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 모토나리[毛利 元就]
1571년 6월 14일 병사(病死) 75세
1497년 ~ 1571년.
아키[安芸]의 센고쿠 다이묘우[戦国大名]. 원래는 지방 호족(国人)으로, 오오우치 씨[大内氏]를 신종(臣從)하였지만, 스에 타카후사[陶 隆房]를 이츠쿠시마[厳島]에서 물리치고 스오우[周防], 빗츄우[備中], 빙고[備後], 이와미[石見]를 평정(平定). 이즈모[出雲]의 아마고 씨[尼子氏]를 멸망시켜 츄우고쿠[中国] 지방 10개 국을 지배. 북부 큐우슈우[九州]에서 오오토모 씨[大友氏]와도 싸웠다.
진두(陣頭)에 선 노장(老將)
모우리 모토나리가 형식적이기는 하지만 가독을 큰 아들인 타카모토[隆元]에게 물려주고 은거한 것은 오오우치 씨(氏)를 멸망시킨 1557년으로 그의 나이 60세일 때였다. 그 이후 모우리 가문[毛利家]의 문서에는 타카모토의 후견인이라는 입장으로 서명(署名)을 함께 쓰게 되었다.
그러나 들불처럼 영지를 넓혀가 아키[安芸], 빈고[備後], 스오우[周防], 나가토[長門]의 4개 쿠니[国]의 맹주(盟主 1)가 된 모우리 일족이다. 그로 인해 타카모토에게는 자신이 그것을 지키기엔 부담이 크다며 아비 모토나리의 편안한 은퇴 생활을 허용할 턱이 없었다. 정신차려 보니 은거는 커녕 타카모토의 책략에 말려들어 그 후에도 여전히 진두에 서서 전장(戰場)을 내달리고 있었던 것이다.
모토나리의 은거 선언
이 상태로는 모우리 가문의 융성(隆盛)은 전적으로 자기 혼자만의 위업이라고 인식되어, 세간에는 가독을 이은 타카모토의 위엄이 서질 않게 된다. 상대 성을 탈취하는 데는 쿠니[国]와 구니[国]간에 정신적인 우열이 크게 좌우한다.
타카모토도 이제는 35살. 지금 모우리 가문 필요한 것은 외부에서 보는 타카모토의 두령(頭領)으로서의 위엄이다. 모토나리는 굴지의 지장(智將)으로 물러날 때를 판단할 수 있는 위대한 현자(賢者)이다. 물러날 때는 지금밖에 없다. 더군다나 조금씩 피로도 느끼기 시작했다. 아키[安芸] 사토우[佐東]에라도 은거시켜 달라는 말을 꺼내 보자[毛利家文書]
이제는 완전히 쉬고 싶다는 이야기는 카츠라 모토타다[桂 元忠]에서 타카모토에게 전해졌다.
타카모토는 깜짝 놀라, 그거야 말로 모우리 가문을 망하게 하는 길이라고 침을 튀기며 되받아 쳤다. 우선 문서로 동생들이며 모우리 양천[毛利 両川 2]인 킷카와 모토하루[吉川元春], 코바야카와 타카카게[小早川 隆景]에게 모토나리 은거 반대 의사를 전하고 이어서 모토나리에게도 다음과 같이 반론했다.
“저(타카모토)에게 모우리 가문을 짊어질 만한 역량 따위 있을 턱이 없으며 아버지가 은거하신다면 저 또한 함께 은거하겠습니다. 아키[安芸]와 빈고[備後]만으로도 어깨가 무거운데 거기에 스오우[周防], 나가토[長門]라면 더 이상 무리입니다. 부친이란 살아 있을 때는 자식의 뒤를 돌봐주어야만 하며, 그렇게 해 주신다면 저도 두령(頭領)으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만약 될 수 있다면 저도 은거해서는 코우츠루마루[幸鶴丸=테루모토(輝元), 5살]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싶습니다[毛利家文書]"
그러나 모토나리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어 타카모토의 애절한 바램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타카모토는 최후의 결의문을 보냈다.
“아버님이 그렇게까지 은거를 하시고자 한다면 저 타카모토는 한 가지 결심을 하겠습니다. 즉 제가 죽으면 아버님도 은거하여 편안히 살고 싶다는 말씀을 못 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버님이 은거하시지 않고 가문을 다시리실 테니 모우리 가문도 무너질 일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라고 억지를 부렸다. 이렇게 되자 아무리 모토나리라도 은거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타카모토가 단순히 제멋대로인 아들이었는지, 부친을 뛰어 넘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결국 모토나리는 '마음은 은거, 몸은 현역'이라는 생활이 시작되었다.
은거 소동의 여운이 가시지 않는 채 스에 씨[陶氏] 잔당(殘黨)을 진압. 그 후에도 쉴 틈 없이 이즈모[出雲], 이와미[石見], 빗츄우[備中], 분고[豊後], 부젠[豊前], 치쿠젠[筑前] 등에서 모우리 일족(一族)의 분전(奮戰)이 계속 되었다.
1563년 8월 3일.
타카모토는 모토나리에게 원군을 요청받아 이즈모[出雲]로 향했다. 도중에 빈고[備後]의 와치 사네하루[和智 誠春]의 융숭한 대접을 받은 것이 문제가 되었다. 타카모토는 그 날 밤부터 격심한 복통(腹痛)이 찾아와 다음 날 아침 죽었다(향년 41세).
모토나리는 와치 씨가 타카모토를 암살한 것이라 의심하여 6년이라는 세월을 들여 와치 씨와 관계가 있던 아카가와 모토야스[赤川 元保] 일족의 뿌리를 뽑고 결국에는 와치 사네하루를 죽였버렸다. 그러나 후에 아카가와의 무죄가 판명되어 모토나리는 크게 후회했다.
이제는 어린 손자인 테루모토[輝元]의 뒤를 돌봐주지 않으면 안 되어 은거는 꿈도 꿀 수 없게 되었다.
모우리의 안태(安泰)를 기원하며
이 즈음 사방에서 영토 침입의 위협이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었다.
북으로는 이즈모[出雲]의 아마고 요시히사[尼子 義久] 3.
동으로는 비젠[備前]의 우라카미 무네카게[浦上 宗景].
서로는 분고[豊後]의 오오토모 요시시게[大友 義鎮] 4.
남으로는 이요[伊予] 노시마 수군[能島水軍]인 무라카미 타케요시[村上 武吉] 등이었다.
모토나리는 건강에 대해서는 남보다 배는 더 신경을 쓰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계속 이어지는 전쟁 속에서 1566년 결국 간헐적으로 발병하는 학질에 걸려, 재발이 계속 이어지던 1571년 6월 14일. 코오리야마 성[郡山城]에서 죽었다.
향년 75세.
묘소(墓所)는 아키[安芸] 요시다[吉田]의 토우슌 사[洞春寺]터에 있는데, 진기하게도 야마구치 현[山口県] 슈우난 시[周南市] 미츠오[三丘]에 '모토나리 이빨 사당[元就歯廟]'이 있다.
이것은 미츠오 성주(城主)였던 모토나리의 7번째 아들인 아마노 모토마사[天野 元政]가 부적으로 가지고 있던 모토나리의 이빨을 모시고 있는 것이다.
'일본서적 번역 > 전국무장의말년(了)'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킷카와 모토하루 (6) | 2007.09.15 |
---|---|
모우리 테루모토 - 은거 후 전심전력을 기울여 모우리[毛利] 안태에 힘쓰다. (6) | 2007.08.25 |
모우리 모토나리 (2) | 2007.08.22 |
오오우치 요시타카 (12) | 2007.08.18 |
야마나카 유키모리 (10) | 2007.08.14 |
아마고 츠네히사 (2) | 2007.08.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타카모토가 좋게 가독을 물려받았으면 일찍 죽지 않았을텐데요. 지병이 아니었다면 말입니다.
역사엔 '만약'이 없다고 하는데, '만약'이라는 말을 쓰지 않을 수가 없네요.
아마 식중독이었을 것입니다. 와치씨가 타카모토를 죽일 특별한 이유가 알려져 있지 않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