 등이 바꿔가며 메었고 700미터 떨어진 산 타아나 교회로 이어져 그 교회의 주제단에 가까운 곳에 관구(管區)의 어른들이 영면을 취하고 있는 관들 사이에 놓였다.

 이 교회는 지진이나 폭격으로 파괴되어 지금은 존재하지 않으며, 유골은 이곳 저곳을 떠 돈 끝에 현재는 케손 시티 교외의 노바레체스 수도원의 합동묘에 죠안과 함께 잠들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1. 리큐우 휘하의 뛰어난 제자 일곱 명.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 忠興), 후루타 시게테루(古田 重然), 시바야마 무네츠나(芝山 宗綱)), 세타 마사타다(瀬田正忠), 카모우 우지사토(蒲生 氏郷),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 마키무라 토시사다(牧村 利貞))을 이름. [본문으로]
  2. 말하자면 화려함 보다는 간소함을 찾는 다도(茶道)형식. [본문으로]
  3. 다도의 세계에서 쓰는 호를 말함. [본문으로]
  4. 우리나라에는 '소서비(小西飛)'로 알려져 있다. [본문으로]
  5. 중국식의 배를 말함. [본문으로]

미요시 나가요시[三好 長慶]

1564 74일 병사 43

1522~1564.

칸레이[각주:1](管領) 호소카와 하루모토(細川 晴元)의 집사(執事) 이즈미(和泉), 카와치(河内), 셋츠(摂津)를 지배. 이어서 쿄우토(京都)에 들어가 쇼우군(将軍) 아시카가 요시테루(足利 義輝)를 추방. 또한 주군 하루모토(晴元)도 추방하여 킨키(近畿[각주:2]) 8개국을 영유하며 전성기를 누리지만 마츠나가 히사히데(松永 久秀)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절정기의 나가요시


 전성기의 미요시 나가요시는 야마시로(山城), 야마토(大和), 카와치(河内), 이즈미(和泉), 셋츠(摂津) 등 킨키 지역에 더해 탄바(丹波)의 대부분과 하리마(播磨)의 일부 그리고 시고쿠(四石) 지역의 아와(阿波), 사누키(讃岐), 아와지(淡路), 이요(伊予)의 일부에 이르는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조정(朝廷)에게서 종사위하(従四位下) 슈리노다이부(修理大夫)에 임명받았고, 바쿠후의 직책으로는 쇼우반슈우(相伴衆[각주:3]) 중 하나로 임명된 나가요시는, 1561 3 30 자신의 저택으로 13대 쇼우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방문을 실현시켰으며 또한 옻칠한 가마(輿[각주:4])오동나무의 문장(桐紋[각주:5]) 사용도 텐노우(天皇)에게 허가 받는 등 인생의 절정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적자(嫡子) 요시오키(義興)나 동생인 요시카타(義賢)도 쇼우반슈우(相伴衆)에 이름을 올렸다. 그야말로 이 1561년 즈음은 미요시씨()의 절정기였다.


 나가요시의 절정에 달한 모습은 오동나무의 문장을 새긴 히타타레(直垂[각주:6])모습의 그림(다이토쿠(大徳)() 쥬코(聚光)()에 있다)에서도 알 수 있다.


운이 쇠퇴한 말년


 그러나 킨키와 시고쿠(四石) 지역에 위세를 떨치던 나가요시의 말년은 불행했다.

 영화(榮華)에서 곧바로 나락의 길로 떨어진다는 것은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우선 [오니소고우(鬼十河[각주:7]]라는 이명(異名)으로 아와(阿波)의 배후인 사누키(讃岐)를 휘어잡고 있던 막내 동생 소고우 카즈나가(十河 一存) 1561 4월 즈음에 병사했다. 사이가 좋지 않던 마츠나가 히사히데에 의한 독살이라는 설도 있다.


 다음으로 나가요시의 한 팔이기도 하며 본국 아와를 확실히 지배하고 있던 미요시 요시카타(호는 짓큐우())가 다음 해인 1562 3 5 [쿄우토(京都) 주변에서는 비할 바 없는 큰 싸움(近国無双大合戦)][속응인후기(続応仁後記)]이라 일컬어진 이즈미 쿠메다(久米田)의 싸움에서 하타케야마 타카마사(畠山 高政)에게 패하여 한창 일할 나이인 37살에 전사해 버렸다.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어가는 시기에 미요시 내부에도 커다란 불씨가 존재하였다.

 그 불씨란 나가요시의 비서관(右筆)으로 시작하여 출세한 마츠나가 히사히데를 말한다. 히사히데가 얼마나 권세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1561년 즈음에 루이스 프로이스[각주:8]가, [히사히데는 미요시의 부하이지만 나가요시에게서 재판권과 통치권을 빼앗아 천하의 지배권을 손에 넣었다(日本史)]'등에서 평하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조정(朝廷)의 마음에 들기 위해 아첨하는 히사히데는 미요시 내부에서 언젠가는 반드시 터질 폭탄이 되어있었다.


 한편 주변도 하타케야마 씨()나 네고로 사(根来)의 중도(衆徒)를 시작으로 한 반() 미요시 세력이 물밑에서 힘을 키우고 있었다. 쇼우군 요시테루도 겉으로는 미요시 씨()의 보호 아래 있는 척을 하면서도 반 미요시세력을 응원하고 있었다. 조정 내부에서도 미요시마츠나가를 불쾌히 여기는 귀족(公家)도 많았다.


불행이 이어진 마지막


 이렇게 힘든 시기에 나가요시에게 있어 인생 최대의 불행이 찾아왔다.

 적남 요시오키의 죽음이었다. 1563 8월 병에 걸려 같은 달 25일에 아쿠다가와 성(芥川)에서 22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죽었다. 소문으로는 히사히데가 [조부나 부친에 버금가는 기량(父祖らず器量勝)][続応仁後記]이라 일컬어지는 요시오키의 뛰어난 재능을 두려워 하여 먼저 손을 써 독살했다고 한다.


 그리고 1564 5 9일.
 요시나가는 자기 손으로 수군을 이끌고 있던 아와지(淡路)의 동생 아타기 후유야스(安宅 冬康)를 이이모리(飯盛)()에서 죽여버린 것이다. 가인(歌人)임과 동시에(茶道)에도 뛰어난 문화인(文化人). 거기에 의리와 인정이 두터운 자비심 깊은 인물이기도 하였으며 나가요시의 오만함이나 남을 경시하는 것을 보고, 방울벌레를 보내 '여름 벌레라도 자애로운 마음으로 기르면 겨울까지 날 수 있습니다. 인간은 더욱 그러합니다'라고 충고하였다고 한다.

 그러한 후유야스의 인망(人望)은 카즈나가(一存), 요시카타(義賢), 요시오키(義興)의 계속된 죽음으로 인해 더욱 높아만 갔다. 모반(謀叛)의 야망이 있다던가, 반역의 기운이 있다는 풍설을 전하는 히사히데의 참언(讒言)을 믿고 나가요시는 후유야스를 죽였다.


 확실히 미요시 가문에서 유일하게 남은 실력자를 히사히데가 없애려 한 것은 당연한 것일 수도 있지만, 후계자로 선택하여 맞아들인 요시츠구(義継 = (소고우 카즈나가(十河 一存)의 아들)가 너무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그의 앞길을 생각하여 나가요시가 꾸민 일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불과 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적남 요시오키 그리고 소고우 카즈나가, 미요시 요시카타, 아타기 후유야스라는 자신을 지탱해 온 유능한 동생들을 전부 잃어버린 불행이 이어진 것이다.


 후유야스가 불운한 죽음을 당한 불과 40여일 후인 1564 6 22일.
 요시츠구는 가문 상속에 관한 허가를 내려준데에 대한 답례를 하기 위하여 4000여의 무리를 이끌고 쿄우토(京都)에 갔다. 요시츠구는 이이모리 성()으로 곧바로 돌아왔는데 10일 후인 7 4 나가요시는 성 아래의 저택에서 병사했다. 43세였다.

 나가요시는 1561년 즈음부터 자주 병에 걸렸다고도 하는데 적남 요시오키의 죽음에 많이 낙담한 나가요시는 후유야스의 죽음 이후 병이 더욱 깊어졌다고 한다. 또한 말년은 렌가(連歌)에 빠져 살았다고 한다. 확실히 어지럽게 변하는 정치세계에서의 생활이 나가요시의 마음을 황폐화 시켰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1. 무로마치 바쿠후(室町幕府)의 역직으로 굳이 따지자면 '정승'이라고 할 수 있음. [본문으로]
  2. 쿄우토(京都) 주변. 즉 수도권. [본문으로]
  3. 쇼우군이 궁궐에 입궐하거나 여러 곳을 방문할 때 함께 갈 수 있는 사람들을 지칭. 칸레이(管領) 다음 가는 권위를 가졌다. [본문으로]
  4. '누리고시'라 읽는다. 상자에 옻칠을 한 가마로 쇼우군이나 몬제키(門跡 – 황족이나 높은 쿠게(公家)가 출가한 특별한 절)만이 이용할 수 있었다. [본문으로]
  5. 원래는 황가의 문장으로, 텐노우(天皇)에게서 공이 있는 사람에게 하사되었다. [본문으로]
  6. 무가(武家)의 예복. [본문으로]
  7. 악마와 같은 소고우. 즉 악마라 불릴 정도로 맹장임을 나타낸다. [본문으로]
  8. 포루투갈의 선교사로 당시 일본에 대하여 쓴 日本史가 당시의 여러 사정을 알려주는 귀중한 사료이다. [본문으로]

도요토미노 히데나가(豊臣 秀長)

1591 1 22일 병사 51.

1540~1591.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이부제(異父第[각주:1]). 히데요시를 보좌하며 하리마(播磨) 공략전 등 여러 지역에서 활약. 혼노우(本能)()의 변 후에는 히메지(姫路)()에서 천하 통일을 도왔다. 키이(紀伊), 이즈미(和泉), 야마토(大和)를 영유(領有)하며 [야마토 다이나곤(大和 大納言)]으로 불리는 실력자였다.










히데요시를 지탱해 온 동생


  오다 가문(織田)에서 출세한 형 히데요시의 꼬임에 넘어가 억지로 사무라이가 된 '키노시타 코이치로우 히데나가(木下 小一郎 秀長)'. 하지만 형과 함께 전장(戰場)에서 활약하면서 형의 좋은 조언자, 보좌역이 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히데요시가 타지마(但馬)를 평정한 1581년.

 히데나가가 이즈시(出石)()에 입성하여 타지마를 통치하였으며 히데요시가 타지마, 하리마를 영유하자 1582년 히데나가가 히메지성으로 거처를 옮겨 그 지역의 경영에 힘썼다. 그리고 1585 히데요시와 함께 키이의 네고로(根来), 사이가(雑賀) 토벌에 참가하여 그 지역을 평정하자 히데요시에게서 키이, 이즈미 양 지역이 하사 받아 영지 경영을 위해서 와카야마(和歌山)에성을 쌓기 시작했다.

 그리고 같은 해 6월의 시코쿠(四国)정벌에서는 병에 걸려 누워있던 히데요시를 대리하여 원정군을 지휘. 불과 50여일 만에 쵸우소카베 모토치카(長宗我部 元親)를 항복시키는 전공을 올렸다. 히데요시는 동생의 이런 생각하지도 못했던 전공을 기뻐하여 야마토, 이즈미, 키이의 3개국() 100만석의 영주로 임명하였고 거성(居城)으로 야마토 코오리야마(郡山)()이 주어졌다.


 히데나가는 히데요시를 닮아 인정미가 넘쳤고 거기에 온후하고 성실한 인격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큐우슈우(九州) 원정 후인 1588 8월 종이위(従二位) 곤다이나곤(権大納言)에 서임 받으면서 부터는 야마토 다이나곤(大和 大納言)이라 불리며 [토요토미 가문 내에 관한 것은 소우에키(宗易 = 센노리큐우(千利休)]에게, 천하에 관한 일은 히데나가에게]라는 풍설이 돌 정도로 히데나가는 리큐우와 함께 히데요시의 양 팔이 되어 토요토미 정권을 뒤에서 지탱했다.


히데나가가 죽은 후, 갈팡질팡하는 히데요시


 1590 3월.

 히데요시는 쿄우토(京都)를 출발, 오다와라(小田原)를 토벌하기 위해 떠났다. 이 때 히데나가는 쿄우토(京都)에 있었는데 1월에 한 때 중태에 빠질 정도로 위중한 병에 걸려있었다. 히데요시는 걱정한 나머지 병상에 있는 히데나가를 세 번 병문안 한 후에야 출진하였고 이 병문안으로 안정을 찾았는지 히데나가의 병이 일단은 나아져, 4 15일에는 야마토 코오리야마에 귀성했다. 하지만 히데나가의 병은 회복되지 않고 재발하였다.


 10월 오다와라 토벌을 끝내고 쿄우토(京都)에 개선한 히데요시는 곧바로 야마토 코오리야마로 달려가 히데나가를 병문안 하였다. 그리고 나라(奈良)의 카스가(春日) 대사(大社)5천석을 기부하여 병이 낳게 해달라는 기도를 의뢰하였고 쿄우토(京都)로 돌아와서도 쿄우토(京都) 안팎의 여러 절과 신사에 병이 낫게 하는 기도를 하라고 명령하였다.


 하지만 히데요시의 바램도 허무하게 히데나가는 새해가 밝은 1591 1 22 야마토 코오리야마성에서 죽었다. 향년 51.

 장례는 히데요시가 주최하였고 1 29일에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의 보제(菩提[각주:2])사였던 다이토쿠(大徳)() 소우켄(総見)()에서 코케이 소우친(古渓 宗陳) 화상(和尙)을 도사(導師)로 초빙하여 성대하게 치렀다. 묘는 당초 성 아래인 미노야마(箕山)에 세워진 후 코케이 소우친 화상에 의해 보제소 타이코우(大光)()이 세워져 옮겨졌다.


 히데나가가 야마토 코오리야마성()에 있던 것은 6년여에 지나지 않지만 히데요시를 보좌하는 한편 코오리야마 성()을 크게 개축하면서 성 밑 마을(城下町)을 정비하였고, 옛날부터 지역에 자리 잡고 있던 절 등이 가진 무력을 해체하여 지역에 바탕을 둔 세력을 뿌리째 없애버리는 등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에 이르는 길을 정비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히데나가의 죽음으로 인해, 히데요시는 가족 중에 좋은 조언자를 잃은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토요토미 정권의 장래에 불안한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다. 센노리큐우에게 할복을 명하는 등 히데요시 말년의 폭주가 시작된 것이다.


코오리야마 토요토미가() 폐절(廢絶[각주:3])


 후계자를 낳지 못했던 히데나가는 히데요시와 히데나가의 누나로 칸파쿠(関白) 히데츠구의 생모인 토모의 셋째 아들 히데야스(秀保)를 양자로 삼았다. 후에 [야마토 츄우나곤(大和 中納言)]이라 불린 히데야스가 히데나가의 영지를 이은 것은 그의 나이 13살 때.

 하지만 [태어나면서부터 성질이 더럽고 나아지질 않았다]고 할 정도였으며 더구나 악성 치질에 걸려 고생하여 이 치질 요양을 위해서 야마토의 토츠카와(十津川) 온천에 간 1595 4 16 잘못해서 절벽에서 떨어져 추락사하고 말았다. 그 때문에 히데요시는 히데야스의 죽음을 불길하게 여겨 코오리야마 토요토미가() 2 11년 만에 폐절해 버렸다.


 히데요시는 이후 야마토 코오리야마에 오봉행(五奉行) 중 한 명인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에게 20만석을 주고 배치하였지만, 세키가하라(ヶ原)의 싸움 후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에 의해 영지를 몰수당했을 뿐만 아니라 야마토 코오리야마성()을 폐성하기로 결정하여 철저하게 부서졌다.


 또한 히데나가의 묘가 있는 타이코우(大光)()은 쿄우토(京都)의 다이토쿠(大徳)()로 옮겨졌는데, 이것은 이장한 타카토라(高虎)1576년에 20살의 나이로 히데나가를 시작으로 1595년 히데야스가 죽을 때까지 코오리야마 토요토미 가()를 섬겼기 때문이다. 오오사카 여름의 싸움에서 토요토미 가()가 멸망하면서부터 해가 갈수록 황폐해져 가는 히데나가의 묘를 보고 안타까웠던 타카토라는 토요토미 일족의 묘가 있는 쿄우토(京都)로 옮겼으며 히데나가는 지금도 다이토쿠사()의 타이코우원() 안에 있는 묘소에서 타카토라의 묘와 사이좋게 나란히 잠들고 있다.

  1. 아버지가 틀리고 어머니가 같은 형제 [본문으로]
  2. 사후(死後)의 명복을 빔 [본문으로]
  3. 가문을 없애고 끊기게 함 [본문으로]

도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

1598 8 18일 병사 62

1536 ~ 1598.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을 섬기며, [스노마타 하룻밤 성(墨俣一夜城)[각주:1]]등의 공을 세웠다. 빗츄우(備中) 타카마츠(高松)() 공격 중에 혼노우(本能)()의 변을 듣자마자 츄우고쿠 대반전(中国大返[각주:2])를 감행하여 야마자키(山崎)의 싸움에서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를 쓰러뜨렸다. 후에 쵸우소카베(長宗我部), 시마즈(島津), 호우죠우(北条)()를 항복시켜 천하를 통일하였다.







현실도피의 꽃구경


 토요토미노 히데요시는 1598년 새해가 밝자 교착상태에 빠진 조선 전선(朝鮮 戰線[각주:3])우울함에서 도피라도 하듯이 [다이고의 꽃구경(醍醐花見)]의 장소가 되는 다이고(醍醐)()의 정비에 열중했다. 1년 전부터 기획한 꽃구경이었지만 어두운 현실에서 눈을 돌려 도피하기에는 다시 없는 기회인 듯 했다.

 말년의 히데요시는 고독한 위정자(爲政者)였다.


 히데요시 스스로 다이고사()로 가서 오우닌의 난(応仁の乱) 때 황폐해진 절의 여러 건물()을 계속해서 수복(修復)하고 정원을 새로 만드는 것에도 직접 힘을 쏟는 등 진두지휘(陣頭指揮)하였다. 마치 이 꽃구경 행사가 [마지막 잔치]가 될 것이라는 것을 히데요시 자신이 예지라도 한 것인지 굉장한 열의를 가지고 힘을 쏟았던 것이다.


 이렇게 준비의 만전을 기한 끝에 열린 3 15 [다이고의 꽃구경] 문자 그대로 호화찬란한 사상 최고의 꽃구경이 되었다.

 히데요시는 어린 히데요리()와 함께 키타노만도코로(北政所[각주:4]), 요도도노(淀殿[각주:5]), 마츠노마루도노(丸殿[각주:6]), 산노마루도노(丸殿[각주:7])등의 정실(正室), 측실(側室)들을 시작으로, 그녀들의 시녀들이나 여러 다이묘우(大名)의 부인들과 함께 만개한 벚나무 아래를 거닐며 하루 종일 꽃구경 잔치를 즐겼다. 늙은 히데요시에게 있어 화려한 옷을 입은 여인들 사이에서 즐기는 꽃구경은 현세를 잊고 도원경(桃源境)에서 노니는 심경이었음이 틀림 없다.


병에 걸린 히데요시


 꽃구경이 끝난 뒤에도 히데요시는 다이고사()에 들려 절 수복에 힘썼다. 여전히 어두운 현실에서 조금이라도 도피하고픈 듯이.


 하지만 5 9.

 천하인(天下人)만이 소유할 수 있다고 하는 천하의 명석(名石 - 藤戸石) 히데요시의 손을 떠나 다이고사()로 옮겨져 산호우()()의 정원 정면 중앙에 놓여 졌을 때 히데요시는 후시미(伏見)()에서 병으로 누워 있었다.


 히데요시는 그 4일 전인 5 5일.

 갑자기 병에 걸려 그 날부터 투병 생활에 들어간다. 하지만 당초는 본인도 가볍게 생각하고 있던 병이 날이 갈수록 악화되었다. 그 때문에 전국의 절과 신사(神社)들에게 쾌유할 수 있도록 기도해 달라는 요청이 내려졌고 조정(朝廷)에서도 임시 카구라(神楽[각주:8])를 행하여 병마에서 헤어 나올 수 있게 하는 기도가 행해졌다. 하지만 기도의 효험은 나타나질 않았고 한 때는 인사불성에 빠졌다.


비통한 최후와 유언장


 히데요시도 죽음이 가까워진 것을 깨달은 듯 하다.

 7 15일. 여러 다이묘우(大名)들에게 후계자인 히데요리에게 충성을 맹세한다는 서약서(誓紙)를 제출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오대로(五大老), 오봉행(五奉行)을 정하여 당시 6살의 어린 히데요리를 위해 토요토미 정권 체제를 강화하는 등 죽을 때가 다 된 히데요시에게오직 히데요리의 미래만이 신경 쓰일 뿐이었다.


 그리고 8 5일.

 히데요시는 오대로에게 보낸 이승에서의 이별이라고 할 수 있는 유언장을 써서 계속해서 히데요리를 부탁하였다.

히데요리를 부탁합니다. 이것 말고는 아무런 미련도 남지 않습니다.

거듭거듭 히데요리를 부탁합니다. 다섯 분에게 부탁합니다.

막상 다섯 분에게 말씀드리고나니 이별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현세에 미련을 남긴 채 죽음을 맞이하고 있던 텐카비토(天下人) 히데요시의 비통한 마지막 말이었다.


 이리하여 히데요시는 그 해인 1598 8 18일 새벽. 후시미 성에서 생이 마감하였다. 향년 62.


 히데요시에게는 또한 사세구()가 있다.

이슬 떨어져 이슬처럼 사라지는 나의 생명이려나

무슨 일(또는 오오사카)이건 꿈 속의 꿈

 오대로에게 보낸 유언장처럼 아쉬움이 배어 나오는 서글픈 시이다.

 하지만 이 시는 히데요시의 예언이기도 했는지 히데요시는 토요토미 가문을 시작으로 토요토미 정권의 비극적인 결말까지 예견한 듯하다.


 히데요리는 히데요시가 그 후사를 부탁했던 오대로의 필두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에게 공격 당하여 토요토미 가문은는 멸망하였다. 거기에 히데요시가 쌓은 난공불락의 성이었던 오오사카 성()은 오오사카 여름의 전투에서 불에 타 없어졌으며 후시미 성()도 세키가하라(ヶ原)의 싸움에서 공격 받은 피해로 인하여 폐성(廢城)이 되어 없어졌다. 그리고 히데요시를 신으로 모신 호우고쿠(豊国) 신사(神社) 이에야스의 파괴 명령으로 인해 소멸되었다. 이리하여 히데요시 일대(一代)의 힘으로 쌓아 올린 토요토미 가 영광의 흔적은 이에야스에 의해 전부 이 세상에서 말살되어 그야말로 남가일몽(南柯一夢)처럼 허무하게 없어진 것이다.

  1. 스노마타에 하룻밤만에 성을 세웠다는 전설. [본문으로]
  2. 보통보다 더 빨리 철수한 것을 이름 [본문으로]
  3. 정유재란을 말함. [본문으로]
  4. 정실 네네(ねね). [본문으로]
  5. 히데요리의 친모(親母). [본문으로]
  6. 와카사 타케다(若狭 武田)씨(氏) 최후의 당주 타케다 모토아키(武田元明)의 부인. 타케다가 혼노(本能)사(寺)의 변 때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의 편을 들어 후에 할복. 이에 따라 히데요시의 측실이 되었다. [본문으로]
  7. 오다 노부나가의 다섯 번째 딸. [본문으로]
  8. 신에 춤을 바치기 위해 추어진 가무(歌舞).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