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즈노 가쓰나리[水野 勝成]

1651 3 15일 병사 88.

 

1565 ~ 1651.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를 섬기지만 이에야스의 휘하를 떠나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正], 쿠로다 나가마사[田 長政] 등을 섬긴다. 1598년에 토쿠가와 가문[徳川家]에 복귀.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는 오오가키 성[大垣城] 공략에 참가. 오오사카 여름 전투[大坂 夏の陣]에서는 고토우 마타베에[後藤 又兵衛] 등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카츠나리[勝成]라는 인물

 

 미즈노 카츠나리의 부친인 소우베에 타다시게[兵衛 忠重] 토쿠가와 이에야스의 모친인 오다이[於大]의 동생이다. 따라서 카츠나리는 이에야스와는 외사촌지간이다.

 카츠나리는 토우쥬로우[藤十郎]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청년시대에 부친 타다시게와 싸우고 집을 나가 15년 간에 걸친 방랑 끝에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ヶ原の戦い]를 목전에 앞두고 그제서야 이에야스의 주선으로 부친 타다시게와 화해를 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은 7 23 부친 이즈미노카미 타다시게[和泉守 忠重]미카와[三河]의 치리후[池鯉鮒]에서 카가노에 야하치로우[加賀江 弥八郎]에게 죽음을 당했기에 가문을 이어 미카와 카리야[刈谷] 3만석의 영주가 되었다.

 

 그 뒤 오오가키 성 공략, 오오사카 겨울의 싸움[大坂 冬の陣], 오오사카 여름 전투[大坂 夏の陣]에서 무공[각주:1]을 세워 1615 7 19일에 야마토[大和] 코오리야마[郡山] 6만석의 성주가 되었고, 이어서 4년 후인 1619 7 15 빈고[備後]-아키[安芸] 49 8천석의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의 카이에키[改易][각주:2]로 인해 공석이 된 빈고 후쿠야마[福山] 의 영주가 되었다. 영지(領地)는 빙고 국[] 남부(南部) 7개() 빗츄우[備中] 오다 군[小田郡], 시츠키 군[後月郡]을 합쳐 10만석이었다.

 

 이후 미즈노 카츠나리는 후쿠야마에 새로운 성을 쌓고 성 밑 마을[城下町]의 형성 및 영지 경영에 힘 썼다.

 가독(家督)을 장남 카츠토시[俊]에게 물려준 것은 1639년 윤 11 16일로 이때 휴우가노카미 카츠나리[日向守 勝成] 76, 미마사카노카미 카츠토시[美作守 勝俊] 42세였다.

 

시마바라[島原] 출진

 

 카츠나리가 마지막으로 전쟁터로 나간 것은 그가 독전관[軍監][각주:3]이 되어 시마바라 농민 반란을 토벌하러 출진했을 때이다.

 

 막부(幕府)의 명령을 받아 아들 미마사카노카미 카츠토시, 손자 이오리[伊織][각주:4] 이하 총 6344명의 장병을 이끌고 빈고 토모노츠[津]를 출항한 것은 1638 2 8일이었다.

 

 2 23히젠[肥前] 아리마[有馬]에 도착. 다음 날 24일에는 군사회의에 출석하여,

 이제와서 뭘 맘 편히 회의 같은 것을 하는가? 곧바로 군을 움직여 무조건 공격해서 성을 함락시켜야만 한다!”

 고 호통을 쳤다고 한다.

 그 때문에 여러 장수들은 26일을 총공격의 날로 정하였지만 하필이면 그 날 밤부터 비가 내려 26일 정오까지 계속 내렸기에 실제로 공격을 개시한 것은 다음 날인 27일이 되었다.

 

 이 때 오니휴우가[鬼日向][각주:5] 카츠나리가 이끄는 빈고의 군세는 나베시마 카츠시게[鍋島 勝茂][각주:6]의 사가[佐賀]의 군세와 치열한 선봉 다툼을 하여 미즈노 가의 전사자는 106, 부상자는 382명이었다고 한다.

 

 농민군이 농성하는 하라 성[城]27일과 28 양일간에 걸친 총공격으로 인해 함락되었는데 막부(幕府)의 전사자 1127, 부상자 7800명인데 비해, 3 2일 참수된 농민군의 목은 남녀 합쳐 3만7000명이었다.

 임무를 끝낸 카츠나리가 히젠 시마바라의 코우지로 항[神代港]항에서 뱃길로 빈고 토모노츠로 귀환한 것은 3 18일이었다.

 

영지 개발에 힘 쓴 여생(餘生)

 

 1639 9 9일.

 카츠나리는 에도 성[江戶城]에서 쇼우군[軍] 이에미츠[家光]알현하면서, 노령으로 인해 은거한다는 뜻을 밝혀 허락을 받은 후 다음해인 1640 1 3일에 마지막으로 이에미츠를 알현한 뒤 빈고 후쿠야마로 돌아왔다.

 

 원래대로라면 은거한 몸이기에 남들처럼 글이나 그림, 골동품 수집에 몰두했겠지만 그의 머리 속에는 시마바라 농민 반란군들의 참수당한 불쌍한 모습만이 남아있었다.

 기독교 반란이라고 하지만 실은 영주의 가렴주구로 인해 생긴 실정(失政)의 희생양이었다.

 실제로 걷어 들일 수 있는 것이 4만석에 지나지 않는 영토임에도 시마바라의 영주 마츠쿠라씨[松倉氏][각주:7] 막부에 10만석이라고 보고하였고 또한 바쿠후에게 잘 보이기 위해 여러 공사를 자청하여[각주:8] 생긴 재정적인 구멍을 농민들에게서 긁어 모았기 때문에 이러한 큰 난리가 난 것이다.

후쿠야마 시[福山市]에 있는 카츠나리의 묘(墓).

 

 그리하여 카츠나리는 정치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영지 개발과 산업 발달에 의한 백성 생활의 향상'임을 깨닫고 남은 여생을 하천의 치수공사와 신전(新田) 조성에 받쳤다.

 그는 이런 영지 개발에 가노(家老)[각주:9]인 코바 효우자에몬[木場 兵左衛門]과 나카야마 게키[中山 外記], 칸야 지부[神谷 冶部] 등의 유능한 부하를 행정관으로 발탁함과 동시에 스스로도 진두지휘하였고 공사를 할 때는 각 마을에서 매일 2000~3000명이나 농민을 동원하여 그들에게 하루 쌀 2.7Kg씩 인건비를 지급했다.

 

 이 사업은 카츠나리가 죽은 후에도 계속되어 그가 빈고에 들어왔을 때인 1619년에 10만석이었던 것그 후 79년이 지난 1698년 미즈노 가이 카이에키[각주:10] 당했을 때는 1323백석으로 증가하였다.

 은거 후 소우큐우[宗休]라는 호()를 칭한 카츠나리가 이 세상을 떠난 것은 1651 3 15.

 향년 88세였다.

  1. 여담으로 이 당시 카츠나리의 아들 카츠토시의 진영에는 미야모토 무사시[宮本 武蔵]가 속해 있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2. 영지를 몰수하고 평민으로 강등시키거나 영토를 대폭 줄임. 마사노리의 경우는 시나노[信濃] 카와나카지마[川中島] 4만 5천석으로 줄었다. [본문으로]
  3. 군사(軍事)를 감독하는 직책 또는 사람. [본문으로]
  4. 후에 3대 번주(藩主)가 되는 카츠사다[勝貞] [본문으로]
  5. 용맹과감한 무장 혹은 남들이 세우지 못한 공적을 올린 맹장의 이름 또는 관도명[官途名 - 미카와노카미[三河守]나 휴우가노키미 같은 것[日向守]] 앞에 오니[鬼]라는 글자가 붙었다. [본문으로]
  6.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 直茂]의 적자. [본문으로]
  7. 선대(先代)는 츠츠이 가문[筒井家]의 우콘사콘[右近左近] 중 우콘인 마츠쿠라 시게노부[松倉 重信]....사족으로 사콘은 시마 사콘[島 左近]. [본문으로]
  8. 영지의 수입에 맞게 부역이 내려졌는데 시마바라번은 배 이상 부역을 자청했다. [본문으로]
  9. 번의 수상(首相) 격인 인물. [본문으로]
  10. 5대 번주 카츠미네[勝岑]가 2살의 나이로 죽어 후계자 단절로 인한 것이었다. [본문으로]

이케다 데루마사[池田 輝政]

1613 1 25일 병사 50

1564 ~ 1613.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의 유형제(乳兄弟)[각주:1]인 이케다 츠네오키[池田 恒興]의 아들. 코마키-나가쿠테 전투[小牧-長久手の戦い]에서 부친이 죽는 바람에 오오가키[大垣]성주가 된다.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에서 공을 세워 하리마[播磨] 하사받아, 히메지 성[姫路城]를 쌓았다. 후에 '서국 쇼우군[西 ][각주:2] 이라는 이명(異名)을 얻었다.









히메지 백만석


 이케다 테루마사의 할머니인 요우토쿠인[養徳院]이 오다 노부나가의 유모(乳母)였던 연()도 있어 테루마사는 어려서부터 노부나가를 가까이서 섬겼다. 노부나가가 죽자 하시바 히데요시[羽柴 秀吉]를 섬기며 중용(重用)받아 히데요시는 테루마사를 양자(養子)로 삼는다는 약속도 하였다[각주:3]. 그러나 나가쿠테의 전투에서 부친 츠네오키와 형인 요시스케[之助]가 전사한 후에는 이케다 가[池田]를 상속하여 미카와[三河] 요시다([吉田] 15 2천 석의 다이묘우[大名]가 되었다.


 1594 8월.
 테루마사는 히데요시의 중매로 토쿠가와 이에야[
川 家康]의 둘째 딸 토쿠히메[督姬][각주:4]를 후처로 맞이하였다. 히데요시가 죽은 뒤 일어난 세키가하라 전쟁[ヶ原の役]에서는 이에야스 편에 섰고, 공을 세워 하리마 52 1천 석이라는 큰 영토를 하사받아 히메지성에 입성했다. 입국한 다음 해인 1601년부터 성을 개축(改築)하기 시작하여, 1609년에 한 층 더 호화장대(豪華壯大)한 성곽이 완성되었다.


 가정면에서도 토쿠히메와의 사이에 5명의 남자아이가 탄생. 전처(前妻)의 아들인 장남 토시타카[利隆]는 둘째 치더라도 2남 타다츠구[継]는 다섯 살 때 외할아버지인 이에야스에게서 비젠[備前] 오카야마[岡山] 28 6천 석을 하사 받았을 뿐만 아니라, 3남 이하에게도 아와지[淡路], 하리마 안에 각각 영토를 하사받았기에 그런 영지들을 합쳐서 '히메지 백만석', '서국 쇼우군' 등으로 불렸다. 너무 과한 대우에 이에야스의 적남(嫡男) 히데타다[秀忠]가 질투하여,
 “
아예 테루마사에게 천하를 잇게 하는 것이 좋겠군요
 라고 삐쳤을 정도였다.


 사위와 장인이 되어서부터 급속히 토쿠가와 가문[徳川家]과 관계가 깊어진 테루마사이지만 토요토미 가문[豊臣家]의 은혜를 잊는 일 없이 어린 히데요리에 대한 배려를 게을리 하는 법이 없었다. 누나가 칸파쿠[白] 히데츠구[秀次]의 정부인이라는 것도 있어 토요토미 가문과는 깊은 연으로 맺어져 있었다.
 
히데요리가 니죠우 성[
二条城]에서 이에야스와 만났을 때도 옛 토요토미 가의 무장들과 함께 히데요리를 경호(警護)했으며, 1602년 정월 궁궐에 신년인사를 할 때도 테루마사는 히데요리를 대리해서 입궐하였다.


성내에 이변(異變)이 일어나다.


 1609 5월.

 천수각(天守閣)을 완성했을 때부터 히메지 성 안에서 이변이 자주 일어났다. 예를 들면,


 '
천수각의 한 방에서 17~8살 정도의 시녀가 12히토에[単][각주:5]를 입고 홀로 촛불을 들고는 혼자서 앉아있었다. 젊은 사무라이가 이상히 여겨 가까이 다가가자 빗을 건내 주었다. 그 빗은 천수각의 갑옷 상자 안[각주:6]에 있던 것이었다.'


 '심야(深夜). 맹인(盲人)이 나타나서 들고 있던 비파의 통을 열어보라고 하였다. 젊은 사무라이가 열어보려고 하자 맹인은 키가 3미터나 되는 귀신으로 변신해서나는 이 성의 주인이다라고 위협했다'


 같은 해 12 13일. 한 통의 이상한 편지가 성에서 발견되었다.
 보낸이는 '하리마의 주인인 대천신(大天神) 토우센보우()' '수도(首都) 니죠우[二条]의 센마츠'이며, 받은이는 테루마사와 토쿠히메 부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50~60장에 이르는 협박문이었다. 내용은,

토오토우미[遠江]의 요린보우라는 대천신(大天神)이 큐우린보우라는 천신(天神)을 꼬셔서 테루마사 부부를 저주하여 죽이려고 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성 안에 8층탑을 세우고 호마(護摩)의 비법을 익혀 기도하라.
 
또한 팔층탑안에 넣을 두루마기와 그림은 천축에서 이 나라에 전해진 두통 중 하나를 넣을 것. 한 통은 하리마 동쪽에 사는 유명한 목수인 히하라[
日原]가 몰래 가지고 있다. 호마는 온타케산[御嶽山] 산에 있는 시미즈 사[清水寺], 후나코시산[船越山] 산에 있는 루리 사[瑠璃寺] 등의 고명한 중을 스승으로 삶아 수련할 것.

등의 지시가 쓰여져 있었다. 테루마사는 몸집이 작은 사내였지만 용맹과감하고 침착한 사나이였기에 협박장을 무시했다.


 그러나 1611 12월.
 그는 갑자기 중풍에 걸렸다. 발병 당일. 테루마사는 가신의 집에 방문했다가 갑자기 쓰러져 가마로 성으로 돌아오는 도중 어디서 왔는지 모를 수 많은 까마귀들이 날아와 가마에 부딪혔다. 성에서 이변은 여전히 계속되었다. 이렇게 되자 아무리 테루마사라도 어쩔 수 없었다.


 타카 군[多可郡] 엔만 사[円満寺]의 묘우카쿠() 아사리에게 악마 퇴치, 국가 수호의 기도를 부탁했다. 37일간 성안에서 술법을 행한 묘우카쿠의 진언(進言)에 따라, 천수의 귀문(鬼門)에 해당하는 북동쪽에 팔층탑을 세우는 동시에 오사카베 신사[刑部神社]를 건립하였다. 오사카베 신사는 원래 히메야마[姫山] 산에서 지방신(地方神)을 모시던 신사의 건물을 히데요시가 히메야마 산에 성을 세울 때 산 아래로 옮겼기 때문에 신의 분노를 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테루마사의 중풍은 일시 회복했다. 성 안은 평온을 되찾았다. 하지만 다음 해 1월에 재발하여 테루마사는 피를 토했다. 이 때도 수 많은 까마귀가 날아와서 창호지에 부딪혔다. 마당에 죽은 솔개가 두 마리 떨어져 있는 것을 보고, 아타고[愛宕][각주:7] 신자인 테루마사는 이 일울 흉한 일이 있을 징조라 생각하여 더욱 병이 깊어졌다. 이에야스가 중풍의 묘약을 보내왔지만 테루마사는 25일 오후. 숨을 거두었다.


 이에야스는,

 "그런가…… 죽었는가. 뭐든지 아타고에게 의존한다고 천하를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라고 중얼거렸다고 한다. 이에야스는 천하를 노리고 있던 테루마사의 마음 속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1. 같은 여인의 젖을 먹고 자란 사이. 높은 집안의 아이는 모친의 젖이 아닌 다른 사람의 젖을 먹는 풍습이 있었는데 노부나가는 유두를 물어 뜯는 버릇이 있었다고 하지만 츠네오키의 모친의 젖만은 얌전히 먹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2. 칸토우[関東]의 토쿠가와 쇼우군[德川 将軍]만큼 권세와 힘이 있다는 뜻에서. [본문으로]
  3. 실제로 히데요시의 양자가 된 것은 테루마사의 동생 이케다 나가요시[池田 長吉]. [본문으로]
  4. 오다와라[小田原]의 호우죠우 우지나오[北条 氏直] 부인이었으나 우지나오의 죽음으로 친정으로 돌아와 있었다. [본문으로]
  5. 귀족 여성의 정복. [본문으로]
  6. 평시에는 열지 못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본문으로]
  7. 일본의 종교인 신도(神道)에서는 불을 막는 신이지만, 신불습합 사상에 따라 불교의 승군지장[勝軍地蔵 – 지장보살의 군신(軍神)일 때의 이름]과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 [본문으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小早川 秀秋]

1602 10 18일 병사(病死) 21

1582~1602.

키타노만도코로[北政所][각주:1]의 오빠인 키노시타 이에사다[木下 家定]의 아들. 처음은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이어서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 隆景]의 양자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ヶ原の戦い]에서는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가 승리할 수 있도록 서군을 배신하여 빈고[備後], 빗츄우[備中], 미마사카[美作] 50만석 다이묘우[大名]가 되지만 곧 젊은 나이에 죽었다.









역사를 바꾼 선택


 코바야카와 히데아키의 이름을 단번에 알린 것은 다름 아닌 1600년의 세키가하라 전투[ヶ原の戦い]. 하지만 히데아키는 그 2년 뒤인 21살의 나이에 죽어버렸다. 따라서 히데아키에게 있어서 말년은 그 2년간이라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세키가하라 전투 전날 밤. 코바야카와 히데아키를 서로 자기 진영에 끌어들이기 위한 모략 싸움이 활발히 펼쳐졌다. 하지만 결전 당일인 9 15, 히데아키는 고민 끝에 아군인 서군을 배반하고 동군에 내응을 결심하여 머물고 있던 마츠오 산[松尾山]을 내려와 오오타니 요시츠구[大谷 吉継]의 진영을 급습한 것이다. 히데아키의 배반에 당황한 서군의 여러 다이묘우[大名]들은 연달아 무너져 결국 서군이 괴멸된 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이 전투로 인해서 동군의 총대장 토쿠가와 이에야스의 패권(覇權)이 확정된 것이나 마찬가지이기에 직접적인 승리의 요인은 히데아키의 결단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10 15일 논공행상에서 히데아키는 큐우슈우[九州]치쿠젠[筑前], 치쿠고[筑後]에서 서군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의 영지였던 비젠[備前], 미마사카 57만석으로 가증(加增) 이봉(移封)되어 오카야마 성[岡山城] 거성으로 삼았다.


 하지만 비젠의 오카야마 성으로 옮겼을 즈음부터 히데아키의 운명은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

 히데아키는 예전보다 더 술을 즐기기 시작하였고 그것도 날이 갈수록 더 마시게 되어, 쿄우토[京都]에서 죽은 타이코우[太閤] 히데요시를 공양하며 여생을 보내고 있던 양어머니 키타노만도코로를 걱정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히데아키는 1582년 키타노만도코로의 오빠인 키노시타 이에사다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나 3살 때 히데요시 부부의 양자가 되어 토요토미 가문[豊臣家]의 후계자로 길러졌다.

 히데요시 부부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히데아키는 당대 제일의 문화인으로 알려진 쇼우고인 도우쵸우[聖護院 道澄]에게 글자를 배우거나 와카[和歌] 그리고 케마리[蹴鞠][각주:2]를 할 때의 손 움직임, 축이 되는 발의 움직임 등도 단번에 습득할 정도로 똑똑한 소년이었기에 기대를 받았다고도 한다.


 하지만 1593년에 히데요시에게 자신의 피를 이은 히데요리[]가 태어나자 히데아키는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의 양자가 되었다. 이것은 히데아키가 토요토미 가문의 후계자 후보에서 제외된 것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히데요시는 히데아키를 친족으로 중히 여겨 1597년 조선 재출병[각주:3] 때에는 총대장으로 파견하였다.


 일설에 따르면 코바야카와 가문에 양자로 보낸 히데아키를 불쌍히 여긴 히데요시는 살아 생전에 히데아키가 바라는 것이 있으면 내가 말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어떠한 것이건 들어주길 바란다고 키타노만도코로에게 부탁했다고 한다.

키타노만도코로에게 보낸 히데아키 자필(自筆) 돈 차용증.


매사냥 직후의 급사(急死)


 1602년 초두에 히데아키는 이름을 히데아키라[秀詮]로 개명하였다.

 이는 전년에 일어난 - 히데아키에게 간언(諫言)한 스기하라 키이노카미 시게마사[杉原 紀伊守 重政]를 죽인 사건이나, 숙노(宿老)인 이나바 마사나리[稲葉 正成][각주:4]를 쫓아 낸 사건 등 가문 내의 혼란에 종지부를 찍고 새롭게 나아가겠다는 의미에서 개명했다고 생각한다.


 그 즈음 히데아키는 쿄우토[京都]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던 고모 겸 양어머니인 키타노만도코로에게 자주 편지를 보냈고 어떤 때는 황금 50(500)이라는 거금을 키타노만도코로에게 빌리기도 했다. 사용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사건이 일어나는 등 혼란 속에서 술에 빠져 평판이 좋지 못한 히데아키를 키타노만도코로는 죽은 히데요시와의 약속을 지키면서 마지막까지 뒤를 돌봐준 것이라 생각된다.


 히데아키가 죽은 것은 키타노만도코로에게서 거금을 빌린 불과 반년 후인 10 18일. 향년 21살이었다.

 사인(死因)에는 여러 설이 있어 확실치 않지만 세키가하라 전투[ヶ原の戦い]에서 동서 양군의 내응 공작에 마지막까지 고민한 끝에 결국 아군을 배신한 행위를 부끄러워하여 양심의 가책과 주위의 비난에 견딜 수 없어 미쳐 죽었다고도 한다.


 죽기 직전인 10 15일.

 매사냥을 하러 나갔던 히데아키는 해가 저물어서 성으로 돌아왔지만 기분이 좋지 않다고 말한 채 눕자마자 인사불성이 되었다. 다음 날에는 숨이 중간에 멈추기도 하여 놀란 측근들이 쿄우토[京都]에 파발을 보내기도 했다. 17일에 잠깐 눈을 떴지만 다음 날 새벽에 죽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히데아키가 죽기 3일 전인 15일에 형인 키노시타 토시사다[木下 俊定]도 급사하였기에 그 죽음에는 이상한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1. 히데요시의 정실(正室) 네네[寧々]를 말함. [본문으로]
  2. 과거 일본에서 행해진 축구의 리프팅과 같은 경기. 여러 명이서 사슴 가죽으로 된 공을 떨어뜨리지 않고 발등으로 서로 주고 받는 경기. [본문으로]
  3. 정유재란을 이름. [본문으로]
  4. 아직 이 때의 성은 하야시[林]였다. 코바야카와 가문을 떠난 후 미노[美濃] 이나바 시게미치[稲葉 重通 – 이나바 잇테츠[一鉄]의 서장자(庶長子)]의 사위가 되어 성을 ‘이나바’로 바꾸었다. 여담으로 이때 결혼한 것이 후에 카스가노츠보네[春日局 – 3대 쇼우군[将軍] 이에미츠[家光]의 유모]이다. [본문으로]

우키타 히데이에[宇喜田 秀家]

1655 11 20일 병사 84.

1572~1655.

우키타 나오이에[宇喜多 直家] 적자(嫡子).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 섬기며 천하통일에 공헌. 분로쿠의 역[文禄の役][각주:1] 케이쵸우의 역[慶長の役][각주:2] 공을 세워 오대로(五大老)[각주:3] 사람이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ヶ原の戦い]에서는 서군의 주력이었다. 그러나 패하여 사츠마[薩摩] 도망 가지만 후에 잡혀서 하치죠우지마[八丈島] 섬으 유배당했다.









영광에서 좌절로


 우키타 나오이에는 센고쿠[戦国] 효웅(梟雄)으로 공포의 대상이었 우키타 나오이에의 세자(世子), 1572년에 비젠[備前] 오카야마 성[岡山城]에서 태어났다.
 시대는
신흥세력인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 선봉으로 하리마[播磨]로 진출해 온 하시바 히데요시[羽柴 秀吉]의 세력과 츄우고쿠[中国]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가 패권을 놓고 싸우던 시기였기에, 그 사이에 낀 우키타 씨()는 어느 쪽에 붙을지 고민 하던 때였다. 결과적으론 히데요시 쪽에 붙게 되어 히데이에는 불과 10살의 나이로 히데요시를 후견인 삼아 가독(家督)을 상속하게 되었다.

 히데요시의 이름 중 한 글자를 얻어서 지은 '히데이에[秀家]'라는 이름이 나타내듯이 그의 일생은 토요토미 씨()의 번영과 함께 했다고 할 수 있다.


 연표(年表)처럼 그의 영달 과정을 적어보면,

  1. 1585(13). 시코쿠[国]의 쵸우소카베 씨[長宗我部氏]와의 전쟁에서 데뷔 전을 장식했다.

  2. 1587(15). 큐우슈우[九州]의 시마즈 씨[島津氏]와의 전쟁에 종군하였고 그 싸움이 끝난 후에는 종삼위(從三位) 산기[参議]에 서임(敍任).

  3. 1589년(17세). 카가[加賀] 카나자와 성[金沢城]의 성주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의 넷째 딸로 어려서부터 히데요시의 양녀가 되어 있던 고우히메[豪姫]와 결혼.

  4. 1594(22). 분로쿠의 침공[각주:4] 때. 6군의 주장(主將)으로 바다를 건너 벽제관의 싸움에서 쿠로다 나가마사[黒田 長政]등과 함께 명나라의 장수 이 여송군을 대파하였다. 이 때의 공적으로 곤츄우나곤[権中納言]에 서임.

 식으로 항상 토요토미 정권을 지탱하는 중신으로 활약하여, 히데요시에게 오대로(五大老)의 한 사람으로 임명받았을 때는 아직 26세의 청년 다이묘우였다. 하지만 호사다마(好事多魔)라는 말이 있듯이 히데이에의 영광은 지속되지 않았다.


 1600 9월.
 미노[美濃]
세키가하라[ヶ原]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히데이에는 당연히 서군(西軍)인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 1 6천 여라는 최대의 군세를 이끌고 참전하였다.
 방관을 하던 장수들이 많은 서군에서 그가 싸우는 모습은 단연 돋보였다. 그러나 서군이 패배함에 따라 히데이에는 명예나 지위를 모두 잃게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쟁에서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잃은 히데이에는 미노[美濃] 카스카와[粕川] 골짜기에서 이틀간 떠돈 끝에 패잔병을 노리는 노부시[野武士][각주:5] 무리에게 포위 당하지만, 두목인 야노 고로우자에몬[矢野 左衛門]은 히데이에의 인품에 반하여 반대로 히데이에 일행을 자기 집에 숨겨주었다. 그리고 우키타 가의 가보(家寶)이며 히데이에가 차고 다니던 쿠니츠구[次]의 긴 칼[太刀]을 고로우자에몬이 토쿠가와 쪽에 바쳐서 히데이에가 죽었다고 위장했다고 한다.


 이렇게 엄중한 탐색을 피하면서 시간을 번 일행은 고난의 도피행 끝에 오오사카의 우키타 가저택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처()인 고우히메와의 재회를 기뻐할 틈도 없이 히데이에 일행은 사츠마의 시마즈 요시히로[島津 義弘]를 의지하여 도망쳤다.


종언의 땅, 하치죠우지마 섬으로 유배


 히데이에 주종(主從) 오오스미[大隈] 키모츠키 군[肝属郡] 타루미[垂水]의 호족인 히라노 씨[平野氏]의 집에 숨겨졌다.


 그 후 1603 9월.
 시마즈 타다츠네[島津 忠恒][각주:6]
마에다 토시나가[前田 利長][각주:7]의 조명탄원(助命嘆願) 덕분에 사형을 면한 히데이에는 스루가[駿河] 쿠노우 산[久能山]에 유폐(幽閉)되었, 그 후 3년 뒤인 1606 4 적자(嫡子)인 히데타카[秀高], 가신(家臣) 12명과 함께 하치죠우지마 섬으로 유배되었다.

 이 당시 히데이에 34세.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큐우후쿠[休福]'란 호()를 칭하고 있었는데 이 때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운명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고 생각한다.


 한때 50만석 넘게 영유[각주:8]하고 있던 비젠[備前] 태수(太守)였기에 섬에서의 생활은 힘들었음에 틀림이 없다. 섬의 대관[代官][각주:9]인 키쿠치 사콘[菊池 左近]에게 식량을 빌려달라고 요청한 적도 있었다. 처() 고우히메의 친정 마에다 가문에서는 1614 이후 1년 터울로 생활물자가 보내졌다고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치 못하여 섬사람들에게 보리 빌리지 못하면 생활할 없던 적도 있었다고 한다.


 패군의 장수가 되었을 죽음을 선택했다면 이러한 고생도 맛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데이에가 유배생활을 50년이나 계속할 있었던 것은, 산다는 자체에 의미를 두고 담담히 살고자 하는 인생철학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1655
11 24일. 84세로 사거(死去)했다.

하치죠우지마 섬[八丈島]에 있는 히데이에의 묘.

  1. 임진왜란. [본문으로]
  2. 정유재란. [본문으로]
  3.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 모우리 테루모토[毛利 輝元],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 [본문으로]
  4. 임진왜란을 말함. [본문으로]
  5. 무장 농민집단. [본문으로]
  6. 요시히로의 셋째 아들로 사츠마번[薩摩藩]의 초대 번주(藩主). [본문으로]
  7. 토시이에[利家]의 첫째 아들로 히데이에의 부인 고우히메[豪姫]의 오빠. 카가 번[加賀藩] 초대 번주. [본문으로]
  8. 약 54만 7천석. [본문으로]
  9. 섬의 지방관. [본문으로]

혼간지 켄뇨

일본서적 번역/전국무장의말년(了) 2007. 6. 23. 23:16 Posted by 발해지랑

혼간지 겐뇨(本願寺 顕如)

1592 11 24일 병사 49

1543~1592.

쟁토진종(爭土[각주:1]) 혼간 사(本願)의 승() - 이하 혼간지로 통일 -. 11세 종주(宗主)가 되어 혼간지를 세습하였다. 이시야마(石山) 혼간지에서 물러나길 원하는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와 충돌. 후에 키이(紀伊)() 사기노모리(鷺森)로 물러났다. 12세 쿄우뇨(教如)와 의절한 것이 후에 혼간사()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노부나가와의 10년전쟁


 [켄뇨(顕如)]는 법명(法名)으로 이미나([각주:2])는 코우사(光佐) 일반적으로는 [혼간지 켄뇨(本願寺 顕如)]라 불리고 있다. 혼간지 10세인 쇼우뇨(証如)의 첫째 아들로 13살에 제 11세가 되어 종주가 되었다.


 1559
년. 오오기마치(正親町) 텐노우(天皇)의 즉위 비용을 헌상하여 승정(僧正[각주:3])이 되어 몬제키(門跡[각주:4] )에 준하게 되었다. 뇨슌니(如春尼) - 그녀의 언니는 타케다 신겐(武田信玄)의 부인 와 결혼하여 쿄우뇨(教如)나 쥰뇨(准如) 등의 아이들을 얻었다.


 1570년. 오오사카(大坂) 이시야마에 있는 혼간지에서 퇴거(退去)를 요구하는 오다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든 이후 10년에 걸친 싸움에 도전하여 자주 노부나가를 고난에 빠뜨렸다. 켄뇨는 노부나가와 대립하는 동안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 義昭), 아자이 나가마사(長政), 아사쿠라 요시카게(朝倉 義景), 타케다 신겐(武田 信玄), 모우리 씨(毛利)와 동맹을 맺고 또한 각 지역의 문도(門徒)들을 동원하여 노부나가와 대결하였다. 그러나 타케다 신겐이나 아자이 나가마사 등의 죽음으로 인하여 동맹은 와해되었으며 각지의 문도 집단도 괴멸. 거기에 이시야마 혼간사()가 포위당하기에 이르르자 1580 3월에 오오기마치(正親町) 텐노우(天皇)의 칙명에 따라 노부나가와 화해하고 다음 달인 4월 키이(紀伊)의 사기노모리(鷺森)로 거처를 옮긴다.


 이때 철저항전을 주장하는 첫째 아들인 쿄우뇨와 대립하여 부자(父子) 관계를 의절했다. 이 의절이 중신이나 문도 사이의 대립을 낳아 후에 혼간지가 동서로 분열되는 원인이 되었다.


혼간지 재흥(再興)과 발병


 노부나가가 죽은 후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는 켄뇨에게 접근하여 문도 집단의 회유(懷柔)를 꾀했다. 히데요시는 우선 켄뇨를 이즈미(和泉) 카이즈카(貝塚)로 옮긴 후 키이의 사이카(雑賀)()을 공략하여 혼간사지 세력이 강한 땅을 빼앗았다.


 이시야마 혼간사()가 있던 곳에 오오사카 성()을 쌓은 히데요시는 텐마(天満)에 절터를 주어 혼간지를 재흥시켰다. 켄뇨와 그의 부인인 뇨슌니는 히데요시나 키타만도코로(北政所[각주:5])에게 때때로 다회(茶會)에 초대받는 등 친교를 맺었다.
 텐마의 혼간사
() 예전과 같이 슈고(守護)의 힘이 미치지 않는 등
[각주:6]의 특권을 인정받지 못하였으며 히데요시 정권의 지배 아래 놓여졌다. 켄뇨도 히데요시 권력의 비호(庇護) 아래 들어가는 감으로써 혼간사()의 존립을 꾀하려 했던 것이다. 히데요시는 종교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서 1591년에 혼간지를 쿄우토(京都)의 호리카와(堀川) 로쿠죠우(六条)로 옮겨가도록 명령했다. 1년 후 현재의 니시혼간지(西本願寺)의 땅에 건립되었다.


 그 동안 켄뇨는 자주 병에 걸려 아리마(有馬)의 온천에서 요양을 하고 있었다. 그 병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절에 대한 사무를 보는데 지장은 없었던 듯하다.


혼간사(), 동서(東西)로 나뉘다.


 1592 11 20일.
 켄뇨는 새벽 수행을 끝내고
불전 청소를 끝낸 후에 갑자기 쓰러졌다. 본사(本寺) 이전에 따른 마음의 피로가 쌓였던 것일까? 병명은 [중풍]이었다.


 켄뇨와 친했던 쿠교우(公卿)인 야마시나 토키츠구(山科 言継)의 일기 [토키츠구 경기(言繼卿記)]에는,

11 20일. 몬제키[각주:7]. ()시에 큰 중풍에 걸리다. 즉시 여러 명의(名醫)를 불러 치료하게 했지만 나아질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회복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발병한지 4일 후인 24일. 명의들의 치료도 보람 없이 [()시에 죽다](言繼卿記)고 쓰여있는 것을 보면 점심 지나서 죽은 듯하다. 향년 49.


 12세 종주의 자리에는 장자(長子)인 쿄우뇨가 계승하지만 곧이어 뇨슌니가 '켄뇨는 셋째인 쥰뇨를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양도장(讓渡狀)을 히데요시에게 제출함에 따라 사태는 급변하였다. 그 결과 히데요시의 판정에 따라 쿄우뇨는 은거의 몸이 되었고 17살인 쥰뇨가 혼간지의 법주 자리를 잇게 되었다.


 이 판정에 불만을 품은 쿄우뇨와 문도들은 세키가하라(ヶ原) 전투 후에 권력을 장악한 토쿠가와 이에야스(德川 家康)에게 접근하여 그 비호 아래서 카라스마루(烏丸) 로쿠죠우(六条)에 절(현재의 히가시혼간(東本願寺))를 건립하게 된다.


 켄뇨는 혼간사()의 분열을 우려하여 쿄우뇨와 화해했지만 이시야마 혼간사()의 퇴거를 둘러싼 싸움은 켄뇨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가 죽은 후에 교단을 둘로 나뉘는 대립을 만들어 버린 것이다.

<사기노모리(鷺森)에 있는 니시혼간사(西本願)사(寺)별원(別院)[和歌山市]>
  1. 한 번이라도 진실된 마음으로 염불을 외우면 구원받을 수 있다고 하여,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던 하층민이나 농민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함. [본문으로]
  2. 실제 이름. 그러나 실제 이름은 영적인 것이라 하여 생전에는 부르지 않았다. [본문으로]
  3. 일본 승위승관(僧位僧官)의 관리 중 하나. [본문으로]
  4. 황족 혹은 귀족이 출가한 절 또는 주지를 말한다. [본문으로]
  5. 히데요시의 정부인. [본문으로]
  6. 즉 세금이나 부역에 종사하지 않아도 되었다. 수호불입(守護不入)이라 한다. [본문으로]
  7. 켄뇨를 이름. 이 당시 몬제키에 준하는 위치를 점하고 있었기에 이 때부터 몬제키는 혼간사의 주지를 이르는 속칭이기도 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