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

 이 시대에 학문에 대한 관심 같은 것은 센고쿠(戦国)를 헤쳐 나온 거친 다이묘우(大名)들에게 없었다.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는 말년이 되어서야 논어(論語)의 강석(講釋)을 듣고 나선, 세상엔 재미있는 것이 있구나 라고 하며, 카즈에노카미(主計頭)도 한 번 들어보게나, 라고 아주 신기한 듯이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清正)에게 권할 정도였다. 히데요시도 전혀 관심이 없어, 언젠가 비서가 ‘다이고(醍醐)사(寺)’의 다이(醍)라는 글자가 안 떠올라 곤혹해 하고 있는 것을 보고,

 “까짓것 ‘다이(大)’라고 쓰면 될 것 아니냐~”

 라고 말할 정도였다.
 당시 학문적 교양의 전통을 간신히 지키고 있던 곳은, 오산(五山 -
* 하단 역자 주)의 중들과 귀족(公家)정도로, 히데요시 이하 여러 다이묘우(大名)들은 미술에는 관심이 있어도 학문에는 무관심하여 그것이 토요토미 정권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말해도 좋았다.
 그런 상화에서 히타치노스케는 칸파쿠 히데츠구를 학문의 보호자로 꾸밈으로써 그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조류의 원천으로써 세상에 널리 알리려 했다.

 히타치노스케는 이 계획을 히데츠구의 문서담당관인 승려 사이도우(西堂)에게 추진시켰다.
 겐류우 사이도우(玄隆 西堂).
 토우후쿠(東福)사(寺)에
승적(僧籍)을 두고 젊으면서도 오산에서는 제법 유명한 학승(学僧)이다. 사이도우가 히데츠구의 학문에 대한 것을 모두 처리했다.
 쥬라쿠테이(聚楽第)에 오산의 승들을 모아, 시회(詩會)가 열리는 것이 정례화(定例化) 되었다.
희서(稀書)나 진서(珍書) 종류도 히데츠구의 명령으로 모아졌다. 시모츠케(下野) 아시카가 학교(足利学校[각주:1])나 카네자와 문고(金沢 文庫[각주:2])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들을 제출시켜 쿄우(京)에 모아서는 쇼우코쿠(相国)사(寺)에 보관하며 일반에게 관람을 허용하였다.

 또한 온갖 수단을 다하여 모은 일본서기(日本書紀[각주:3]), 속일본기(続日本紀[각주:4]), 일본후기(日本後紀[각주:5]), 속일본후기(続日本後紀[각주:6]), 문덕실록(文徳実録[각주:7]), 삼대실록(三代実録[각주:8]), 실사기(実事記), 백련초(百練抄[각주:9]), 여인호(女院号), 류취삼대격(類聚三代格[각주:10]), 령 35권(令三十五巻) 등을 조정에 헌상했다. 그것뿐만 아니라 야마토(大和)의 여러 큰 절의 중 17명을 소집하여,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를 필사(筆寫)시켰다.
 -무식한 풋내기
 라고 처음 상급 귀족(公卿)들 사이에서 은근히 기피당하고 있던 이 남자를 이런 행동으로 인해 새삼 달리 보는 사람도 나타났다. 하기는 반대로 오바이트 쏠릴 정도라며 히데츠구를 꺼리는 사람도 있다.
후지와라 세이카(藤原 惺窩) 등은 몇 번이나 초대를 받아도 히데츠구를 피하여 결국 끝까지 만나지 않았다. 학문이 더러워진다고 세이카는 은밀히 지우(知友)에게 소근거린 것을 보면 이 남자만은 히데츠구가 인기를 얻고자 하려는 의도를 확실히 간파하고 있었던 듯하다.
 세이카는 또한 그 지우에게,

 “저 인간 죽을지도 모른다”

 고 예언했다.

 “타이코우(太閤)의 자식이 생겼는데도 뻔뻔스럽게 쥬라쿠테이(聚楽第)에 앉아서는 도무지 관직에서 사퇴하여 물려날 생각을 하지 않는군. 필시 죽음을 당할 것이다”

 라고 세이카는 내다보았다. 세이카뿐만 아니라 쿄우(京)의 상급 귀족들는 숨을 죽이고 이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았다. 하지만 가로인 키무라 히타치노스케만은,

 “타이코우 전하께서 칸파쿠 직(職)에서 물러나라는 말씀을 하시기 전까지 물러나실 필요가 없습니다. 원래부터 칸파쿠 자리는 다이묘우(大名)하고는 다르게 조정의 직(職)이며 천자(天子)에게 임명받는 것입니다. 만약 자진해서 물러나신다면 타이코우 전하가 내리신 훈계 제 3항의 조정을 공경하고 존중하라는 말씀을 어기시는 것이 될 것입니다. 결코 그러한 일은 하지마시길”

 이라고 논리적으로 못을 박았다. 히데츠구도 그것이 도리(道理)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히타치노스케는 지금 여기서 히데츠구가 칸파쿠에서 물러나면 자신의 지위도 잃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 실상이었음에 틀림이 없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히타치노스케에게 악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 남자는 요컨대 히데츠구가 어떤 일에건 자신감을 갖게 하여 독립적인 인격을 주장할 때까지 교육해 가고 싶다고 바라고 있었다.
 사실 이 즈음부터 히데츠구는, 그 소심하고 두려움에 떨던 마고시치로우와는 다른 인격을 가지기 시작했다.

 “나는 무인(武人)이다.”

 라고 입버릇처럼 말하며 말뿐만 아니라 온 몸으로 과시하기 시작했다.
 궁정에서 사교를 행함에 있어 지식이 부족했던 이 남자는 상급 귀족(公卿)이 아닌 무인이라는 그 하나만을 크게 내세우는 것 외에는 열등감에서 빠져나올 길이 없었다. 그런 주제에 진정한 무인 – 자신의 부하나 토요토미 가문의 여러 다이묘우들 – 에게는 자신이 무시받고 있다는 것을 예전부터 민감히 느끼고 있었다.
 ‘언젠가는 나의 무(武)를 세상에 알려주마’
 라고 생각했다.
 이 기세는 처음엔 지극히 온당하고 얌전한 형태를 취했다.
 당시 유행하기 시작했던 병법(兵法[각주:11])이라는 개인 격투기의 시합을 개최하는 것이었다.
 산죠우(三条) 오오하시(大橋)에 방을 내걸고 방랑 병법자를 모아 쥬라쿠테이(聚楽第)에서 서로 싸우게 하였다.

 참고로 히데요시는 병법이라는 기술에 신뢰를 갖지 않았으며 병법자를 좋아하지도 않았다. 검술(剣術)이 가능하다고 해서 고용한 적도 없었으며 더구나 검술지남역(剣術指南役[각주:12]) 등은 두지 않았고 그런 시합을 구경하고자 하는 관심조차 보인 적이 없었다.
 하지만 히데츠구는 그 반대를 취하여 쥬라쿠테이(聚楽第)를 병법 유행의 중심지로 만들려 하였다. 라기보다는 그는 이 격투기 시합이 이외로 재미있음을 알았다. 피가 흐르고 사람이 죽는 것이었다.
 피가 낭자하지 않으면 재미가 없다고 하여 결국 시합에서 사용하는 무기는 진검과 진짜 창이어야만 한다고 포고했다. 그 서로 죽어나가는 경기를 많은 처첩들과 함께 구경했다. 여자들이 그 처참함에 비명을 질러 기절이라도 하면 히데츠구는 크게 자존심을 만족시켜,

 “역시 여자군~. 이 정도를 가지고”

 라고 앙상한 배를 부여잡고 통렬히 웃어대며 더욱 좋아하였다.
 자기야말로 용사(勇士)라고 생각했다.
 한층 더 떠 다른 사람의 시합을 보는 것만이 아닌 자신도 이 살육에 참가하고자 했다.
 밤중에
미복(微服)한 채 길 끄트머리에 숨어서 약할 것 같은 사람이 오면 달려 나가 베었다.

 “이번엔 오른쪽 어깨부터 비스듬히 베어주마”

 “다음엔 정면에서 내려 쳐 주마”

 “간만에 여자의 목 넘어가는 소리를 듣고 싶다”

 등을 지껄이며 계속해서 칼을 휘둘러 사람을 쓰러뜨렸다. 쓰러질 때, 사람은 생각 외로 세찬 땅울림을 내며 쓰러졌다. 이 죽이는 손맛에,

 “매사냥은 좆도 아니구만~”

 라고 히데츠구는 말했다.

 “내 무(武)를 보아라!!!”

 라고 어쩌다 단칼에 사람을 죽이기라도 하면 포효하듯이 목소리를 높여서는 호종(扈從)하는 사람들을 불러 그들에게 사냥감인 시체의 옆에 모이게 해서는 심장에 귀를 대게 하여 확실이 멈추었는지 어땠는지를 확인시켰다. 나중에는 아직 해가 남아 있는데도 칼질하러 나왔다.

 키타노 텐만(北野 天神)의 토리이(鳥居) 옆을 미행(微行)하고 있을 때, 반대편에서 눈먼 장님이 지팡이로 발 밑을 살피며 다가왔다. 장님은 - 이 살인취미를 맛들인 사람에게 있어서도 처음 경험하는 것이었다. 어떻게 반응할까, 어떤 손맛이 날까? 히데츠구는 침을 삼키며 다가가서는,

 “이보게~”

 하고 불렀다.


  1. 칸토우(関東) 아시카가 지역에 있던 당시 칸토우 지방 최고의 학교 겸 서고였으나, 이 즈음은 토요토미노 히데요시에게 후원자였던 오다와라(小田原)의 호우죠우(北条)가(家)가 멸망 당했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극심한 고난에 처해있었다. 때문에 이 때 히데츠구의 강압으로 많은 책을 빼앗겼다고 한다. [본문으로]
  2. 무사시(武蔵) 카네자와에 있던 서고(書庫). 카마쿠라(鎌倉) 시대 중기에 설립. [본문으로]
  3. 신대(神代)~697년까지 기록. [본문으로]
  4. 697년~791년까지 기록. [본문으로]
  5. 792년~833년까지 기록. [본문으로]
  6. 833년~850년까지 기록. [본문으로]
  7. 日本文徳天皇実録의 약자. 850년~858년까지 기록. [본문으로]
  8. 日本三代実録의 약자 – 858~887년까지 기록, 이상의 6개를 율령시대의 역사라 하여 ‘육국사(六国史 - 릿코쿠시)’라 한다 . [본문으로]
  9. 카마쿠라 시대의 역사서. 바쿠후(鎌倉 幕府), 무가(武家)의 역사 기록인 아즈마카가미(吾妻鏡)와 대조되는 조정 쿠게(公家)쪽의 역사서. [본문으로]
  10. 헤이안(平安)시대의 법령집으로, 율령제 시대의 관직으로는 일 처리에 무리가 있었기에, 각 관직의 계급이나 배치를 사례별로 나누어서 일 처리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책. [본문으로]
  11. 이 당시 일본에선 '검법(劍法)'을 병벙이라 불렀다. [본문으로]
  12. 검술 사범을 말한다. 다이묘우(大名) 등 높은 신분의 사람에게 고용되어 검술을 가르치는 직책. [본문으로]

'일본서적 번역 > 豊臣家의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생관백(殺生関白)-7-  (10) 2007.12.09
살생관백(殺生関白)-6-  (5) 2007.11.30
살생관백(殺生関白)-4-  (3) 2007.11.17
살생관백(殺生関白)-3-  (5) 2007.11.10
살생관백(殺生関白)-2-  (2) 200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