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가와 우지자네(今川 氏真)
1538~1614.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 義元)의 아들. 요시모토가 오케하자마(桶狭間)에서 죽자 가독을 상속. 스루가(駿河), 미카와(三河), 토오토우미(遠江)를 영유했지만 타케다(武田)씨(氏)에게 스루가를, 토쿠가와(德川)씨에게는 미카와와 토오토우미를 빼앗겼다. 처가인 호우죠우(北条)씨(氏)를 의지하였으나 후에 호우죠우 우지마사(北条 氏政)에게도 쫓겨나 토오토우미의 하마마츠(浜松)로 거처를 옮겼다. 후에 쿄우토(京都)에서 출가하여 소우긴(宗誾)이란 호를 칭했다. <그림은 태합입지전 V>
유랑의 귀공자
1560년 5월.
부친 요시모토가 오케하자마(桶狭間)에서 죽었을 당시 우지자네는 22세였다.
다음 달인 6월에 죽은 부친의 장례를 성대히 치르기는 했지만 영내의 동요를 억제하는 것에만 신경을 쓰느라 부친의 원수인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에게 싸움을 걸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다. 그런 소극적인 자세가 일문(一門 1), 후다이(譜代 2)들의 이탈을 초래했다.
토쿠가와 이에야스와 손 잡은 타케다 신겐(武田 信玄)이 스루가에 침공해 온 것은 1568년으로, 많은 가신들에게 버림받은 우지자네는 순푸(駿府)의 이마가와 관(館)을 지키지 못하고, 아사히나 야스토모(朝比奈 泰朝)의 카케카와(掛川)성으로 피신하였다. 한 해가 다해가는 굉장히 추운 겨울에 우지자네의 부인은 가마 같은 탈 것도 없이 걸어서 도망쳤다. 우지자네 부인의 부친 즉 장인 호우죠우 우지야스(北条 氏康)는 “이 치욕을 갚지 않고선 견딜 수 없다”며 편지를 보내왔다.
다음해 정월.
이번엔 서쪽에서 토오토우미에 침공해 온 이에야스가 카케카와성을 포위하였다. 몇 번의 총공격에도 불구하고 농성군측은 잘 버텼지만 5월이 되자 결국 성을 이에야스에게 넘기고 우지자네는 호우죠우 가문이 파견한 병사들에게 호위받으며 처가댁인 오다와라(小田原)로 갔다.
우지자네는 [駿河国守]의 역직 3을 호우죠우 우지마사의 아들에게 물려주니, 이것으로 노리쿠니(範国) 이래 250년 가까이 이어져 내려온 스루가 슈고쇼쿠(駿河 守護職)에, 아시카가 가문과 친족관계인 명문 이마가와 씨(氏)는 실직적으로 멸망한다. 그 후 우지자네는 이즈(伊豆) 토쿠라(戸倉)성이나 오다와라 근처의 하야카와(早川)로 거처가 옮겨졌다고 한다.
오다와라 호우죠우씨에게 보호 받던 우지자네의 평온도 그리 오래 이어지진 않았다.
다다음 해인 1571년. 우지야스가 죽자 우지마사(氏政 - 우지자네 처의 오빠 즉 매형)는 그 때까지의 정책을 바꾸어 타케다 신겐과 손잡는다. 우지자네는 사가미(相模 4)에서 쫓겨나, 하마마츠(浜松)의 이에야스에게 의지하기 위하여 떠난다. 이 때 마지막 가신인 미우라 모토마사(三浦 元政)등에게 여태까지 잘 보필해 주었다는 뜻을 쓴 문서를 써주어서는 떠나 보냈다. 5
1575년에는 쿄우토(京都)에 올라가 오다 노부나가를 알현하고 케마리(蹴鞠 6)를 보여주었던 것은 유명하다. 이 당시 우지자네는 스루가 국주(駿河 国主)의 자리를 되찾는 것은 불가능하여도 영지를 얻는 것에 한 가닥 희망을 품고 쿄우토와 하마마츠(浜松)사이를 왕래했을 것이다. 이에야스의 휘하로 타케다 공격에 참가하였고 후방 지원이나 미카와 스와바라(諏訪原)성 수비에 종사하였지만, 타케다씨(氏) 멸망 후 스루가는 이에야스에게 주어진다.
말년의 안식
혼노우(本能)사(寺)의 변이 일어난 후, 히데요시의 시대가 되자 격세지감을 느꼈는지 출가하여 소우긴(宗誾)이란 호를 칭했다. 무가동량(武家棟梁)이라는 명문가의 이름에서 해방되어 50세가 넘어서 이제서야 자신의 체질에 맞은 삶을 손에 넣은 것이다. 1590년 이에야스의 칸토우(関東) 이봉(移封)에 따르지 않고 마지막 거처를 쿄우토로 정했다. 이에야스에게서 오우미(近江)에 500석의 영지를 받았다고도 한다.
우지자네는 쿄우토 시죠우(四条)에 거처를 정하였고, 이마가와씨(氏)가 잘 나갈 때 순푸에 내려와 있던 레이제이 타케카즈(冷泉 為和)의 손자 타케미츠(為満)나, 야마시나 토키츠기(山科 言継)의 아들 토키츠네(言経)등과 교류를 즐기며 귀족(公家)들이 개최하는 가회(歌會)에 빈번히 참석했다.
야마시나 토키츠네에게서 [슈우가이쇼우(拾芥抄)]를 빌려 고전 문학을 배워서는 고전 주석서를 옮겨 적는 것에 몰두하였다. 희귀한 책이나 차 도구 등의 매각을 알선하거나 특기인 환약이나 붙이는 약 등을 만드는 데 힘썼다. 몰락한 쿠게의 전형적인 생활이었다.
1612년 74세의 우지자네에게 마지막으로 전환의 시기가 찾아온다.
익숙한 쿄우토의 생활을 정리하고 에도(江戶)로 향했다. 우지자네의 첫째 아들인 노리모치(範以)는 이미 죽었지만, 손자인 나오후사(直房)가 전년인 1611년에 2대 쇼우군(将軍)인 히데타다(秀忠)를 섬겼기 때문에 그를 돌보기 위하여 에도로 갔을 것이다. 또는 차남 타카히사(高久)도 이미 1598년에 히데타다를 섬겨 코우즈케(上野)에 천 석을 받으며 시나가와(品川)씨(氏)를 칭하며 에도에 거주하고 있었기에 늙은 양친을 에도로 맞이했다고도 할 수 있다. 우지자네는 에도로 가는 도중 순푸에서 고희를 맞이한 이에야스를 방문하여 과거의 이야기를 나누었다.
다음 해, 오랫동안 역경을 함께 보내 왔던 부인을 잃는다. 이 때문에 기운이 쇠했는지 뒤를 쫓는 듯 다음 해인 1614년 에도에서 파란만장했던 인생의 막을 내렸다.
손자인 나오후사는 그 후 코우케(高家 7)의 반열에 오르고, 영지도 더해졌으며 조정 관위도 종사위하(從四位下)로 올라갔다. 우지자네 부인의 5주기에 해당하는 1618년에 우지자네 부부가 대좌하는 하나의 그림이 그려졌다. 짜리 몽탕한 체형, 커다란 코는 요시모토와 닮았다. 한 켠에는 책상이 그려져 겐지(源氏) 동량(棟梁)의 명문가이면서도 풍류의 세계에 살았다는 글이 덧붙여져 있다.
역사가 어떤 평가를 내리건 말년의 우지자네는 자신이 살고 싶은 생을 살았으며 일족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보냈을 것이다.
'일본서적 번역 > 전국무장의말년(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 시대의 흐름을 깨닫고 역사의 무대에서 물러난 용장 (1) | 2006.09.28 |
---|---|
혼다 타다카츠 - 늙어서도 기골을 엿볼 수 있었던 용장의 마음가짐 (2) | 2006.09.28 |
쿠키 요시타카 - 해적대장군(海賊大将軍), 야망으로 인해 사라지다. (3) | 2006.08.20 |
키타바타케 토모노리 (2) | 2006.08.18 |
타키가와 카즈마스 (0) | 200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