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키바라 야스마사(榊原康政)

1606 5 14 병사 59

1548 ~ 1606.
어려서부터
토쿠가와 이에야스
[德川 家康]를 섬겼으며, '토쿠가와 사천왕[徳川 四天王][각주:1]'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아네가와[][각주:2], 나가시노[長條][각주:3] 전투 등에서 활약하였고, 이에야스가 칸토우(関東)로 이봉(移封)되자, 코우즈케[上野] 타테바야시[館林] 10만석에 봉해진다. 히데타다[秀忠][각주:4]의 보좌역을 맡으며 그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다.









무공파(武功派) 의 대표


 사카키바라 야스마사의 가문은 야스마사의 조부 키요나가[淸長]가 토쿠가와 이에야스의 부친 마츠다이라 히로타다[松平 広忠]를 섬긴 이래의 미카와[三河] 오카자키 후다이[岡﨑 譜代[각주:5]]이다.


 1560년의 오케하자마 전투[桶狭間の戦い][각주:6] 직후에 마츠다이라 가 씨사(氏寺[각주:7])인 다이쥬[大樹]에서 이에야스를 배알하였다. 이 때 야스마사 13. 이에야스보다 6살 연하였다. 이후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많은 전투에서 무공을 세웠고 혼노우[本能]의 변[각주:8] 직후 이에야스 최대의 위기 '이가 도피행[伊賀越え]' 때도 함께 있었다고 한다. 야스마사의 [야스()]는 이에야스에게 일자배령(一子拜領[각주:9])을 받은 것으로 이러한 공적에 대한 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코마키-나가쿠테(小牧-長久手)의 전투에서는 히데요시의 행동을 비난하는 격문을 돌려 히데요시를 크게 화나게 했다. 이 즈음부터 이이 나오마사[井伊 直政], 혼다 타다카츠[本多 忠勝]와 더불어 이에야스에게 [삼걸(三傑)이 있다]고 칭송 받게 되었다.


 1590년 칸토우 입국에 따라 코우즈케 타테바야시 10만석이 주어져, 역시 카즈사[] 오오타키[大多喜]에 10만석을 받은 타타카츠와 함께 이이 나오마사에 버금가는 후다이 직신(直臣) 2위의 지위를 차지하게 된다. 이 때 나오마사 43세였다. 이후 16년간 성 밑 마을(城下町)의 정비나 민정에 조력하여 타테바야시 번()의 경영에 힘 썼다.


미토[水戶] 전봉[転封] 사퇴


 1600년.

 세키가하라[関ヶ原] 전투에서 53세의 야스마사는 토쿠가와 본대(本隊)를 이끈 히데타다 군의 선봉장으로 토우산도우[東山道]를 거슬러 진군하였다. 그러나 사나다 마사유키[真田 昌幸], 노부시게[信繁[각주:10]] 부자(父子)시나노[信濃] 우에다[上田城] 공략에 시간을 너무 지체하여, 결국 결전에 참가하지 못하는 추태를 범했다. 젊은 지휘관 히데타다가 공을 서두른 것이 첫째 원인이지만, 선봉장이면서 전투의 스페셜리스트였던 야스마사에게도 책임이 있었다. 세키가하라 전투가 끝난 뒤 논공행상에서 야스마사가 빠진 이유도 이런 점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단, 논공행상에 대해서 '사카키바라 계보[榊原 系譜]'에는 다음과 같은 이설(異說)이 쓰여져 있다.

 1601년에 이에야스에게서 히타치[常陸] 미토[水戶] 25만석으로의 전봉이 타진되었지만, 야스마사는 거부하였다. 그 이유로 미토는 오우슈우(奧州)를 제압하는 요충지이기 때문에 여차할 때에 성을 비우고 출진하기가 쉽지가 않다. 또한 예전 칸파쿠[関白] 토요토미노 히데츠구[豊臣 秀次]가 히데요시에게 멸망 당했을 때 이에야스의 명령을 받고 단 하루만에 이에야스의 본진을 따라 잡을 정도로 신속히 행동을 취할 수 있었던 것도 타테바야시에 있었기 때문이다. 미토라면 3일은 걸릴 것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선봉을 맡을 수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 이야기의 진위는 확실하지 않지만 무공만으로 토쿠가와 가문을 크게 만들어 왔다는 자부심을 강하게 가지고 있던 야스마사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에피소드라고 할 수 있다.


체념과 반골


 한편 세키가하라의 전투를 계기로 무력으로 토쿠가와 가에 대항할 수 있는 세력은 사라졌다. 그리고 막부 성립 후는 타다카츠나 야스마사 등 무공파를 대신하여 혼다 마사노부[本多 正信] 등 문치파(文治派)가 이에야스에게 중용 되는 것이 시대의 추세였다.

 사실 야스마사는 세키가하라의 전투 이후 이에야스 측근의 지위에서 물러나 타테바야시의 경영에 힘을 쏟아 막정(幕政)의 무대에 나서지 않게 되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이제 야스마사 등 무공파가 나설 곳이 더 이상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들을 대신하여 등장한 혼다 마사노부 등의 문치파 세력과 마찰을 일으켜 토쿠가와 가문의 내분이 천하에 알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일부러 막정에 대해 참견하지 않도록 힘 쓴 결과라고 한다. 야스마사가 단순한 [저돌적인 멧돼지 무사]가 아닌 세상의 변화를 구별할 수 있는 눈을 가진 인물이라는 것이, 아라이 하쿠세키[新井 白石]의 평가이다.


  죽을 때가 되어서 장염이 악화되었을 때 쇼우군[将軍] 히데타다와 오오고쇼[大御所] 이에야스에게서 병문안의 사자가 파견되었지만 대응에는 명확한 차이를 두었다고 한다.

 히데타다의 사자에게는 누워 있던 이불에서 나와 예복을 차려 입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한편 이에야스의 사자에게는 이불에 누운 채로 '장이 썩어서 얼마 안가서 죽을 것'이라고 전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히데타다에게는 세키가하라 전쟁에서 쓰디쓴 경험을 맛보게 했다는 자책의 마음이 있었을 것이다. 신하로서 정중한 태도를 끝까지 잃지 않았다. 토쿠가와 가문에서 '인품 제일'이라 평가 받던 야스마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편 이에야스에게는 시대의 흐름을 머리로는 이해하면서도 많은 피를 흘려 온 무공파를 대신해서 문치파를 중용하는 이에야스에 대한 반발심이 자신도 모르는 새에 나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장이 썩었다'는 것은 예전 야스마사가 마사노부를 욕할 때 사용하던 말이었다.


 이에야스와 히데타다의 사자가 온 지 얼마 안 된 1606년 5월 14일.

 야스마사는 타테바야시 성에서 59세로 죽었다.

  1. 사카이 타다츠구(酒井 忠次), 혼다 타다카츠(本多忠勝), 사카키바라 야스마사(榊原 康政), 이이 나오마사(井伊 直政) 등의 토쿠가와가(家)를 지탱한 네 명의 공신을 지칭. [본문으로]
  2. 1570년에 오다-토쿠가와[織田・徳川] 대 아자이-아사쿠라[浅井・朝倉]간에 벌어진 전투. [본문으로]
  3. 1575년 오다-토쿠가와[織田・徳川] 대 타케다[武田] 간에 벌어진 전투. 보통 타케다의 기마 돌격을 오다 3단 철포로 물리쳤다는 떡밥으로 유명한 전투. [본문으로]
  4. 이에야스의 아들. 후에 에도 막부[江戸幕府} 2대 쇼우군[将軍] [본문으로]
  5. 마츠다이라 가문(=토쿠가와 가문)이 오카자키에 자리를 잡았을 때 마츠다이라 가문의 부하가 되어 대대로 섬긴 가문. [본문으로]
  6. 1560년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가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 義元]를 물리친 전투. [본문으로]
  7. 문의 위패를 모신 절. [본문으로]
  8. 1582년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가 쿄우토[京都] 혼노우 사[本能寺]에 머물다 자신의 부하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의 반란에 살해당한 사건. [본문으로]
  9.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자신의 이름 중 한 글자를 내리는 것. [본문으로]
  10. 보통 사나다 유키무라[真田 幸村]로 유명하다. [본문으로]

사나다 마사유키[真田 昌幸]

1611 6 4일 병사(病死) 65

1547 ~ 1611

시나노[信濃] 우에다 성[上田城] 성주. 처음엔 타케다 씨[武田氏]를 섬겼지만 타케다 씨 멸망 후 자립한다.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는 서군(西軍)에 속해 우에다 성에서 농성하여 토쿠가와 히데타다[德川 秀忠]를 괴롭히지만, 서군의 패배로 인하여 항복 개성(開城)하였다. 코우야 산[高野] 자락의 쿠도야마[九度山]에 유폐되었다.










하산(下山)하고 싶은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에 대한 의리를 갚기 위해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는 우에다 성[上田城]에서 농성하며 토쿠가와 히데타다[德川 秀忠]를 농락하였지만, 서군의 패배 후 아들 노부유키[信之]의 구명 운동으로 목숨을 건진 사나다 마사유키[真田 昌幸], 유키무라[幸村 = 노부시게[信繁]] 부자가 시나노 우에다에서 16인의 동반자들과 함께 유배지인 키이[紀伊] 코우야 산으로 향한 것은 1600년 10월 13이었다. 당시 마사유키는 54, 유키무라는 34세였다.


 코우야산에 도착한 마사유키 일행은 사나다지방의 숙방(宿坊[각주:1])인 렌게죠우 원[華定院]에 일년 넘게 체제하였으며 곧이어 쿠도야마에 완성된 사나다 저택으로 옮겼다. 죄인이라고는 해도 유배 생활은 완전 자유로 등산이나 사냥, 수영, 뱃놀이도 즐길 수 있었다. 그러한 유배 생활을 계속하면서도 마사유키의 마음 속에는 유배에서 풀려나는 꿈만을 키워갔다.


 1603년 3월 15신코우 사[信綱寺]로 보낸 편지에, 3년 후의 여름에는 혼다 마사노부[本多 正信]가 이에야스[家康]에게 잘 말하여 유배에서 풀려날 수 있다고 착각하고 있거나, 또한 몇 년도의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이 편지의 전후로 생각되어지는 가신 쇼우츠 신고로[称津 神五郞]에게 보낸 정월 3일의 편지에도 '새해도 되어 우리들에게 곧 하산의 명령이 내려질 것 같다' 근거 없는 기쁨을 전하며 하산의 명령을 계속 기다렸다.


고향에 돈을 요구.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하산의 명령이 내리지 않은 채 세월만이 흘러갔다.

 이에야스조차도 두려워 한[각주:2] 무장의 의지도 차츰 꺾여 갔다. 더욱이 동반자나 하인들을 포함한 유배생활은 대가족이었기에 돈이 많이 들었다. 생활비는 노부유키[信之]가 보내주는 돈과 렌게죠우 원[連華定院]에서 바치는 적은 세금, 거기에 감시역인 와카야마 성[和歌山城]의 성주(城主) 아사노 나가아키라[浅野 長晟]에게서 매해 보내지는 50석뿐이었다. 이것만으로는 대가족의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어 마사유키는 자주 노부유키에게 돈을 요구했다.


 연도는 불명이지만 정월 5일의 편지에 셋째 아들 마사치카[昌親]에게서 40냥 중 20냥을 확실히 받았지만, 빚이 많아 살림을 꾸려나갈 수 없어 힘드니 남은 20냥도 하루속히 보내주길 바라며 빨리 보낼 수만 있다면 5~6냥도 좋다고 할 정도로 마사유키는 빚에 찌들린 힘든 나날들을 유배지에서 보내고 있었다.

 마사유키의 계속된 돈 요구나 재촉에 노부유키는 그때마다 보내주었고 또한 정월이 되면 돈과 물품을 보냈으며 편지도 왕성히 오고 갔다. 편지의 왕복이야말로 유배생활을 하고 있는 마사유키에게 있어서 유일한 위안이었을 것이다.


약해져 버린 과거의 지장(智將)


 노부유키쪽에서의 편지를 마음속으로 기다리면서 마사유키는 차츰 늙어가는 자신에 대한 한탄을 내뱉게 되었다.

 연도는 알 수 없지만 말년이라고 여겨지는데 첫째 아들 노부유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가오는 세월의 파도로 인해 무엇을 해도 끈기가 없어 지쳐만 간다고, 왕년의 지장(智將)이 이제는 완전히 체념한 듯한 약한 소리를 내기에 이르렀다.


 더욱이 최후의 말년에는 자주 병이 걸려, 1609년 혹은 1610년 즈음으로 추정되는 4 28일자 우에다[上田]의 유우안 호우인[夕庵法印]과 가로(家老) 오오쿠마 호우키노카미[大熊 伯耆守]에게 보낸 편지에, 노부유키의 병이 쾌유가 된 것을 기뻐하면서도 자신의 병이 재발했다고 하며 다음에는 발이 빠른 말을 한 마리 보내주길 바란다고 적혀 있다. 말은 병중의 위로로 하고 싶다고 했는데 이것도 병으로 인하여 누워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약해진 마음을 지탱하기 위해 또는 과거 말을 탄 자신의 용맹했던 모습을 생각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유배지에서 11년.

 1611 6 4일.많은 무공(武功)과 무명(武名)을 남겨둔 채, 사나다 아와노카미 마사유키[真田 安房守 昌幸]는 저승으로 여행을 떠났다. 향년 65.

  1. 불공을 드리러 온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절의 숙박소. [본문으로]
  2. 여담으로 후에 이에야스가 토요토미 가문을 멸하기 위해 일으킨 오오사카 공방전에서 마사유키의 아들 유키무라가 오오사카에 입성했다는 소식을 보고받은 이에야스는 손을 걸치고 있던 창문이 소리가 날 정도로 떨며 '아비냐 아들이냐?'라고 두번이나 물을 정도로 당황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일본서적 번역 > 전국무장의말년(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에스기 켄신  (8) 2006.04.01
아사쿠라 요시카게  (2) 2006.04.01
무라카미 요시키요  (8) 2005.11.01
아나야마 바이세츠  (0) 2004.12.24
오부 토라마사  (1) 2004.12.23

나오에 가네쓰구[直江 兼続]

1619 12 19 병사(病死) 60


1560 ~ 1519.

에치고[越後] 요이타[与板] 성주 히구치 가문[樋口家] 출신. 우에스기 가문[上杉家]중신 나오에 씨[直江氏]를 이었다.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를 섬겨, 죠우다이카로우[城代家老][각주:1]로써 정무을 도맡아 보았다.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와 손을 잡고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 타도를 계획. 그 때에 이에야스에게 보낸 '나오에장[直江状]'은 유명.










굳은 결속으로 맺어진 주종(主從)


 카네츠구[兼続]의 성은 나오에 가문[直江家]에 사위로 들어간 다음부터 성(姓)을 '나오에'라 칭한 것으로, 생가(生家)는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가 태어난 가문인 우에다 나가오 가문[上田 長尾家]의 구신(舊臣)이다. 키소 요시나카[木曽 義仲][각주:2]의 사천왕 중의 한 명인 '히구치 지로우 카네미츠[樋口 次郞 兼光]'의 후예로 일컬어지는 나오미네[直峰] 성주 '히구치 이요노카미 카네토요[樋口 伊予守 兼豊]'의 첫째 아들로 이름은 요로쿠[与六]라 했다.
 1560
년생으로 어렸을 적부터 우에스기 켄신[上杉 謙信]의 양자가 된
카게카츠
를 근시(近侍)하였다. 우에스기 켄신이 후계자를 정하지 않은 채 급사했기 때문에 두 명의 양자인 카게카츠[景勝], 카게토라[景虎] 사이에서 후계다툼이 일어났고, 그때 19세의 요로쿠[与六] 5살 연상의 주군 카게카츠를 위해 분투하였다.


 카게카츠의 시대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1582 10월. 후다이[譜代[각주:3]]의 중신으로 요이타[与板] 성주인 '나오에 요헤에 노부츠나[直江 与兵衛 信綱]'가 카스가야마 성[春日山城]에 있을 때, '모우리 나사에몬 히데히로[毛利 名左衛門 秀広]'의 칼에 죽는 바람에 명문가의 단절을 아쉬워한 카게카츠의 명령에 따라 3살 연상인 노부츠나의 부인[각주:4]에게 장가를 가서 이때부터 '나오에 야마시로노카미 가네츠구[直江 山城守 兼続]'라는 이름을 칭하게 된다.


 이후 마지막까지 카게카츠에게 반항하던 아가키타[揚北]의 시바타 시게이에[新発田 重家] 4년의 시간을 들여 멸망시키거나 사도[佐渡]를 평정. 히데요시[秀吉]의 오다와라 정벌[小田原征伐][각주:5]에 참전하여 호우죠우[北条]의 하치오우지 성[八王子城]을 함락시키는 등 대활약을 펼친다.


 인재 욕심이 많은 히데요시는 그러한 카네츠구에게 반하여, 카게카츠를 에치고[越後]에서 아이즈[会津] 120만석으로 이봉(移封)할 때 그 중 데와[出羽] 요네자와[米沢] 30만석을 배신(陪臣[각주:6])인 카네츠구에게 하사하여 명목상 직신(直臣)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카네츠구는 어디까지나 카게카츠의 신하라는 자세를 견지하였다.


이에야스[家康]에게 도전장


 히데요시가 죽은 뒤 잠시 동안은 평화로웠지만 반년이 지나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가 병으로 죽자 오대로(五大老)의 필두 이에야스의 전횡이 눈에 띠게 늘어났다. 카게카츠 - 카네츠구 주종은 신영토 관리라는 이유로 영지 아이즈[会津]로 돌아 와서는 만일을 대비하여 임전태세를 갖추었다.


 '아이즈 츄우나곤[中納言 - 카게카츠의 관위]에게 모반의 징조'

 라는 고소를 받은 이에야스는 카게카츠에게 변명과 굴종을 위한 상경을 요구했지만 응하지 않았기에 사자(使者)를 보내어 힐문했는데, 카네츠구의 달변에 아무 것도 못하고 돌아 왔다. 이때 사자는 카네츠구의 오랜 친구인 승() 죠우타이[承兌] 카네츠구에게 보낸 서장(書狀)을 지참하고 갔었다. 그 내용은 사자의 힐문 내용을 각 조에 걸쳐서 글로 쓴 것으로 옛 친구를 걱정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은 이에야스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쓴 것이라 간파한 카네츠구는 죠우타이[承兌]에게 답서를 썼다. 이것이 후에 [나오에장(直江状)]라 불리는 도전장이다. 하나하나씩 구체적으로 대응한 후에,

참소(讒訴)를 믿고 있는 나이후님[內府様 이에야스의 관위] 옳은지, 상락[上洛 상경(上京)을 뜻함]을 거부하고 있는 카게카츠가 옳은지는 세상의 평판을 기다려 보자

 고 세간의 여론을 들어보자는 태도를 표명한 후에,

, 나이후 사마가 허튼 소리를 받아들여 계속 이렇게 나오면 어쩔 수 없다. 맹세도 서약도 거기서 끝이다.

 고 대놓고 큰소리를 쳤다. 그야말로 선전포고였다.


우에스기(上杉)()의 존속을 위하여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에서 대승(大勝)한 이에야스는 패권을 쥐자 전후 처리에 착수하였다.

 혼다 마사노부[本多 正信]에게 항복을 신청한 후 카게카츠와 함께 다음해 7월 상락한 카네츠구는 이에야스를 만나서,

 "나이후 사마에게 거역한 것은 이 야마시로[山城 = 카네츠구] 혼자서 한 일이오니 마음대로 처분해주시길 바랍니다."

 고 사죄도 하지 않고 당당했다.

 카게츠구의 소령(所領)인 요네자와[米沢] 30만석은 몰수되어 대신 대감봉(大滅封)된 주군 카게카츠가 이봉해 와서막번체제(幕藩體制)에서 요네자와 번조(藩祖)가 되었다.


 카네츠구는 카게카츠 6만석 지급하려는 것을 거절하고 5천석만 받아 세키가하라[関ヶ原] 때의 책임을 졌다. 그리고 자신의 자식으로 '헤이하치 카게아키[平八 景明]'가 있으면서도 동생인 '오오쿠니 타지마노카미 사네요리[大国 但馬守 実頼]'의 딸을 양녀로 삼아 1604 8월 전후처리의 교섭으로 친밀해진 이에야스의 총신(寵臣) 혼다 사도노카미 마사노부[本多 佐渡守 正信]에게 부탁하여 그의 둘째 아들 사헤이지[左平次][각주:7]를 데릴사위 겸 양자로 맞아들여[각주:8] 이름을 '나오에 야마토노카미 카츠요시[直江 大和守 勝吉]'로 칭하게 했다.
 우에스기 가문의 가명을 지키기 위해서였지만
 그 카츠요시[勝吉] 1611 5월 에도[江戶]에 돌아가서는 다음해 마에다 가문[前田家]를 섬겨버리고, 친자식 카게아키[景明] 1615 18살에 병으로 죽는다. 4년 후인 1619년 12 19 에도에 있던 카네츠구도 60세에 세상을 떠났다.


역자 가필: 카네츠구가 죽었을 때, 주군인 카게카츠

주군보다 먼저 죽는 놈이 있을까”하며 눈물을 흘렸다 한다.

  1. 참근교대로 성주가 에도에 갔을 때 영지에 남아 영지를 다스리던 가로. 한 마디로 No.1 가로. [본문으로]
  2. 카마쿠라 막부[鎌倉幕府]를 세운 미나모노토 요리토모[源 頼朝]와는 사촌지간이다(부친끼리 배다른 형제. 사족으로 요시나카의 부친은 요리토모의 큰형[悪源太]에게 살해당했다). 겐페이 쟁란기(源平爭亂) 때 토벌 명령이 내려진 헤이케[平家]를 누구보다도 빨리 쿄우[京]에서 몰아냈다. 키소[木曽]는 묘우지[苗字]이며 본성(本姓)은 미나모토[源]. 보통 '미나모토노 요시나카[源 義仲]'로 알려져 있다. 요리토모의 부하뻘이었지만, 자신의 공적을 내세우며 나대다가 그 꼴을 못 본 요리토모가 정벌군을 파견하자 정치적 우위를 세우기 위해 코시라카와 법황[後白河法皇]을 협박하여 쇼우군이 되었다. [본문으로]
  3. 대대로 신하인 집안 [본문으로]
  4. 오센노카타(お船の方). 그녀가 나오에 씨의 핏줄을 잇고 있었다. [본문으로]
  5. 1590년 역시 전쟁금지령을 어긴 호우죠우 가문[北条家]을 정벌한 전쟁. 오다와라[小田原]는 호우죠우 가문의 성(城). [본문으로]
  6. 원래는 중국에서 제후의 신하가 천자에게 자신을 부를 때를 지칭한 일인칭 대명사라고 한다. 그 뜻이 이어져 일본에서는 신하의 신하를 지칭할 때 쓴다. [본문으로]
  7. 혼다 마사시게[本多 政重] [본문으로]
  8. 이것은 두번에 걸친 결혼으로, 첫번째는 카네츠구의 친딸인 오마츠[於松]와 결혼시켰고, 그녀가 죽자 동생의 딸인 아토라[阿虎]를 양녀로 들여 그의 후실로 보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