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츠다이라 키요야스[松平 清康]
마츠다이라 키요야스[松平 清康]

1535년 12월 초순.
13살에 가독을 이은 뒤 파죽지세로 마츠다이라 종가[松平 宗家]의 세력을 넓히고, 종가에 개기던 서가(庶家)를 가신단으로 편입시켰으며, 후다이 가신단[譜代家臣団]을 조직화하고, 직할지 농민 지배기구의 정비, 성 밑 마을[城下町]을 만드는 등 착착 센고쿠 다이묘우[戦国大名]의 길을 걷던
미카와[三河]의 마츠다이라 키요야스[松平 清康][각주:1]는 이웃나라 오와리[尾張]의 오다 노부히데[織田 信秀][각주:2]를 공격하기 위해 오와리의 모리야마[守山/森山][각주:3]란 곳으로 진출하였습니다.

 

 분열된 마츠다이라 종가와 서가와의 사이를 이간질해 미카와에 진출하려는 오다 가문[織田家]을 정벌하기 위해서 였습죠. 그렇습니다. 마츠다이라 가문은 종가와 서가간에 싸움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어련하면 ‘열 여덟 마츠다이라[十八松平]’라고 할 정도로 많은 그리고 독립적인 서가가 있었으며 그런 서가 중 실력자로 나이젠 노부사다(wike_jp)[松平 内膳 信定]가 있었습니다. 족보 상으로는 키요야스 아비의 동생 즉 키요야스에게는 작은 아버지가 됩죠.

 

 노부사다는 실력도 실력이지만 인척들을 구성하는 외교에도 뛰어나, 자신의 부인은 오다 노부히데의 여동생이었으며, 노부사다의 딸들은 오와리 모리야마 성[守山城]의 성주인 오다 노부미츠[織田 信光]의 부인을 시작으로 카리야[刈谷]의 미즈노[水野], 마츠다이라 서가인 오오규우[大給], 나가사와[長沢] 가문에도 시집을 보내어 거대세력을 쌓고 있었습니다. 그런 노부사다에게 종가라고는 하나 날뛰는 25살의 애송이 조카 녀석이 꼴보기 싫었습니다.

 

 그렇기에 이 오와리 원정에는 따라가지 않았습니다. 병에 걸려서 못 나갑니다~ 하고 꾀병을 부렸습죠. 키요야스가 이끄는 미카와 군세가 이겨보았자 그 공은 전부 키요야스가 차지하게 되고 또한 그렇게 키요야스는 더 커질테니까요. 그래서 원정 참가를 하지 않는 대신 방해를 합니다. 내부의 적은 항상 있는 법입죠.

 

 키요야스를 지탱하는 유력한 가로 중에 아베 오오쿠라[阿部 大蔵][각주:4]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뛰어난 내정 수완을 보이고 있었다고 합니다. 키요야스가 저렇게 매년 전쟁을 하는 것도 다 자기가 후방에서 지원을 잘 해주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을 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노부사다는 저 아베 오오쿠라와 키요야스 사이를 갈라놓기 위해서 여러 소문을 퍼뜨립니다. 아베가 오다 가문과 내통하고 있다건가, 아베가 잘난 척을 많이 한다던가 하는…식이었을 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그런 소문을 퍼뜨렸다고 합니다. 키요야스도 평소부터 아베에게 거리낌이 있었는지 그 소문을 곧바로 믿고 아베 오오쿠라와 자주 다투게 됩니다.

 

 그런 소문과 키요야스의 행동 때문에 상처 입은 아베 오오쿠라는 모리야마의 본진에서 아들 아베 야시치로우[阿部 弥七郎]에게 말합니다.
 “만약 뜬소문 때문에 내가 죄를 받으면 후대까지 오명을 입게 된다. 나는 결코 그렇지 않다. 내 무죄를 신께 맹세하는 기청문(起請文)을 쓰니 니가 가지고 있으렴”
 아비의 투덜거림과 기청문을 받은 야시치로우는 기분이 좋지 않았습니다. 뜬소문만 믿고 공이 많은 자신의 아비를 핍박하는 주군 키요야스가 너무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다음 날. 12월 4일.
 키요야스의 본진을 둔 절에서 무슨 일 때문인지는 모르나 말이 놀라 날뛰는 헤프닝이 일어났습니다.
 말이 도망가지 못하게 병사들이 소리질렀습니다.
 “도망 못 가게 해~ 문을 어서 닫아~”

 

 이 ‘도망 못 가게 해, 문을 닫아’라는 소리를 들었을 때 야시치로우는 하필 아비와 떨어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상황에 있었기에 병사들의 저 외침은 날뛰는 말이 아니라 아비를 지칭한다고 오해하였습니다. 아비를 도망치게 해야 한다는 생각에 그렇게 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을 취했습니다. 아비를 구하러 찾아다니다가 시간낭비를 하느니, 어디에 있는지 뻔한 키요야스를 찾아 죽이는 것입니다. 말잡이 소동을 진압하기 위해 지휘를 하고 있던 키요야스 곁에는 부하들도 말 잡으러 갔기에 혼란스러웠고 사람도 적었습니다. 아무 제지 없이 키요야스의 뒤로 다가간 야시치로우는 칼을 뽑아 “도망치게 하지 마라”고 외치는 키요야스의 등 오른 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까지 베었습니다. 키요야스는 그 자리에서 사망. 아베 야시치로우도 키요야스의 비명을 듣고 달려온 검의 명수 우에무라 데와노카미[植村 出羽守]에게 죽습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이나마 토우카이도우[東海道]에서 무명을 떨치던 키요야스가 죽어, 그의 아들이며 이에야스의 아비인 히로타다는 불과 10살의 나이에 가독을 이엇고, 종가를 쓰러뜨리려는 나이젠 노부사다에게 미카와에서 쫓겨나 이세[伊勢], 스루가[駿河]를 전전하게 됩니다.

 

 이상이 모리야마의 변에 대한 통설입니다.
 ...하지만 말입죠.

미야시타 히데키[宮下 英樹]의 오케하자마 전기 2권. 나카무라 촌[中村村]의 킨스케[均介]
제가 나카무라 촌[中村村]의 킨스케[均介]처럼 현장에 직접 가서 의문을 느끼진 못 했지만, 알려진 통설에는 의문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습죠.

계속~ (두둥~) 2011.03.07 - [일본사 이것저것] - ckyup님께 바치는 조공 - 모리야마의 변[森山崩れ] #2

 

ckyup님께 바치는 조공 - 모리야마의 변[森山崩れ] #2

2010.12.13 - [일본사 이것저것] - ckyup님께 바치는 조공 - 모리야마의 변[森山崩れ] 에 이어서 ☞ 링크 중 한문에 링크가 걸린 것은 위키피디아 일본판으로 점프합니다.모리야마의 변[森山崩れ]에

valhae.kr

 

 

  1.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의 할애비 [본문으로]
  2.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의 애비 [본문으로]
  3. 오다 측 기록에선 守山, 토쿠가와 측 기록에선 森山. 둘다 발음은 동일. [본문으로]
  4. 위키에는 아베 사다요시[阿部 定吉]라는 휘(諱)가 있으나, 당시 기록은 그냥 '아베 오오쿠라[阿部 大蔵]라 하였다고 한다. [본문으로]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 秀吉] 정권의 상징과도 같은 오오사카 성[大坂城]이 세워진지 얼마 지나지 않은 1586년 2월 21일. 혼간지 켄뇨[本願寺 顕如]의 문서담당관[右筆]인 우노 몬도[宇野主水]의 일기[각주:1]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요즘 '천명 베기[千人斬り]'라 하여 오오사카 시내에서 노동자 등 수없이 많은 사람이 살해당했다고 한다. 여러 소문이 돌고 있다. 오오타니 키노스케[大谷 紀之介]라는 소성(小性) 중 하나가 자신이 걸린 악성 종양(惡瘡)을 치유하기위해 천 명을 죽이고 그 피를 마시면 낫는다는 말을 듣고 그리한다는 소문이 있다.
此の頃、千人斬りと号して、大坂の町中にて人夫風情のもの、あまた討ち殺す由、種々風聞あり。大谷紀ノ介と云う小姓衆、悪瘡気につきて、千人殺してその血をねぶれば彼の病平癒するとて此の儀申し付く云々、世情風聞なり

여기서 나오는 오오타니 키노스케[大谷 紀之介]는 훗날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役]에서 패배할 줄 알면서도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와의 우정을 지켜 서군(西軍)에서 싸우다 죽은 사람으로 유명한 오오타니 요시츠구[大谷 吉継]를 말합니다. 일본에선 나름 '고결(高潔)'한 사람으로 꼽히는 듯합니다.

범인이 처음 등장한 것은 전년도인 1585년 11월 27~28일 사이.
그때까지 이런 소문이 떠돈다는 것조차 몰랐던 히데요시는 격노하였습니다.

"이런 일이 있는데도 보고조차하지 않다니 직무태만이다. 담당자[町奉行]들을 죽여야 마땅하겠지만 우선 목숨만은 살려둔다"
히데요시의 분노는 당연했습니다. 전년 1585년 7월 텐노우[天皇]의 대리인인 칸파쿠[関白]에 임명되었으며 본거지로 정한 오오사카의 성과 도시도 막 완성되어 일본 전역에 자신의 위광을 과시하고자하였는데 발생한 치안사건이었기에 히데요시의 분노는 컸습니다.

님들아~ 이젠 일본의 평화는 제가 지킬께요! - 라며 히데요시가 총무사령[惣無事令][각주:2]을 반포한들, '지 본거지하나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놈이 무슨 일본 운운이냐?'라는 비웃음만 돌아올 테니까요.

미담의 세계에선,
"범인은 오오타니 키노스케라고 합니다. 이유는 자기 병을 고치기 위해서 천 명을 죽이고 그 피를 마시면 낫는다는 말을 듣고 그러는 것 같습니다."
라는 담당관들의 보고에,
"허허~ 키노스케가 그럴 리 없지"
라고 웃으며 히데요시는 단박에 물리쳤기에[각주:3] 오오타니 요시츠구[大谷 吉継]는 그 이야기를 전해 듣고 히데요시에게 충성을 맹세했다고 합니다.

우선 미담의 세계에서 빠져나와...

히데요시는 우선 담당관 세 명에게 근신처분을 명합니다.
너무 늦은 보고, 거기에 말도 안 되는 소문을 바탕으로 보고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히데요시는 범인에게 황금 10매(枚)를 현상금으로 걸었습니다.

범인이 잡혔습니다.
우키타 지로우쿠로우[宇喜多 次郎九郎].
성씨가 우키타[宇喜多]인 것으로 보아서는 히데요시의 유자(猶子)인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지로우쿠로우는 히데요시의 친위대[馬廻]에 속했던 자로, 오오사카에서 천 명베기[千人斬り]를 칭하며 사람들을 살해하다가 발각되어 히데요시에게 자살을 명령받아 3월 3일 자살합니다.

그러나 범인으로 지목된 우키타 지로우쿠로우가 죽은 바로 그날 저녁인 3월 3일에 5명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또 일어나게 됩니다. 이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정말 오오타니가 한 것이 아니냐고들 쑤군거렸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이에 언급하는 기록이 없기에 어떤 결말로 끝이 났는지 모릅니다.
적어도 이 이후 오오타니의 활약과 출세를 보건대 범인이 요시츠구가 아니었던 것만은 확실합니다.
오히려 히데요시는 비록 명목상이긴 하나 바로 이해인 1586년 7월 사법을 다스리는 부서 형부(刑部)의 차관 교우부노쇼우[刑部少輔]에 요시츠구를 임명합니다. 아무리 히데요시라도 살인사건의 용의자에게 사법 담당관에 임명하지는 않았을테니 말입니다.

뭐 예나 지금이나 편견이 문제입죠. 

  1. 우노몬도일기[宇野主水日記]는 사료가치가 높은 일급사료로 유명하다고 한다.별칭 '카이즈카 어좌소일기[貝塚御座所日記]', '이시야마혼간지 일기[石山本願寺日記]' [본문으로]
  2. 사투 금지령(私鬪禁止令). 한 마디로 싸우지 말라는 소리. 텐노우[天皇]의 대리인 칸파쿠[関白]의 이름 하에 반포했기에 히데요시는 이를 어긴 큐우슈우[九州]의 시마즈 가문[島津家], 칸토우[関東]의 호우죠우 가문[北条家]을 공격할 수 있는 대의명분을 얻었다. [본문으로]
  3. 요시츠구가 범인이래요~ 라고 보고하는 담당관에게 칼을 뽑고 다가가 죽이려 했다는 말도 있습죠.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