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리타 오리베[古田 織部]의 이름은 센고쿠 무장[戦国 武将]이라기 보다는 다인(茶人), 도예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오리베 애호[織部好み]’라 불리는 기발한 그릇 모양과 특색있는 문양을 가진 도기(陶器)를 창시하였고, 그것이 지금 ‘오리베야키[織部焼]’라는 이름으로 명물이 되어 있다.

 오리베는 센노 리큐우[千 利休]에게 사사 받아 후세에 리큐우 칠철[利休七哲][각주:1]의 한 사람으로 꼽힐 정도인 다인 다이묘우[茶人大名]이다. 그러한 오리베였기에 특별한 무공은 없었다. 다도를 좋아했던 히데요시[秀吉]에게 총애를 받아 히데요시의 말상대인 ‘오토키슈우[御咄衆]’까지 출세하였다.

 스승으로 섬긴 리큐우가 히데요시의 분노를 사 자살을 언도 받은 뒤 오리베의 명성은 한층 더 높아져, 오리베의 저택에는 다이묘우나 다인(茶人)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아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한다. 오리베가 감정을 하고 보증서를 하나 써주면 바로 지금까지 부엌 한 구석에 놓여있던 투박한 사발[茶碗]도 곧바로 천금의 가격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 정도로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히데요시가 죽고 곧이어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이 일어나자 오리베는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에게 속하여,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와 통하고 있던 히타치[常陸]의 사타케 요시노부[佐竹 義宣]를 설득하여 서군에 참가하려던 요시노부를 중립에 서게 만들었고, 이 공적으로 인해 이에야스에게 1만석을 하사 받아 다이묘우[大名]가 되었다.[각주:2] 거기에 더해 쇼우군 가문[将軍家]의 다도사범이라는 지위를 얻어 2대 쇼우군[将軍] 히데타다[秀忠]에게 다도를 가르치는 몸이 되었다.

 이때까지 오리베의 인생은 순풍에 돛이 단 듯했다. 그러나 곧이어 오오사카 공성전[大坂の陣]이 시작된다. 겨울 전투[大阪冬の陣} 때는 별일 없었다. 오히려 웃긴 일화조차 전해진다.

 어느 날 오리베는 살기등등한 진중 속에서 다도의 벗인 사타케 요시노부[佐竹 義宣]의 본진에 방문하였다.
 참고로 사타케 씨[佐竹氏]는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 때의 행동으로 이에야스의 분노를 사, 전후(戰後) 아키타[秋田]로 이봉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이에야스의 속한 무장으로 오오사카 성[大坂城]을 공격하고 있었다.
 마침 그때 요시노부는 최전선에 설치된 시요리[仕寄 – 대나무 묶음 등을 연달아 이은 총탄 방어용 방패와 같은 것] 안에 들어가 있었다. 오리베는 그 안에 기어들어가기 위해서 투구를 벗고 들어갔고, 잠시 동안 요시노부와 쌓인 이야기를 한 뒤 차를 다리기 시작했다. 총탄이 오가는 와중에 지금으로 보면 실로 재수없는 행동이었다. 거기에 이 시요리[仕寄]의 대나무 묶음 속에 작은 차주걱[茶杓] 될 만한 좋은 대나무가 없나 하고 몸을 숙여가며 찾기 시작한 것이다. ‘싸움에 쓰이는 도구라도 다도에 쓰인다’는 오리베 류[織部流] 다도의 특색을 보여주려 했을 것이다. 그런데 좁은 시요리[仕寄]에서 몸을 움직였기에 오리베의 머리[キンカ頭]가 시요리[仕寄] 밖으로 삐져나와  태양빛을 받아 반짝반짝 빛이 났다.
 이것이 성 방어군의 눈에 띄었다. 이 빛을 향해서 철포가 불을 뿜었다. 그 중 한발이 오리베의 머리를 빗맞혔다. 오리베는 ‘꺄아~”라는 비명을 지르며 머리를 감싸지고 옆에 놓아두었던 찻잔을 닦는 수건[茶巾]과 받침으로 쓰는 헝겊[ふくさ]로 흐르는 피를 막았다. 이런 모습을 보고 있던 사타케의 군사들은 ‘다도인에 걸맞은 붕대구만’하고 낄낄대며 웃었다고 한다.

 이 다음 해인 1615년 여름 전투[大阪夏の陣] 직후 오리베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이 전투도 마지막이 다가왔을 무렵, 오오사카 성 안에서 쿄우토쇼시다이[京都所司代][각주:3]에게 밀고하는 자가 있었다. 그 사람의 말에 따르면 후루타 오리베[古田 織部]의 가신(家臣) 키무라 무네요시[木村 宗喜]라는 자가 미리 오오사카 측과 의논하여 이에야스[家康], 히데타다[秀忠]가 오오사카를 향해서 후시미[伏見]를 출발하는 것에 맞추어 쿄우토[京都]에서 거병하고, 오오사카 측과 호응하여 토쿠가와 군(軍)을 협격하려고 하였다는 것이었다.

 곧바로 일당의 체포가 시작되어 오리베도 역시 잡히는 몸이 되었고, 오오사카 낙성 후 할복이 언도되었다. 오리베가 정말 모반을 꾸몄는지, 만약 정말로 그러했다면 무엇이 원인인지는 아직 확실히 알려진 것이 없다.

후루타 오리베[古田 織部]
1544년 미노[美濃]에서 태어났다고 한다[각주:4]. 이름은 시게나리 혹은 시게테루[重然], 통칭은 사스케[左助]. 나카카와 키요히데[中川 清秀]의 매제로, 처음엔 아라키 무라시게[荒木 村重]의 휘하 무장[与力]이였고, 후에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를 거쳐. 혼노우 사의 변[本能寺の変] 뒤에는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를 섬긴다. ‘다도백개조(茶道百箇条)’를 저술하였고, 토쿠가와 히데타다[徳川 秀忠], 혼아미 코우에츠[本阿弥 光悦], 코보리 엔슈우[小堀 遠州][각주:5]의 다도 스승이었다. 1615년 6월 아들 야마시로노카미 시게히로[山城守 重広]와 함께 자해. 72세.

  1. 문서에 따라 다르나 주로 가모우 우지사토[蒲生 氏郷],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 忠興], 후루타 오리베[古田 織部], 시바야마 무네츠나[芝山 宗綱], 세타 마사타다[瀬田 正忠],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 마키무라 토시사다[牧村 利貞]. [본문으로]
  2. 이미 이전에 히데요시에게 야마시로[山城] 니시가오카[西ヶ岡]에 3만5천 석을 하사 받아 다이묘우[大名]인 상태였다. 여담으로 '만화 헤우게모노[へうげもの]'에서 히데요시는 오리베에게 니시가오카 3만 5척석을 주며 "쿄우[京] 주변의 3만5천석은 중한 것이네"라는 대사를 한다. 가모우 우지사토[蒲生 氏郷]의 일화 - 쿄우토 주변이라면 영지가 적어도천하를 바라 볼 수 있었을 것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쿄우토 주변은 적은 영지라도 무게감 있는 자리였다. [본문으로]
  3. 쿄우토 행정, 조정의 수호와 감시, 키나이[畿内]와 하리마[播磨]의 소송, 쿄우토, 나라[奈良], 후시미[伏見]의 각 봉행(奉行)를 통괄하던 직책. [본문으로]
  4. 노부나가 가신단 연구자인 타니구치 카츠히로[谷口 克広]씨는 '토키츠구 경기[言継卿記]'에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 義昭]의 직할군에 속해 있다는 기록과 나카가와 키요히데의 4촌이라는 기록에 따라 킨키[近畿] 출신이 아닌가 - 라고 추론하고 있다. [본문으로]
  5. 근대 다도(茶道)를 집성시킨 인물. 또한 그 역시 1만석의 다이묘우[大名]였다. 3대 쇼우군 이에미츠[家光]의 다도사범. [본문으로]

사타케 요시노부[佐竹 義宣]

1633 1 25일 병사(病死) 64


1570 ~ 1633.

히타치[常陸] 오오타[太田]성주. 아키타 번[秋田藩]의 번조(藩祖).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오다와라 정벌[小田原征伐] 무사시[武蔵]로 출진. 부친인 요시시게[義重]의 활약에 힘입어 히타치[常陸]를 통일했다.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 때는 움직이지 않고 중립을 선택했기 때문에 데와[出羽] 아키타[秋田]로 전봉(転封)되었다.










아키타 전봉(転封)의 이유


 사타케 가문[佐竹家]이 히타치 미토[水戶] 54만석에서 데와[出羽] 아키타[秋田] 20만석으로 전봉된 것은 1602 7 27일이었다.

 이에야스[家康]에게서 온 명령서에는 데와[出羽]의 아키타[秋田]와 센키타[仙北]로 가라는 말만 있을 뿐 석고(石高)가 명시되지 않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요시노부[義宣]를 시작으로 가신들은 깊은 실망에 빠졌다. 이에야스[家康]가 내린 징벌 좌천 인사였던 것이다.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 요시노부는 서군 총수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와의 깊은 친분으로 마음이 흔들렸기에 요시노부를 의심한 이에야스에게 칸토우[関東]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보내진 것이었다.


 미츠나리와의 깊은 관계라 함은, 요시노부의 맹우였던 우츠노미야 쿠니츠나[宇都宮 国綱]카이에키[改易[각주:1]]에 휩쓸려 사타케 가문이 처분받을 뻔한 때에 미츠나리 덕분에 위험에서 피할 수 있었으며, 반대로 요시노부는 히데요시가 죽은 뒤 토요토미[豊臣]의 여러 다이묘우[大名] 간의 내분으로 인해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淸正] 7명의 무장이 미츠나리를 습격했을 때에는 요시노부가 구출했던 때도 있었다.


역전의 발상


 히타치 54만석은 히데요시의 주인장(朱印狀)에 의한 것이지만 그 중에 요시노부의 영지 20만석. 거기에 은거한 부친 요시시게[義重]에게 5만석, 사타케 3가의 하나인 히가시 요시히사[東 義久]에게 6만석, 그 외는 요리키 다이묘우[与力 大名][각주:2]들의 영지 등으로 인해 '나라 안에 나라'가 있는 상태였다.


 요시노부는 아키타 전봉을 이러 변칙 체제의 타파와 자신의 권력기반을 확립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지금까지의 영지는 전부 무시하고 아키타에서 새로 영지를 분배하였고 그것을 봉급으로 했다. 요시히사의 아들 요시카타[義賢]에게는 10분의 1 6000석만을 지급했다. 가신중에서도 200석 이상은 불과 25명 이었다. 이것이 여태까지의 가격(家格[각주:3]), 관례에 구속 당하지 않는 새로운 정략의 실시를 가능케 하여 새로운 인재 등용도 가능하게 했다.


 신천지에서 우선 영내(領內)의 안정에 힘써 쿠보타 성[久保田城] 축성과 안도우 씨[安東氏], 아키타 씨[秋田氏]에게서 이어 받은 성 밑 마을[城下町]의 정비에 힘을 쏟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농지를 개척하고 광산 개발에 힘썼다.


 한편 막부가 일으킨 오오사카 겨울 전투와 여름 전투[大坂の陣]의 군역(軍役)은 물론 계속되는 막부의 요청에 의한 토목공사에도 나서서 응했다.

 요시노부의 아키타 번에 30년 간 부과되어진 주요한 토목 공사에는 에도 성[江戶城] 수리를 시작으로 우치사쿠라다[內桜田]의 칸다바시 문[神田橋門]의 수리, 소토사쿠라다[外桜田] 코우지마치[麹町]의 토라 문[虎門]과 이어지는 담 공사 등 도합 5.

 군역(軍役)은 오오사카의 진[大坂の陣]외에 유리[由利]()의 인수, 에치젠[越前] 마츠다이라 타다나오[松平 忠直]의 카이에키[改易][각주:4]에 동원 등 합계 4, 쇼우군[将軍]이 쿄우토[京都]에 갈 때 같이 간 것이 4, 그 외에 19번의 참근(参勤[각주:5])이 있었다. 한 시도 맘을 놓을 수 없는 봉공(奉公)의 연속이었다.


 거기에 막부에게 쓸데없는 의심 받을까 하여 성에는 천수각도 담도 쌓지 않는 철저함을 보였다. 적이 공격해 오면 어떻게 하겠냐는 부친 요시시게[義重]의 물음에, "나가서 공격할 뿐입니다. 이런 작은 성에서 농성해서는 운도 트일 리 없습니다."고 태연하게 대답했다. 중앙집권화에 따른 정치 체제의 변화와 전술의 진보에 따라 축성에는 큰 신경을 쓰지 않은 것이다.


 토요토미 정권[豊臣政権]하에서 이에야스[家康]와 어깨를 나란히 하여 [로쿠다이쇼우(六大将[각주:6])]로 평가되어 온 요시노부가 이렇게까지 막부에 대해 신경을 썼기에, 의심이 많은 이에야스도 요시노부를 인정할 수 밖에 없어 "이 세상에 사타케 요시노부 만큼 정직한 사람은 본 적이 없다"며 칭찬하면서도, "그래도 너무 정직해서도 곤란해"하며 충고할 정도였다.


병법가, 다도가(茶道家)로서의 일면


 요시노부는 화약의 조제법을 연구해서 책을 쓸 정도의 병법가였다. 한 편 취미인 차를 즐기는 것도 달인의 영역에 달했었다.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에 따라 히젠[肥前] 나고야[名護屋]에 재진 중일 때 영지로 보낸 편지에 자기 스스로 칸토우[関東] 제일의 다도가라고 할 정도였다. 요시노부는 후루타 오리베[古田 織部]에게 직접 전수받은 다도를 말년에 즐겼다.


 요시노부는 16331 25. 에도의 칸다[神田]의 저택에서 죽었다. 향년은 64.

 [정월 7일부터 산기(疝氣)를 앓으셨다.] [羽陰史略]에 적혀 있다. 산기라는 것은 대장 또는 소장 혹은 허리부분이 아파지는 병이라고 한다. 죽음을 앞두고 유언으로 순사(殉死[각주:7])를 금했다. 막부가 순사 금지령을 발포하기 30년 전이므로 영단이라 할 수 있다.


 17살에 가독을 이은 요시노부는 24살 때 일찍 죽은 정실과 나중에 맞아 들인 부인에게서도 아들을 볼 수 없었다. 때문에 동생인 이와키 사다타카[岩城 貞隆]의 첫째 아들을 양자로 받아들여 요시타카[義隆]로 이름 지어 세자로 삼았다. 아키타 6() 20만석의 영지가 확정된 것은 요시노부가 죽은 다음해 였다.

  1. 영지를 몰수하고 평민으로 강등시킴. [본문으로]
  2. 배하(配下)의 다이묘우[大名]. 즉 요시노부가 명령권을 가진 다이묘우. [본문으로]
  3. 가문의 등급. [본문으로]
  4. 이에야스[家康]의 2남 유우키 히데야스[結城 秀康]의 장남. 오오사카 공성전[大坂の陣]에서 발군의 활약을 펼쳤으나 은상이 적은 것(차항아리[茶壷] 한 개)에 불만을 표하고 참근교대도 안 하였기에 카이에키. [본문으로]
  5. 1년 터울로 에도와 자기 영내를 오고 가는 것. [본문으로]
  6. 여섯 개의 큰 가문. 토쿠가와, 마에다[前田], 모우리[毛利], 시마즈[島津], 우에스기[上杉]와 더불어. [본문으로]
  7. 주인이 죽으면 자살하는 것을 말함.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