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다 요시타카[黒田 孝高]
1604년 3월 20일 병사(病死) 59세.
1546년 ~ 1604년.
호(號)인 죠수이[如水]가 더 알려져 있다. 통칭 칸베에[官兵衛]. 하시바 히데요시[羽柴 秀吉]를 섬기며 타케나카 한베에[竹中 半兵衛]와 더불어, [하시바의 두 명의 베에(羽柴の両兵衛)]라 일컬어 졌다. 히데요시의 큐우슈우[九州] 제압 후 부젠[豊前] 나카츠[中津] 성주(城主)가 되었고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는 동군에 속하여 큐우슈우[九州]의 서군 측과 싸웠다.
천하인(天下人)에의 야망과 좌절
1604년 3월 20일.
야마시로[山城] 후시미[伏見]의 저택에서 쿠로다 요시타카는 59세의 생애를 마쳤다.
세키가하라[関ヶ原]로부터 4년 늦은 봄의 이별이었다.
요시타카가 세상을 떠날 때, 아들인 나가마사[長政]에게 유언으로 남긴 내용이 [무공담 모음집(武辺咄聞書)]에 전해지고 있다.
“나는 도박을 잘하지만 너는 못한다. 그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세키가하라[関ヶ原] 때 이에야스 공[家康公]과 지부[冶部 – 이시다 미츠나리[石田三成]]가 100일 정도 서로 싸우게 냅두면, 그 동안 난 츠쿠시[筑紫 1]를 제압한 후 쿄우토[京都]로 올라가 천하를 잡을 수 있었을 터였다”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가 하루 만에 끝나질 않고 이에야스와 미츠나리가 100일 간 싸웠다면 자신은 얼른 큐우슈우[九州]를 평정하여 승기(乘機)를 타 츄우고쿠[中国]의 모우리[毛利], 우키타[宇喜田]의 서군 세력을 물리치고 쿄우[京]에 올라가 어느 쪽이건 승자와 대결하여 천하를 잡을 수 있었다고 - 죽기 직전에 나가마사에게 이야기했다고 한다.
10월 15일.
세키가하라[関ヶ原]에서 천하를 손에 넣은 이에야스는 오오사카 성[大坂城]에서 논공행상을 행하며 공이 있는 다이묘우[大名]들에게 영지(領地)를 배분했다.
카토우 기요마사[加藤 清正]에게는 히고[肥後] 54만석, 나가마사에게는 치쿠젠[筑前] 50만 2416석이라는 큰 영토가 주어졌지만 요시타카에게는 아무런 보상도 없었다. 이에야스는 요시타카의가 천하를 손에 넣으려 했던 숨겨진 야망을 꿰뚫어 보았던 것은 아닐까?
치쿠젠[筑前]의 거대 다이묘우[大大名]가 된 나가마사는 부젠[豊前] 나카츠 -그때까지의 영지 18만 2천석 - 에서 치쿠젠[筑前] 나지마[名島]로 입성하였다.
나지마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인 요해(要害)였지만 원래는 타치바나 무네시게[立花 宗茂]의 영지에 있던 조그만 요새에 불과하였고 더구나 마을을 만들 땅이 좁아 성 밑 마을(城下町)을 발달시킬 수 없었다. 그래서 다음 해에는 나카 군[那珂郡] 후쿠사키[福崎]에 새로이 성을 만들어 쿠로다 씨[黒田氏] 발상(發祥)의 땅인 비젠[備前] 오쿠 군[邑久郡] 후쿠오카[福岡]의 이름을 따와, [후쿠오카]라고 이름을 붙였다.
나지마 성[名島城]을 없애고 후쿠오카에 새로 성을 축성하기로 결정이 나자 요시타카는 은거하여 모든 것은 나가마사에게 맡기고, 나지마 성에서 나와 다자이후[太宰府 2]에 임시 거처를 만들어 거기로 옮겨 살았다.
다자이후 텐마 궁[天満宮] 경내(境內)에 세워진 초가집에서 매일매일 풍류를 즐기며, 다도(茶道)나 와카[和歌], 렌가[連歌] 등의 소양을 쌓았다.
문인으로써의 풍류의 나날
예전에 “멀리 떨어진 조정[遠の朝廷=발음은 ‘とおのみかど’]”라고 불렸던 다자이후.
그곳의 초가집에서 풍류의 나날들을 보내고 있던 요시타카는 렌가 사[連歌師]인 키야마 죠우인[木山 紹印]에게 땅을 하사하여 살게 해서는 예전에 융성했던 다자이후 렌가의 부흥을 꾀했다.
또한 다자이후 덴마궁(宮)에 2천석을 기부하여 아치형 다리(太鼓橋), 석등(石燈)을 만들어 받치고, 큰 칼[太刀] 외에 [텐진엔기 에마키[天神縁起 絵巻 3]] 세 권과 렌가를 봉납함과 동시에 궁 사무 책임자인(宮司務別当) 오오토리이 신간[大鳥居 信岩]과 친교를 맺었다.
1601년 1월 17일.
오오사카[大坂] 텐마 궁[天満宮]에서 개최된 렌가회(会)에 오오토리이 신간과 함께 참여했다.
이 모임에서는 중앙 렌가계(界)의 중심적 존재인 사토무라[里村] 일문(一門)의 총사(総帥) 쇼우하[紹巴 4]나 쇼우시츠[昌叱] 5, 마에다 겡이[前田 玄以] 등이 자리를 함께했다.
다음 해인 1602년 1월 16일.
다자이후 덴마궁(宮)에서 아들 나가마사, 신간[信岩], 렌가 사[連歌師]인 키야마 죠우인[木山 紹印] 등과 렌가회(会)를 열어, 예부터 큐우슈우[九州] 문화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다자이후 문예의 부흥을 꾀한 것은 특필할만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인(茶人)으로써도 뛰어났다.
센노 리큐우[千 利休]와 친교를 맺고 그의 다도관을 몸에 익혔으며, 다이토쿠 사[大徳寺]의 슌노쿠 화상[春屋和尙]을 참선(參禪)의 스승으로 삼아 다도에도 선(禪)의 정신을 가미하여 깊이를 더해 갔다.
1601년 5월.
이에야스가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개최한 잔치에 참가했던 요시타카는 그곳에서 가장 큰 차 가루를 넣어 두는 단지인 [南条の葉茶壺]를 그냥 들고 나와 그 호방함에는 이에야스도 놀랐다고 한다 6.
2년간의 다자이후 생활 후 일부 완성된 후쿠오카 성 세번 째 성곽[三の丸]의 은거 저택으로 옮긴 요시타카는 부인인 코우엔[幸圓]과 소박한 생활을 보냈다. 평생 부인 한 사람만 사랑한 그는 경건한 크리스천 다이묘우[大名]이기도 했다. ‘돈 시메온’이라는 세례명을 가지고, [SIMEONJOSUI]라 쓰여진 로마자 도장을 사용했다.
유해(遺骸)는 쿄우토[京都] 다이토쿠 사[大徳寺]에 매장되었고, 하카타[博多]의 소우후쿠 사[崇福寺]에도 분골(分骨)되었다 7.
- 큐우슈우(九州)의 옛 이름. [본문으로]
- 과거 일본 조정이 힘이 있을 때의 큐우슈우[九州]와 부속 도서(島嶼)를 관장하던 관직인 다자이[太宰]의 정무소가 있던 곳. [본문으로]
- 일본에서 학문의 신으로 받들고 있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菅原 道真]'의 일생과 그가 죽은 뒤에 텐진[天神]으로 신앙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그림과 설명이 쓰여진 두루마기. [본문으로]
- 당시 렌가계(界)의 일인자. 여담으로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가 혼노우 사[本能寺]의 반역을 일으키기 직전에 아타고[愛宕]에서 연 렌가회의 사회자로 참가했었다. [본문으로]
- 죠우하의 아들. [본문으로]
-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대놓고 훔쳤다는 뜻. [본문으로]
- 유해를 두 개소 이상으로 나뉘어 매장하는 것. [본문으로]
'일본서적 번역 > 전국무장의말년(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오토모 소우린 - 영락(零落)한 과거의 거대 다이묘우[大大名]가 신에게 바친 여생. (6) | 2007.10.12 |
---|---|
쿠로다 나가마사 - 번(藩)과 자식의 장래를 걱정하며 병사 (8) | 2007.10.10 |
카토우 요시아키 - 토쿠가와 시대가 되어도 살아남은 마지막 칠본창 다이묘우[大名] (6) | 2007.09.29 |
야마우치 카즈토요 - 토쿠가와 가문[徳川家]와의 인척관계가 성립된 후 급사 (7) | 2007.09.27 |
쵸우소카베 모토치카 - 후계자 문제라는 응어리를 남긴 노웅(老雄)의 말년. (10) | 2007.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