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가와 요시모토라는 이름은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에게 기습을 받아
오케하자마에서 죽은 것으로써 유명하다.
 토쿠토미 소호우[富 蘇峰]는 이 일전을 '귀족적 문약(文弱)과 평민적 무강(武强)의 충돌'이라 하였다. 요컨대 구() 명문가와 신흥 세력의 승부라고 한 것이다.


 요시모토의 풍채에 대해서 기록이 있다.

 다리가 짧고 허리가 길었다고 한다. 머리를 밀지 않고 머리를 뒤로 넘겼으며(総髪), 이빨은 검게 물들인(漿) 상급귀족[公卿]처럼 화장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마가와 씨[今川氏]는 아시카가 쇼우군 가문[足利軍家]과 혈연인 명문가이다.
 아시카가 요시카네[足利 義兼]를 선조로 하여, 증손자인 쿠니우지[
氏]가 이마가와 씨를 칭하게 되었다. 쿠니우지의 손자 노리쿠니[] 때부터 스루가[駿河]를 영유(領有). 유명한 사서 '난태평기(難太平記)[각주:1]'의 저자 이마가와 료우슌[今川 了俊][각주:2]은 이 노리쿠니의 아들이다.[각주:3]


 이마가와 씨는 대대로 토오토우미[遠江], 스루가[駿河]의 슈고[守護][각주:4]로써 토우카이[東海] 지방에서 위세를 떨쳤다. 쿄우토[京都]와의 관계도 깊어서 귀족[公家]과 인척관계를 맺었다. 요시모토의 모친도 다이나곤[大納言] 나카노미카도 노부타네[中御門 宣胤]의 딸이다.

 요시모토는 부친 우지치카[氏親]의 다섯째 아들로, 우지치카의 첫째 아들은 우지테루[氏輝]였다. 또한 우지치카의 누나는 나이다이진[大臣] 산죠우 사네모치[ 望]의 부인이다.
 쿄우토[京都] 문화에 심취한 요시모토는 순푸[駿府]의 구석구석까지 쿄우토로 만들었다. 지명도 쿄우토에 있는 키요미즈[
水], 아타고[愛宕], 키타야마[北山], 니시야마[西山]라 명명하였고, 케마리[蹴鞠]와카[和歌] 모임도 활발히 열었다.


 쿄우토 문화에 심취한 무장답게 요시모토에게는 이러한 에피소드가 전해져 내려온다.
 어느 전투에서였다. 부하에게 적 선봉의 상태를 알아보고 오라며 정찰시켰는데, 이 부하가 싸움에 말려들어서는 정작 중요한 정찰을 하지는 못하는 대신 적의 목을 가지고 왔다.
 요시모토는 화를 내며 명령 위반에 따라 엄벌을 내리려 하였다. 센고쿠 무장으로써는 당연한 처치였다. 하지만 이 부하가 꾀를 써서, 옛 시를 이용한 것이었다. 후지와라노 이에타카[藤原 家隆]

솔새에 빠져들 생각은 없었지만,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슬에 꺾인 줄기
苅萱に身にしむ色はなけれども、見て捨て難き露の下折
라는 시를 읊었다.
 요시모토는 이를 듣자마자 태도가 변하였다.
 괘씸한 녀석이지만 순간적으로 옛 시를 생각해내다니 기특하구나
 라고 말하며 군령 위반의 죄를 용서했다고 한다. 만약 노부나가였다면 아니 노부나가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결코 용서하지 않았을 것이다. 군령 위반이라는 것은 그럴 정도로 무거운 죄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는 요시모토가 무장으로써 실각이라 말을 들어도 어쩔 수 없을 것이다.


 후세에 요시모토에게 나쁜 평판만이 남게 된 것은 무엇보다 오케하자마의 패배자라는 것에 있다. 후세의 기록이라는 것은 모두 승리자에게 유리하게 쓰여지는 법이다. 승리를 한 노부나가는 후에 천하의 패자(覇者)가 되었기에, 그와 대비되면 당연히 요시모토가 불리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거기에 더해 에도 시대가 되면서 신격화된 토쿠가와 이에야스[ 家康]가 소년기에 이 요시모토 밑에서 인질이 되어 고난의 세월을 보냈다고 하여 악의를 가지고 요시모토의 모습을 일그러뜨리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 것이다.


 어쨌든 요시모토가 이마가와 가문의 당주가 될 때 가문 내란이 일어났다.
 1536
. 형인 우지테루가 죽었을 때 요시모토는 걸승(傑僧) 타이겐 셋사이[太源 雪斎]의 제자로 후지 군[富士郡] 젠토쿠 사[寺]의 중이었다. 그리고 가독(家督)을 둘러싸고 역시 출가해 있던 배 다른 형인 에탄[探]과 다투어 승리하여 패한 에탄을 자살하게 만들었다.[각주:5]
 이때 요시모토는 환속하여 이마가와 가문을 잇고 은사(恩師) 타이겐 셋사이를 군사로 맞이하였다. 요시모토의 시대가 되자 종래의 스루가[駿河], 토오토우미[遠江]에 더하여
미카와[三河]도 세력하에 두었다. 요시모토는 결코 쿄우토 문화에 정신 팔린 용렬한 무장이라는 일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오케하자마의 전투는 1560 5 19일에 일어났다.
 이 때 요시모토는
스루가, 토오토우미, 미카와의 대군을 이끌고 서상(西上)을 개시하였다. 도중에 있는 오와리[尾張]의 그것도 반밖에 영유(領有)하지 못하고 있는 오다 가문[織田家]은 단번에 물리치고 쿄우토[京都]에 깃발을 세우고자 하였던 것이다.[각주:6]
 오와리에 침입한 이마가와의 군세는 이미 오다 측의 성 두 개를 점령하고 있어 기세가 올라 있었다. 19. 요시모토의 본진은
덴가쿠하자마[楽狭]에 도착하였다.
 이날의 요시모토의 모습은 끝부분에 금칠을 한
안장을 얹힌 말을 타고서, 황금으로 용이 세워진 투구에 몸통이 흰색으로 된 갑옷을 입고, 이마가와 가문에 대대로 내려오는 28( 84cm)의 오오타치[大太刀]를 차고 있었다. 여기까지는 위엄서린 무장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서전(緖戰)의 승리에 취하여 노부나가를 얕보고 있었다.

 한편 이날 새벽 키요스[清洲]를 출발한 노부나가 군세는 질풍과 같은 기세로 달려와 덴가쿠하자마의 이마가와 본진까지 다가왔다. 때마침 폭풍우가 불어와 이마가와 본진은 혼란에 빠졌다(이에 대해선 아케치 님의 블로그: [ 說 ] 오케하자마(桶狹間) 진상정면공격설을 참조해 주시길).


 요시모토는 죽는 순간까지 잘 싸웠다.
 돌격해 온 오다 측의 핫토리 코헤이타[服部 小平太]의 창대를 자르고 무릎을 베어 물리쳤다. 거기에 모우리 신스케[毛利 新助]가 달려들어 마운트 포지션을 허용했지만, 요시모토는 목이 베이는 순간까지 굴하지 않고 신스케의 집게손가락을 물어 뜯으며 싸웠던 것이다.


 참고로 오다 측에 있던 요시모토의 목은 나루미 성[鳴海城]에 있던 오카베 모토노부[岡部 元信]가 건네 받아, 순푸[駿府]로 가지고 돌아왔다고 한다.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 義元)]

1519년 태어났다. 우지치카의 다섯째로 처음엔 불문에 들어가 쇼우호우[承芳]라고 불렸지만, 환속하여 형 우지테루의 뒤를 잇고 요시모토라는 이름으로 고쳤다. 스루가[駿河], 토오토우미[遠江] 2개 지역을 영유(領有)하여 토우카이[東海] 지방 No.1 다이묘우[大名]가 된다. 미카와[三河]를 손에 넣은 후, 천하통일의 야망을 품고 상경을 꾀하였지만 오케하자마의 전투에서 오다 노부나가에게 기습당하여 전사하였다. 42.


Ps; 역자인 저는 상경설을 부정합니다(물론 요즘 분위기도 비상경설이 대세지만요). 이 이야기는 길어지니 차후에……

  1. 이마가와 씨의 역사, 가계, 공적 등이 쓰여 있다. [본문으로]
  2. 1326~1420(?). 일본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무로마치[室町] 중기의 무장. 료우슌[了俊]은 불문에 들어서 부터이며, 이전엔 이마가와 사다요[今川 貞世]라는 이름을 썼다. 1371년 큐우슈우[九州] 지역을 관리하는 막부 직책인 '큐우슈우 탄다이[九州探題]'가 되어 큐우슈우의 남조 측을 구축하나, 남북조(南北朝)가 합체하자 1395년 큐우슈우탄다이에서 경질된다. 1399년 오오우치 요시히로[大内 義広]와 손잡고 반항하지만 실패. 뛰어난 문학적 소양을 지녔으며, 고려의 정몽주와 회담하여 왜구 억제를 꾀하는 등 우리나라 역사와도 관련이 있는 인물. [본문으로]
  3. 여담으로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 義元]는 이마가와 료우슌[今川 了俊]의 후손은 아니다. 료우슌이 큐우슈우탄다이[九州探題]에서 물러난 뒤 스루가 절반의 슈고가 되었고, 나머지 절반은 이마가와 종가(宗家)의 당주이며 료우슌의 조카인 이마가와 야스노리[今川 泰範]가 슈고였다. 요시모토는 야스노리의 후손. [본문으로]
  4.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지방관. [본문으로]
  5. 이를 하나쿠라의 난[花倉の乱]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6. 근래엔 상락설(上洛說)보다는 오와리[尾張] 점령을 위한 설이 강한 듯. [본문으로]

 에도() 시대에 스즈키 시게히데(鈴木 重秀)라는 사람이 호우죠우 가문의 역대 당주들을 평가하면서 우지야스에 대해서, '문무겸비의 무장으로 생애에 걸쳐 몇 번이나 전투에 나섰지만 패한 적이 없다. 거기에 인덕도 있었다. 이 시대에 관팔주(八州 = 칸토우())의 병란을 평정하여 크게 가명을 높였다. 고금의 명장이다'고 절찬하였다.

 우지야스는 칸토우의 태반을 자신의 산하에 두어, 조부인 소우운(早雲)의 꿈을 실현시킨 것이었다.


 우지야스가 다스리던 오다와라(小田原)의 모습을 알려주는 귀중한 기록이 남아 있다.

 1551 4. 하코네(箱根) 유모토(湯本)소우운(早雲)사(寺)에 참배하고 오다와라에 들린 쿄우토(京都) 난젠()사(寺)261대 토우레이치오우(東嶺智旺)가 직접 보고 쓴 것이다.

 [유모토의 소우운 사()에서 1(4km). 수도인 오다와라에 도착했다. 거리는 작은 길만 수만 개. 땅에는 먼지 하나도 없다. 동남쪽은 바다이다. 바닷물이 오다와라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군주인 우지야스의 성()은 거목 울창한 곳에 있으며 크고 아름답다. 삼면에 큰 연못이 있다. 연못의 물은 가득 차 있어 깊고 낮음을 잴 수 없다. 백조나 물새들이 날개를 쉬고 있다. 군주인 우지야스는 겉으로는 문(), 속으로는 무()의 인물로 형벌(刑罰=정치)이 깨끗하여 원근(遠近)이 모두 복종하고 있다. 그야말로 이 시대 천하 무쌍의 패왕이다.]

 이렇게 전성기의 호우죠우 씨()의 오다와라를 굉장히 리얼하게 그리고 있다.


 불패의 용장이라 일컬어지며 16살의 첫 출진(初陣)을 경험한 이후 병으로 죽을 때까지 36번의 전투에 출격하여 한번도 적에게 아게마키([각주:1])를 보인 적이 없었다고 한다. 전군의 선두에 서서 적과 부딪쳐 몸에는 도창(刀槍)의 상처가 7군데 있었고, 얼굴에도 2군데의 상처가 있었다. 그래서 몸 정면에 있는 상처를 [우지야스상처(氏康傷)]라고 부르며 존중 받았다고 한다.


 소년시대의 그의 사람됨을 알려주는 이야기가 있다.

 12살 때였다. 철포는 아직 드물었던 시기로 어느 날 우지야스는 철포의 사격 연습을 구경하게 되었다. 갑작스런 굉음에 놀란 우지야스는 일순 창백한 얼굴로 몸을 떨었다. 옆에 있던 무사가 그것을 보고 웃었다. 우지야스는 참을 수가 없었다. 창피함에 얼굴이 확 빨개져서는 곧바로 작은 칼을 꺼내어 자해(自害)하려고 하였다. 근시(近侍)의 무사가 당황하여 이것을 막았다. 우지야스의 얼굴이 눈물로 범벅이 되었다. 하지만 그런 우지야스를 부속 가로(家老)인 시미즈()라는 자가 옛날부터 용기 있는 무사일수록 잘 놀란다고 합니다. 뛰어난 말도 성격이 예민하여 잘 놀라는 것입니다라고 말하자 그제서야 참았다고 한다.[각주:2]


 우지야스의 무명(武名)을 천하에 널리 알리게 한 것은 일본 3대 기습전[각주:3] 중에 하나로 꼽히는 카와고에(河越) 전투이다.

 1545 8.

 호우죠우 가문의 영국(領国)과 국경을 접하는 야마노우치 우에스기 노리마사( 上杉 憲政)는 오우기가야츠 우에스기 토모사다(扇谷 上杉 朝定)스루가(駿河)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 義元)와 손을 잡고 우지야스를 일거에 괴멸시키고자 하였다.

 요시모토는 우지야스 측의 스루가(駿河) 나가쿠보(長久保)성(城)을 포위하였고, 타케다 신겐(武田 信玄)도 역시 공격해 왔다. 한편 노리마사는 토모사다와 함께 호우죠우 츠나시게( 綱成)가 지키는 카와고에(河越)() 탈환을 꾀했다. 카와고에 성() 1537년에 츠나시게에게 빼앗긴 토모사다의 거성(居城)이었다. 츠나시게는 원래 쿠시마(福島)라는 성()이었지만 호우죠우 씨()의 보호를 받으며 우지야스의 동생 격의 신분이 되어 있던 인물이었다[각주:4].

 더욱이 이 카와고에 공성(攻城)에는 우지야스의 매제(妹弟)인 코가 쿠보우(古河 公方) 아시카가 하루우지(足利 晴氏)도 가담하고 있었다. 노리마사의 꼬임에 넘어가 버린 것이었다. 이리하여 카와고에 성()은 노리마사, 토모사다, 하루우지 8만의 연합군에 의해 포위되어 버렸다. 그리고 반년에 걸친 공격을 받아 언제 낙성이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에 놓였다.


 1546 4.

 우지야스는 카와고에 성()을 구원하기 위하여 8천의 병사를 이끌고 달려왔다. 병력의 차이는 10 1이었다. 보통의 방법으로는 우지야스에게 승산이 없었다.

 우지야스는 거기서 사자(使者)를 아시카가 하루우지에게 보내어 카와고에에서 농성(籠城)하고 있는 병사들의 목숨만이라도 살려주십시오. 그래 주신다면 카와고에의 성과 영지(領地)를 쿠보우(公方)님에게 바치겠습니다하고 몇 번에 걸쳐 애원한 것이다. 하루우지는 듣기는커녕 비웃으면서 네놈들이 바치지 않아도 당장 내일 즈음은 성이 떨어질 것이다. 성 안의 병사들은 전부 죽이고 또한 우지야스도 잡아 죽일 테다고 잘난 척 했다.

 우지야스는 또한 우에스기의 부장(副將) 오다(小田)()의 부하인 스게노야(菅谷)라는 자에게도 사자를 보내어 어떻게든 성의 츠나시게를 도와줄 방법은 없겠습니까? 도와만 준다면 카와고에 성()은 당신에게 받치겠습니다. 만약 전투라도 일어난다면 우리 쪽은 병사 수가 적으니 당해낼 재간이 없습니다고 전했다. 우에스기 측은 우지야스의 이러한 애원에 [호우죠우 측은 겁쟁이 병이 돌고 있다]고 보았다. 그 소문은 우에스기 연합군 전체로 퍼져, 이제는 다 이기기라도 한 듯한 분위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이 우지야스의 노림수였다. 우지야스는 시노비([각주:5])를 써서 적측의 정세를 낱낱이 파악하고 있었다.


 4 20일 밤.

 우지야스는 경장(輕裝)의 정예병으로 구성된 돌격대를 편성해서는 적진 깊이 잠입시켜 놓고서는 불을 밝혀 성안에 있던 병사들과 호응하여 기습을 하였다. 어두운 밤 중의 습격에 우에스기 연합군은 단지 당황하여 허둥댈 뿐으로, 결국 도망을 치다 오우기가야츠 토모사다는 전사하였고 노리마사, 하루우지는 간신히 도망쳤다(카와고에 전투:위키 한글판).


 1554.

 그때까지 적이었던 타케다 신겐,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삼국동맹(同盟)을 맺었다. 우지야스의 장남 우지마사(氏政)와 신겐의 딸을 결혼시키고, 우지야스의 딸을 요시모토의 아들 우지자네()에게 시집 보내어 상호간에 인척 관계를 맺은 것이었다. 스루가(駿河)젠토쿠()사(寺)에서 모여 맺었기에 세상에서는 이를 [젠토쿠 사의 회맹]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동맹도 요시모토가 죽은 다음에는 깨어진다.


 우지야스는 민정가(民政家)로서도 뛰어나 다른 다이묘우(大名)들보다 먼저 본격적인 검지( 전답의 석고를 정하는 것)와 세제(稅制) 개혁을 행하였고, 전마(傳馬 수송용의 말)제도를 정비하였다. 또한 통화를 명나라의 영락전(楽銭)으로 통일하여 상공업자를 보호하는 등 경제 정책에도 능하였다. 또한 아시카가 학교(足利[각주:6])를 원조하거나, 와카(和歌)를 산죠우니시 사네타카(西 )에게 배우는 등 문화인(文化人)적인 측면도 겸비하고 있었다.


[호조 우지야스( 氏康)]

1515년 우지츠나(氏綱)의 아들로 태어나다. 소우운(早雲)에서부터 3대째이다. 1541년 부친 우지츠나가 죽은 뒤 27살의 나이로 가독을 이었다. 카와고에의 야전(夜戰)에서 승리하여 무사시()의 태반을 영유(領有)하였고, 1551년에는 우에스기 노리마사의 히라이(平井)성(城)을 공략하여, 칸토우()를 자신의 세력권 하에 두었다. 우에스기 켄신(上杉 謙信), 타케다 신겐과도 싸웠다. 1571년 죽었다.

  1. 갑옷의 등 뒤에 묶은 끈을 지칭. 링크타고 가시면 이미지를 볼 수 있습죠. [본문으로]
  2. 우지야스 12살이면 1527~8년경. 많이 알려진 타네가시마(種子島) 섬에 철포가 전래된 것은 1543년 이지만, 위의 우지야스 일화가 실린 [호우죠우 오대기(北条五代記)]에 따르면 1510년에 외국에서 일본 사카이(堺)로 전래되었고 1528년 즈음에 오다와라에 있던 늙은 중(山伏)이 사카이에 갔다가 신기하여 한 정 사서는 우지츠나(氏綱 – 우지야스의 부친)에게 받쳤다고 한다. [본문으로]
  3. 나머지는 이츠쿠시마(厳島) 전투, 오케하자마(桶狭間) 전투 [본문으로]
  4. 둘 다 1515년 태생으로 동갑이긴 하다 [본문으로]
  5. 닌쟈(忍者)를 말한다. [본문으로]
  6. 당시 칸토우 지방 최고의 학교 겸 서고. 후에 히데츠구의 강압으로 많은 책을 빼앗겼다고 한다. [본문으로]

 오오우치 씨(氏)는 센고쿠(戦国) 시대 초기에 서부 츄우고쿠(中国)에서 북부 큐우슈우(九州)까지 지배했던 일본 최대의 다이묘우(大名)였다.
 역대의 당주가 모두 문화인이었다. 그러한 지배자의 영향으로 오오우치 씨의 야가타(屋形=정청(政廳) 겸 저택)가 있던
야마구치(山口)는 귀족(公家) 문화의 풍취가 짙어 [서쪽의 쿄우토]라 불리며 조선이나 명(明)나라의 문화도 섞인 이국적인 색체가 강한 도시로 번영을 구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발달된 문화도 곧이어 너무 한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폐해(弊害)가 생겨 오오우치 씨(氏)의 멸망으로 이어지게 된다. 오오우치 씨(氏)는 요시타카 시대에 황금기를 맞이하고 그리고 붕괴한다.

 장년시대의 요시타카를 그린 그림이 야마구치 시(市) 류우후쿠(龍福)사(寺)에 남겨져 있는데 실로 미목수려(眉目秀麗)한 도무지 센고쿠의 무장답지 않은 용모로 문화인 다운 지성(知性)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 단정한 그림의 뒤편에는 냉엄한 현실이 감추어져 있었던 것이다.

 당시 일본에 왔던 외국인 선교사[각주:1]가 야마구치에 와서 요시타카를 만났는데, 그 생생한 리포트가 남겨져 있다.
 “…
스오우(周防)의 수도로 가장 인구가 많고 번영한 도시 야마구치에 도착했다. 이 도시의 왕은 오오우치도노(大内殿)라고 하며, 일본에서 가장 힘 있는 왕으로 그 가신의 수나 저택의 호화로움은 다른 다이묘우들을 능가하고 있다. 이 왕의 행동은 제멋대로인대다가 무절제하며 추잡한 욕망에 몸을 던지고 있었다….”

 요시타카는 너무 과할 정도로 쿄우토(京都) 문화를 동경하였다.
 그의 부인들을 열거해보면 그가 얼마나 [쿄우토]에 심취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정실(正室)인 사다코(貞子)는 상급귀족
(公卿)인 마데노코우지 히데후사(万里小路 秀房)의 딸이었다. 사다코를 시중들며 따라왔던 [오사이노카타(おさいの方)]를 요시타카는 총애하였는데 이 여성도 하급귀족인 오츠키 코레하루(小槻 伊治)의 딸이다. 또한 [히가시노고텐(東ノ御殿)]이라 불린 측실도 역시 쿄우토의 귀족인 히로하시 카네히데(広橋 兼秀)의 딸이었다. 거기서 멈추지 않고 요시타카는 조정(朝廷)을 통째로 야마구치로 옮겨오려고 했을 정도였다.

 요시타카는 쿄우토(京都)를 너무 존중한 나머지 정치나 군사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방식을 따르고자 하였다.공문서의 작성을 함에 있어 실수가 없도록 일부러 쿄우토(京都)에서 오츠키 코레하루를 초대하였다. 오츠키는 조정 문서의 기안(起案), 발행을 관직으로 하고 있던 하급 귀족이었다. 또한 이것으로도 부족하다고 생각했는지 당대 일류 귀족(公家) 학자 산죠우니시 사네타카(三条西 実隆)에게 300개가 넘는 질문을 보냈다. 이것을 정리한 것이 [타다라 문답(多々良問答)]이라 일컬어지는 유직고실(有職故実-조정이나 무가(武家)의 예식, 관직, 법령 등의 연구)의 서적이다.

 모든 것을 쿄우토 조정 방식에 따랐다. 숙적 쇼우니 씨(少弐氏[각주:2])를 공격하기 위해서 우선 쇼우니보다 위계가 높은 [다자이노다이니(太宰大弐[각주:3]]에 임명받기 위해서 활발한 조정 공작을 펼쳤다. 조정에서는 당초 요시타카가 가진 쇼우니 토벌의 의도를 눈치채고 있었기에 허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요시타카는 그것을 황실에 거액의 헌금으로 손에 넣은 것이었다. 가난한 황실은 이 헌금으로 겨우 고나라(後奈良) 텐노우(天皇)의 즉위식을 치를 수 있었다고 한다.
 요시타카는 다자이노다이니[각주:4]
에 임관되자마자 쇼우니 씨(氏)를 멸해 버렸다.

 쇼우니 씨(氏)를 대신하여 바라 마지않던 다자이후(太宰部)의 지배자가 되자 요시타카는 고대[각주:5]의 다자이후 문서와 같은 형식의 명령[다이후센(大府宣)]을 관내의 여러 지역에 빈번히 내렸던 것이다. 심각한 시대 착오였다.

 말년에는 이것이 더욱 증폭되어 당시 허명에 지나지 않았던 효우부쿄우(兵部卿)에 임관되었다고 득의만만하고 있었다.

 쿄우토(京都)에 대한 동경은 요시타카의 문화에 심각하다고까지 할 정도의 경도(傾倒)로 이어진다. 그랬던 만큼 와카(和歌), 렌가(連歌)에 대한 조예는 깊었다. 지금도 다자이후 텐만(天満)궁(宮)이나 이츠쿠시마(厳島) 노사카(野坂) 가문 등에는 당대 일류의 렌가시(連歌師) 등과 시회(詩會)에서 만들었던 요시타카의 시작 구절(홋쿠(発句)이 적지 않게 남겨져 있다. 거기에 요시타카는 불교, 유교를 시작으로 케마리(蹴鞠), 노래, 각종 악기, 춤 등에도 정열을 쏟았다.
 요시타카는 야마구치에 쿄우토(京都)의 귀족(公家)들이나 학자, 예능에 있어 초일류인 사람들을 몇 십 명씩 초대하였다. 요시타카는 그들에게 만금을 써도 아깝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너무 지나친 나머지 그런 막대한 비용이 가신단이나 영민의 어깨를 짓눌러 왔다. 요시타카는 그야말로 성가신 주군이었다. 이러한 불만이 쌓이고 쌓여서 곧이어 가신의 분열이 되고 내분(內紛)으로 발전해 간다.

 오오우치 가문의 정치 조직은 오오우치씨(氏)를 중심으로 스오우(周防) 슈고다이(守護代)인 스에(陶)씨(氏), 나가토(長門) 슈고다이에 나이토우(内藤)씨(氏), 부젠(豊前) 슈고다이에 스기(杉)씨(氏)가 맡고 있었다. 각각의 아래에 또다시 쇼우슈고다이(小守護代)를 두고 영지(領地)를 지배하고 있었다.

 쿄우토(京都)에서 오는 귀족들이나 문화인 집단은 현지의 무단파 가신단에게 있어서는 불쾌한 존재였다. 그런 그들의 불만에 불을 붙인 것이 요시타카 측근인 문관 사가라 타케토우(相良 武任)의 중용이었다. 유우히츠(祐筆)의 신분인 주제에 후다이(譜代)의 중신 스에 타카후사(陶 隆房) 등과 동급인 종오위하(從五位下)에 임명된 것이었다.
 거기에 또 하나 무단파가 요시타카에게 멀어지게 된 것은
이즈모(出雲)의 아마고(尼子) 공략에서 대패를 하였기 때문이다.

 아마고 하루히사(尼子 晴久[각주:6])가 오오우치 씨(氏)에 속해있던 아키(安芸)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의 코오리야마(郡山)성(城)을 공격하자, 요시타카는 스에 타카후사에게 명하여 코오리야마 성(城)에 구원군을 파견함과 동시에 자신도 1만5천의 병사들을 이끌고 아마고 씨의 본거지인 이즈모(出雲) 토다갓산(富田月山)성(城)을 공격하였다. 하지만 처참한 패배였다. 보급로는 끊기고 유력한 무장들에게 배신당하여 간신히 야마구치로 도망쳐 온 것이었다. 이 패전이 얼마나 뼈에 사무쳤는지 요시타카는 이후 완전히 군사면에서 손을 떼어 오로지 문약(文弱)으로만 내달렸다.

 요시타카의 최후는 비참했다.
 스에 타카후사 등 무단파에 모반 당하여 간신히 나가토의 센자키(仙崎)로 도망쳤지만 결국 이 근처에서 자살해 버린 것이었다.



큰 지도에서 요시타카가 가려 했던 센자키(仙崎)항(港) 보기

 함께 죽은 것이 전(前) 칸파쿠(関白) 니죠우 코레후사(二条 尹房), 니죠우 요시토요(二条 良豊), 전 사다이진(左大臣) 산죠우 키미(킨)요리(三条 公頼), 츄우나곤(中納言) 지묘우인 모토노리(持明院基規), 칸무수쿠네(官務宿禰) 오츠키 코레하루. 거기에 시텐노우(四天王)사(寺)의 악인(樂人)들이었다. 호화로운 쿄우토(京都)의 귀족들이 요시타카의 죽음을 화려하게 장식했다고 할 수 있다.

[오우치 요시타카(大 義隆)]
1507년생. 요시오키(義興)의 장남. 오오우치씨(氏)는 백제 왕의 자손. 1528년 가문을 이어 스오우(周防) 등 7개국의 슈고(守護)가 된다. 쇼우니(少弐)씨(氏)를 물리치고 분고(豊後)의 오오토모 요시아키(大友 義鑑)와 강화(講和)를 맺었고, 1535년 다자이노다이니(大宰大弐)에 임명 받아 후에 종이위(從二位)까지 되어[각주:7] 효우부쿄우(兵部卿) 겸 지쥬우(侍従)가 된다. 1543년 이즈모(出雲) 토다 성(城)의 아마고 하루히사를 공격하였지만 실패. 명, 조선과의 무역이나 기독교 포교를 허용하는 등 외래 문화 도입에도 힘썼다. 문약으로 흘렀기 때문에 스에 타카후사에게 공격받았다. 1551년 9월 1일 자살. 45세.

  1. 이 선교사 프란시스코 하비에르(자비에르=San Francisco Xavier)는 일본 독특의 문화와 우상 숭배, 남색에 대한 비난을 하였다가 요시타카에게 쫓겨났다고 같이 있던 페르난데스 수도사의 기록에는 적혀 있다고 한다. [본문으로]
  2. 원래의 성(姓)은 무토우(武藤)였으나 무토우 스케요리(武藤 資頼)가 무가(武家)이면서 쿠게(公家)의 관직인 다자이노쇼우니(太宰少弐)에 임명 받은 후 대대로 세습되었기에 아예 성으로 삼고 있었다. [본문으로]
  3. 서열을 나태내는 사등관(四等官) 중 카미(長官) 다음 가는 스케(次官)의–니(弐)는 이(二(貳)의 일본식 약자- 서열 첫째이기에 다이니(大弐), 그 다음이 쇼우니(少弐)가 된다. [본문으로]
  4. 다자이후(太宰部)는 큐우슈우(九州) 전역의 행정, 사법, 군사권을 관장했다. [본문으로]
  5. 다자이후가 생긴 것은 7세기 전후라고 한다. [본문으로]
  6. 아마고 츠네히사(尼子 経久)의 손자로 이 당시 아마고 당주. [본문으로]
  7. 이 당시는 아시카가(足利) 쇼우군(将軍)조차도 종삼위(從三位)였기에 무가(武家)로써는 최고위였다. [본문으로]

< 사진 출처: http://www.nijl.ac.jp/index.html>

 스에 타카후사는 그의 주군 오오우치 요시타카(大内 義隆)와 무엇이든 대조적이었다. 요시타카가 문화에 탐닉했던 것에 반해 타카후사는 그쪽 방면으로는 전혀 흥미를 나타내지 않아 당시 유행이었던 렌가(連歌) 모임조차 참석하지 않았다.

 스에 씨(氏)는 오오우치 가문의 필두 중신이며 원래는 오오우치 씨(氏)의 지족(支族)이다. 부친 오키후사(興房)의 뒤를 이은 타카후사도 오오우치 가문에서 위세가 강하여 주군 요시타카조차 회담 뒤에는 일부러 타카후사를 배웅할 정도였다고 한다.

 무장으로써도 뛰어났다. 사서는 타카후사의 인물상을 [서국(西国) 무쌍의 사무라이 다이쇼우(侍大将), 지용(智勇) 남들보다 뛰어나다]고 평하고 있다. 오오우치 씨(氏)의 이즈모(出雲) 원정이 실패로 끝나 전군이 철퇴하였을 때 타카후사는 부하들에게 쌀을 주고 자신을 생선의 내장을 먹으며 굶주림을 참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이 이즈모(出雲) 아마고 원정의 실패가 - 타카후사가 요시타카를 정점으로 하는 문치파(文治派)를 공격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이었다.

 처음 목표로 삼은 것은 요시타카의 총신(寵臣) 사가라 타케토우(相良 武任)였다. 비서관(祐筆)에서 출세한 문치파의 톱이었다. 신참(新參)이면서 후다이(譜代)의 중신 스에 타카후사 등과 같은 종오위하(從五位下)에 임명 받지만 1545년 5월 타케토우는 타카후사의 압박을 견디지 못하여 머리를 밀고 히고(肥後)의 사가라(相良)로 물러났다. 타카후사의 행동은 노골적이 되어 주군 요시타카를 은거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기까지 이르렀다.

 이 시점까지 아직 다른 무장들은 타카후사에게 찬동하고 있지 않았다. 타카후사에 다음가는 중신 나이토우 오키모리(内藤 興盛), 스기 시게노리(杉 重矩)는 오히려 타카후사의 위험한 야망을 꿰뚫어 보고 주군에게 [스에 암살]을 권할 정도였다. 하지만 문화인(文化人)인 요시타카는 아무래도 타카후사 암살이라는 과감한 수단을 취할 질 못했다. 이 우유부단함이 후에 자신의 파멸을 부르게 된다.

 주군과 타카후사의 암투는 계속되었다. 요시타카도 나름대로 손은 썼다. 예전에 총애하던 사가라 타케토우를 다시 가문으로 불러들였으며,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의 장남 타카모토(隆元)에게 자신의 양녀[각주:1]를 시집 보내어 끈을 강화하였다. 모략가 모토나리는 이 때 요시타카와 연락을 하는 한편, 타카후사의 밀사(密使)와 만나기도 했다고 한다.

 어차피 요시타카 측은 문약(文弱)한 무리였다. 대책이 허술했다. 사가라 타케토우 등은 “스에가 반란을 일으킬 턱이 없다”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었다.

 3년이 지난 후 모든 정세가 주군 요시타카 측에 불리하게 되었다. 여전히 요시타카의 문화적 탐닉은 고쳐질 낌새도 보이지 않았으며 그에 따른 낭비로 인하여 가문 내의 인심은 떠나가 버린 것이다. 반 요시타카 감정은 스에 씨(氏)뿐만이 아닌 가문 전체로 퍼져있었다.
 타카후사에게 반대하고 있는 스기 시게노리도 스에의 계획에 참가하였고, 나이토우 씨(氏)도 심정적으로는 동조하는 태도를 취한 것이다.

 1550년. 타카후사는 휴가를 청하여 자신의 영지(領地) 와카야마(若山)성(城)으로 돌아와서는 모반 계획을 착착 짜기 시작했다.

 결국 다음 해인 1551년 8월 28일. 반란의 병사를 일으켰다. 스에 이하 스기, 나이토우 등의 군세 5000여가 야마구치(山口)로 침입하여 문치파의 저택을 돌아가며 약탈하였고 오오우치의 저택을 습격하였다. 오오우치 측은 정면으로 대항할 수 있는 병사가 적었으며 거기에 대부분이 뿔뿔이 도망쳤다.
 요시타카 주종은 밤의 어둠을 이용하여 산길을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보면 동해(東海) 쪽의
센자키(仙崎) 항(港)으로 피하였지만 결국 이곳의 타이네이(大寧)사(寺)에서 자살하였다.

 타카후사는 이후 스오우(周防), 나가토(長門)를 영유(領有)하여, 츄우고쿠(中国) 일대에 위세를 떨쳤지만, 1555년 9월 30일 모우리 모토나리와 이츠쿠시마(厳島)에서 싸워 전사(戰死)하였다.

큰 지도에서 이츠쿠시마(厳島) 전투 보기

[스에 다카후사(陶 隆房)]
주군 요시타카를 멸한 후 하루카타(晴賢)라는 이름을 칭했다[각주:2]. 1539년 18살의 나이에 가독을 이어 오오우치 가문의 가로(家老)가 되었다. 1541년 모우리 모토나리와 협력하여 아마고 하루히사(尼子 晴久[각주:3])를 물리쳤다. 1551년 오오우치 요시타카를 멸한 뒤, 오오토모 소우린(大友 宗麟)의 동생 하루히데를 맞이하여 오오우치 가문을 잇게 한 뒤 요시나가라는 이름을 칭하게 하였다. 1555년 이츠쿠시마에서 패사(敗死).

  1. 나이토우 오키모리의 딸. 때문에 나이토우 가문은 이츠쿠시마(厳島) 전투 때, 오키모리가 죽은 다음이기도 하여 타카후사 지지파와 모토나리 지지파로 나뉘었다. [본문으로]
  2. 요시타카의 양자로 꼭두각시로 세운 오오우치 요시나가(大内 義長)가 양자로 오기 전의 이름이 오오토모 '하루'히데(晴英)였기에 그 이름을 따서. [본문으로]
  3. 츠네히사(経久)의 손자. [본문으로]


 아마고 츠네히사[각주:1] 이즈모[出雲] 슈고다이[守護代][각주:2]의 직책을 빼앗긴 뒤 2년 동안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도 와신상담 끝에 옛 지위 회복의 비책을 짜내어 결국 그것을 이루어 냈을 뿐만 아니라 산인[山陰]의 패자(覇者)까지 된 굉장한 인물이다.


 떠돌이 생활을 할 때 고생을 많이 하였기에 백성이나 어민(漁民)들에게까지 잘 보살폈고, 언제나 따스한 미소를 잃는 일이 없었기에 여자 아이들조차 친근감을 가졌다고 한다.

 가신(家臣)들에게 대하는 태도는 더욱 헌신적이었다. 부상 당한 자는 손수 간호를 하였으며, 싸우다 죽은 이의 육친에게는 식록(食祿)을 늘려주었고, 명복을 빌며 직접 불경(佛經)을 읽었다. 이 때문에 휘하 병사들은 츠네히사를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아마고 씨[尼子氏]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조부(祖父) 모치히사[持久] 때 부터이다.

 모치히사는 이즈모[出雲]의 슈고[守護] 쿄우고쿠 씨[京極氏]에게 중용 받아 슈고다이까지 출세해서는 토다갓산 성[富田月山城]을 본거지로 삼았다.


 츠네히사의 부친 키요사다[]가 뒤를 이어서는 활발히 영토를 넓혀 미호노세키[美保関]를 손에 넣음으로써 아마고 씨의 재정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즉 이 세키[関][각주:3]의 세키센[関銭][각주:4]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원래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것이지만 횡령하였다.


 강성해졌던 아마고 씨는 츠네히사의 시대가 되자 일시 몰락한다.

 아마고 씨가 너무도 강대해 졌기에 슈고[守護] 쿄우고쿠 씨가 미사와[沢], 엔야[塩谷], 미토야[三刀屋] 등의 호족을 꼬드겨 츠네히사를 공격시켜다. 츠네히사는 슈고다이에서 쫓겨나게 된 것이다.


 토다갓산 성에서 쫓겨난 츠네히사는 이곳 저곳을 방랑하게 된다.

 눈보라가 치던 어느 날 밤. 츠네히사는 옛 신하 야마나카 카츠시게[山中 勝重][각주:5]의 집에 방문한다. 얼굴을 가리는 삿갓[深編笠]을 쓰고, 살을 에이는 추위에도 얇은 마()로 된 옷 한 벌이라는 초라한 모습이었다. 이미 굶주림과 추위로 삐쩍 말라있었다. 야마나카는 젊은 주인의 몰락한 모습에 눈물을 흘리며 불을 쪼이게 하고 술을 내와 위로하였다.

 그러나 츠네히사의 의기는 드높았다. 몸을 녹이면서 토다갓산 성 탈환 계획을 털어놓았던 것이다. 이 야마나카 일당의 협력덕택에 아마고 재기의 발판이 되는 토다갓산 성 탈환이 가능하게 된다.

 

 1485년의 섣달 그믐날 밤이었다.
 
목적지는 예전의 본거지 토다갓산 성이었다. 성주는 츠네히사에게서 슈고다이의 직책과 성을 뺏어간 엔야 카몬노스케[塩谷 掃部助]였다.
아마고 일당은 밤의 어두움을 이용해서 성 안으로 숨어들었다. 천연의 요해(要害)였지만 예전엔 자신의 성이었다. 그들은 아무런 어려움 없이 잠입에 성공하였다.

 

 다음 날은 설날이었다.

 아마고 츠네히사의 노림 수는 신년 축하 행사였다. 츠네히사는 이미 신년 축하에 흥을 돋구는 사당패 가마[賀麻] 일당을 포섭해 두고 있었다. 성 안에서 큰 북(太鼓)이나 작은 북()의 박자에 맞추어 춤이 시작되자 그와 동시에 갑자기 성 안의 곳곳에 숨어 있던 아마고의 군사들이 일제히 불을 지르며 공격하였다. 춤을 추고 있던 가마 일당도 아마고 측 군사들의 함성을 듣자 준비해 두었던 갑옷으로 갈아입고는 성병(城兵)들에게 칼질을 퍼부었다. 아마고의 기습은 보기 좋게 성공하여 불과 100여명으로 성병 700명 이상을 물리쳤다.

 이렇게 토다 성을 탈환한 후 츠네히사는 최대의 강적인 미사와 씨[三沢氏]를 물리치는 것에도 모략을 이용하게 된다.

 

 중신(重臣)이 된 야마나카 카츠시게에게 일부러 누명을 씌어 미사와 씨에게 도망치게 만든 것이다. 야마나카는 일년간 미사와 씨에게 충성을 다하였다. 이제 미사와는 야마나카 카츠시게를 완전히 신용하였. 야마나카 카츠시게는 “츠네히사를 위해 충성을 다하였건만 사소한 죄를 하나 지었다고 저를 쫓아내어 여기로 왔는데, 츠네히사는 제 부인과 자식, 늙은 모친마저 감옥에 가두고 학대하고 있습니다. 억울해 견딜 수 없으니 복수를 하고 싶습니다고 말했다. 감쪽같이 속아 넘어간 미사와는 정예 500명을 야마나카에게 맡겼고, 그는 이 500명을 이끌고 토다 성으로 데리고 갔다. 토다갓산에 도착한 야마나카 카츠시게는 성 안에 있는 자기의 옛 부하들에게 연락을 하여 내응하게 만든다며 사라졌고, 사라진 사이 츠네히사와 함께 병사들을 이끌고 와 미사와의 병사들을 격파하였다.

 

 아마고 씨는 이후 각지에 진출하여 산인산요우[山陽]11개 지역[]에 위세를 떨치는 거대 세력으로 발전해 간다. 그러나 증손자인 요시히사[義久]의 대가 되어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에게 멸망 당한다.

 

[아마고 쓰네히사(尼子 )]

키요사다[清定]의 아들. 이즈모[出雲], 오키[岐], 이와미[石見], 이나바[因幡], 호우키[伯耆]를 영유(領有). 모우리 모토나리도 한때 휘하에 두었다. 1541년 죽었다. 84세라고 한다.

  1. ‘아마코’라고 읽을 수도 있다고 한다. [본문으로]
  2.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지방관인 슈고[守護]의 대리. 오우닌의 난[応仁の乱] 이전만 해도 해당 지역에 가지 않고 주로 쿄우[京]에서 정무를 보았기에, 그런 슈고를 대신해서 해당 지역에 가서 실무를 보았다. [본문으로]
  3. 지금의 세관이라 할 수 있는 곳. 통과하려면 돈을 내어야 했다. [본문으로]
  4. 세키 통행을 위해 내는 돈. [본문으로]
  5. 이 사람의 손자가 후에 아마고 재흥군을 이끌게 되는 야마나카 유키모리[山中 幸盛=시카노스케[鹿之助]]이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