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10월.
 338년 만에 다테 마사무네[
伊達 政宗]의 유체가 햇볕을 쬐었다. 센다이 시[仙台市] 즈이호우 전[瑞鳳殿] 터에 있던 묘의 석실이 발굴된 것이다. 백골화되어 있긴 하여도 거의 완전한 상태로 이장되어 있었다. 골격으로 추정하면 마사무네는 보통 몸집에 보통 키[각주:1]로 코가 높았으며 이외로 상냥한 얼굴을 한 현대적인 생김새였다고 한다. 그것은 저 권모술수의 화신과도 같은 센고쿠의 맹장이 가진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안타깝게도 외눈이었는지 어땠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곳에 가면 유골로 복원한 다테 마사무네의 얼굴을 볼 수 있다(가장 하단))

 마사무네라 하면 '독안룡[独眼竜]'이라는 이명[異名]으로 더 유명[각주:2]하다. 5살 즈음 앓은 천연두로 인하여 오른쪽 눈이 멀었다고 한다. 소년시대의 그는 자신의 추한 용모 때문에 극단적인 콤플렉스에 빠져 우물쭈물하고 자기비하가 심한 꼬꼬마였다. 마사무네 다음으로 태어난 '지쿠마루[竺丸]'가 수려한 외모에 똑똑하고 외향적인 성격이었기에 더 비교당하여 친어미에게조차 미움을 받았다.

 마사무네의 어렸을 적 이름[幼名]은 '본텐마루[梵天丸][각주:3]'였다. 모친은 같은 지역인 오우슈우[奥州]의 호족 모가미 요시아키[最上 義光]의 여동생으로 '요시히메[義姫]'라 하였다. 이 모친은 추하고 어두운 본텐마루를 싫어하고 동생인 지쿠마루를 편애하였다. 남편 테루무네[輝宗]에게 몇 번이나 본텐마루를 폐하고 지쿠마루를 후계자로 삼으라고 하였다. 나중에는 친정 오빠인 모가미 요시아키와 짜고 마사무네를 독살까지 하려고 하였다. 친어미에게까지 미움 받았기에 본텐마루는 한층 더 열등감의 포로가 되어 성격도 삐뚤어졌음에 틀림이 없다[각주:4].

 그런 마사무네를 구한 것이 젊고 혈기왕성한 교육담당 '카타쿠라 코쥬우로우[片倉 小十郎]'였다. 후에 다테 가문[伊達家]를 짊어지고 있다는 평판을 받으며 중신[重臣]이 된 인물이다. 카타쿠라는 마사무네가 천하의 영웅이 될 인물이라며 계속 격려하였다.

 또 한 사람. 본텐마루의 강력한 지지자가 있었다. 부친 테루무네였다. 11살의 본텐마루에게 성인식을 치르게 하였을 때 '마사무네'란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이 이름은 다테 가문 9대 당주 다이젠노다이부[大膳大夫] 마사무네의 이름이었다. 문무에 뛰어나 다테 가문을 융성으로 이끈 영광스런 이름이었다. 이것을 보아도 부친 테루무네가 얼마나 본텐마루에게 기대하였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각주:5].
 테루무네는 1584년 41살의 나이에 가독[
家督]을 마사무네에게 물려주었다[각주:6]. 과감한 은퇴였다. 무엇보다 부인 요시히메를 중심으로 지쿠마루를 옹립하려는 움직임을 눈치챘기 때문이었다. 테루무네는 은거를 선언함과 동시에 요시히메와 지쿠마루를 데리고 모가미 가문과의 국경 가까이에 있는 코마츠 성[小松城]으로 거처를 옮겼다. 당시 다테 가문의 본거지는 데와[出羽] 요네자와[米沢]에 있었다.

 1584년 당시 중앙 정세는 센고쿠[戦国] 군웅할거의 시대가 끝나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의 뒤를 이어받은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에 의해 천하통일로 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토우호쿠[東北] 지방은 여전히 모가미, 다테, 오오사키[大崎], 소우마[相馬], 아시나[芦名], 니카이도우[二階堂], 타무라[田村] 등 여러 호족들이 서로 다투고 있었다.
 그런 정세 속에 오오우치 비젠[
大内 備前[각주:7]]이라는 소호족이 다테 가문을 방문하였다. 예전엔 다테 가문에 속해있었지만 지금은 아이즈[会津]의 아시나 가문이나 히타치[常陸]의 사타케 가문[佐竹家]과 친분을 나누고 있는 인물로, 마사무네의 가독상속을 축하하러 인사를 올리러 온 것이다. 요네자와에 저택까지 세워 충성을 맹세했지만 나중에 알고보니 아시나의 첩자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분노한 마사무네는 흑막 아시나 토벌을 결심하였다. 또한 가문에 자신의 권위를 확립시키고 싶었다. 1585년 8월, 다테의 군세는 오오우치 비젠이 지키는 오데모리 성[小手森城]을 습격하였다. 아시나나 니혼마츠[二本松]의 하타케야마 요시츠구[畠山 義継][각주:8]가 오오우치 편을 들고 있어 고전하였다. 하지만 마사무네는 오오우치의 군세가 기세를 타고 성 밖으로 나온 그 순간을 민감히 캐치했다. 단번에 수 많은 총격을 쏟아 부었고, 다시 성안으로 도망가려는 오오우치의 군세에게 모든 총포를 집중시켰다. 성 측은 무너졌다. 대장 오오우치 비젠도 성을 버리고 도망쳤다.
 마사무네가 오데모리 성을 공략한 뒤 행한 처치가 참혹했다. 항복한 노약남녀 800여명을 남김없이 학살한 것이다. 다테 마사무네의 공포를 확실히 각인시키기 위해서였다.

 그 후 오오우치와 손잡았던 니혼마츠의 하타케야마 요시츠구가 다테 가문에 엄청난 재앙, 마사무네의 생애에 있어서 최대의 비극을 초래하게 된다.
 항복하여 용서받은 요시츠구가 그 감사에 대한 인사를 드린다는 핑계[각주:9]로 미야모리 성[
宮森城]의 테루무네를 만나러 왔을 때의 일이다. 이날 1585년 10월 8일, 마사무네는 매사냥을 하러 나가있었다. 마사무네가 없는 틈에 생긴 사건이었다.
 테루무네와 회견이 끝나자 요시츠구는 돌아가기 위해서 성문으로 향했다. 성문까지 가는 길은 대나무 울타리가 양쪽에 늘어선 좁은 길이었다. 그 좁은 길을 요시츠구의 가로[
家老] 3명이 앞장서고 그 뒤를 요시츠구, 테루무네, 테루무네의 부하들이 뒤를 이었다.
 대나무 울타리 밖으로 나왔을 때 요시츠구와 가로 3명이 테루무네를 향해서 땅에 손을 대고 절을 하였다. 그 순간이었다. 요시츠구가 벌떡 일어나 갑자기 테루무네를 붙잡고 칼을 빼 들어 테루무네의 목에 갖다 대었다. 다테 가문의 가신들은 놀라 노성을 지르긴 하였지만 결국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테루무네를 인질로 잡은 요시츠구 일행은 유유히 걸어가 말을 타고 자신의 영지 니혼마츠를 향해서 도망쳤다.

 사태를 듣고 달려온 마사무네의 눈에 요시츠구에게 잡힌 부친의 모습이 비추어졌다. 여기서 부친을 적에게 빼앗기면 다테 가문의 패배였다. 그는 결국 결단을 내렸다[각주:10] [각주:11].
 마사무네의 명령에 철포가 불을 뿜었다. 요시츠구는 이때 테루무네를 찔러 죽이고 자신도 배를 갈라 죽었다고 한다
[각주:12]. 마사무네는 하타케야마 일행 50여명을 남김없이 죽이고 그래도 분이 풀리지 않는지 요시츠구의 시체를 난자하고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아 길가에 세워 모욕 주었다.

 이렇게 19살의 마사무네는 이후 가문에서 완전한 독재권력을 쌓아 23살인 1589년에는 아이즈 4개 군[], 센도우[仙道] 7개 군[]을 정복하여 광대한 영토를 손에 넣었던 것이다.

 하지만 다음 해인 1590년, 다테 가문에 있어서 두 번째인 더구나 중대한 위기가 닥친다.
 당시 토요토미노 히데요시는 오다와라[
小田原]의 호우죠우 가문[条家]를 공략하기 위해 대군을 일으켰다. 마사무네에게도 참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호우죠우와 히데요시를 저울로 재고 있던 마사무네는 즉답을 피했다. 거기에 운 나쁘게도 히데요시에게 속한 아시나 가문을 공격하여 히데요시의 힐문을 받고 있었다. 히데요시가 분노할 것이라는 것은 안 봐도 뻔했다. 오다와라에 가면 살해당할지도 몰랐다. 이제 취할 수 있는 길은 단 하나.
 - 사[
] 속에서 생[]을 찾는다.
 이것밖에 없었다. 이리하여 마사무네의 오다와라 참전은 결정되었지만, 출발 바로 전날 친모인 요시히메가 마사무네를 독살하려 한 사건이 일어났다. 해독제를 복용하여 간신히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사건은 동생 코지로우(
小次=지쿠마루)를 편애하여 옹립을 꾀한 모친의 음모였다. 마사무네는 후환을 끊기 위해 동생을 자신의 손으로 칼로 찔러 죽였다. 그날 밤, 모친은 친정인 모가미 가문으로 도망쳤다[각주:13].

 어쨌든 마사무네는 히데요시를 알현함에 앞서 장례식 때 쓰는 끈으로 머리를 묶고 갑주 위에 흰 마[]로 된 겉옷[陣羽織]이라는 사자[死者]의 복장으로 참진하였다. 마사무네의 목숨을 건 연출이었다. 거기에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나 히데요시의 비서실장 격인 야쿠인 젠소우[薬院 全宗]에게 사자[使者]를 보내 히데요시의 마음을 풀게 부탁하였다. 효과가 있었는지 용서받아 새로 점령한 아시나의 영지는 몰수당했지만 70여만석은 안도[安堵]되었다.

 그 후 마사무네는 또다시 히데요시의 힐문을 받게 된다. 근린에서 카사이-오오사키 반란[葛西大崎一揆]을 뒤에서 선동했다는 죄상이다[각주:14]. 이때도 마사무네는 사자[死者]의 복장을 몸에 걸치고 거기에 더해 금박 입힌 십자가를 행렬의 맨 앞에 세우고 히데요시를 만나러 갔다. 반란을 선동했다는 증거서류의 사인[花押]이 거짓이라고 주장[각주:15]하여 겨우 위기를 벗어났다고 한다.

 히데요시가 죽은 뒤의 세키가하라 전쟁[]에서는 동군에 속하였고 이해(1600년) 12월부터 센다이[仙台]에 성을 쌓기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그곳으로 본거지를 옮겼다.

 마사무네는 기독교에 흥미를 느껴 1613년에는 가신 하세쿠라 츠네나가[支倉 常長]를 저 먼 이국 로마에 파견하여 교황에게 오우슈우 왕[奥州王] 마사무네의 국서를 헌상하고, 선교사 파견과 에스파냐와의 통상[通商] 알선을 의뢰하였다[각주:16].

 정치적인 모략으로 가득 찬 효웅이었지만 시인적인 재능도 발군이어서 한시[漢詩] 30수, 와카[和歌] 275수를 남겼다. 소년시대의 암울했던 일상이 그의 문학적 교양을 키웠을 것이다.

[다테 마사무네(伊達 政宗)]
1567년생. 1584년 데와[
出羽] 요네자와[沢] 성주. 1591년 이와테사와 성[岩手城] 51만석. 1592년 임진왜란에도 출진. 세키가하라 전쟁[]에서는 동군에 속하여 우에스기 군[上杉軍]과 싸웠다. 1636년 5월 24일 죽었다. 70세.

  1. 당시 기준. 159.4cm. [본문으로]
  2. 에도 시대[江戸時代] 유학자 '라이 산요우[頼 山陽]'가 붙인 이름이다. 여담으로 라이 산요우는 아케치 미츠히데[明智 光秀]의 말로 유명한 '적은 혼노우 사에 있다(敵は本能寺にあり)'는 말을 만든 사람으로도 유명. [본문으로]
  3. 모친 요시히메[義姫]가 '문무에 뛰어나고 충효의 마음을 가진 아이가 태어나길 바란다'며 유명한 슈겐도우[修験道]의 수행자에게 기도를 부탁. 그 수행자는 유도노 산[湯殿山]에 올라가 기도를 올린 후 증거로 유도노 산의 온천물을 먹인 고헤이[御幣]를 가지고 와서 모친의 침실에 놓았다. 그 효험인지 요시히메는 태몽으로, 어느 신선이 자신이 머물 곳으로 요시히메의 뱃속을 빌리며 그 댓가로 고헤이[御幣]를 요시히메에게 주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그렇기에 마사무네는 어렸을 적에 저 '본텐마루'말고도 '고헤이사마[御幣様]'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여담으로 슈겐도우에서는 '고헤이'를 '본텐'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본문으로]
  4. 일화로는 저 삐뚫어진 마사무네의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다. 대부분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흐른다. 마사무네가 찌질이 짓을 벌임 -> 당한 사람들이 에도 막부에 제소 -> 막부 관료들은 '마사무네니까 어쩔 수 없음'하고 용서 -> 그런 전말을 보던 이 또한 찌질함이 둘째라면 서럽다는 호소카와 타다오키가 어처구니 없다며 혀를 참.... 식의 이야기가 몇몇 있는데 대부분 정형화된 패턴인지라 실제 있었던 일인지는 궁금. [본문으로]
  5. 다테 가문은 11대 당주부터 성인식을 치를 때 당시의 쇼우군에게 청하여 이름 한자를 물려받았다[一字拝領]. 16대 당주 '테루'무네['輝'宗]의 경우 13대 쇼우군 아시카가 요시'테루'[足利 義'輝']이며, 마사무네의 할아버지이며 15대 당주 하루무네[晴宗]는 12대 쇼우군 아시카가 요시하루[足利 義晴]의 글자를 물려받은 것. 마사무네가 성인식을 치를 즈음엔 쇼우군 요시아키[義昭]가 노부나가에게 추방당하고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만약 요시아키 건재했다면 마사무네가 아닌 '아키무네[昭宗]'였을지도 모른다. [본문으로]
  6. 이로써 마사무네는 다테 가문 17대 당주가 되었다. [본문으로]
  7. 오오우치 사다츠나[大内 定綱]. [본문으로]
  8. 영지가 니혼마츠[二本松]에 있어 니혼마츠 요시츠구[二本松 義継]라고도 한다. [본문으로]
  9. 용서는 받았지만 요시츠구의 영지 대부분을 마사무네에게 몰수당하여 그로인해 깊은 원한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10. 다테 가문의 기록이 아닌 다른 가문의 기록, 즉 아이즈 번[会津藩]의 기록으로 1672년 간행 된 会津旧事雑考에는 따르면, 마사무네가 지 아비가 있는데도 공격하려는 낌세를 캐치한 요시츠구가 먼저 테루무네를 찔렀고, 그것을 본 마사무네가 공격하여 요시츠구와 그의 무리들을 학살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11. 또한 아키타 번[秋田藩]의 기록으로 1698년 간행 된 奥羽永慶軍記에는 마사무네 측의 총격으로 테루무네까지 죽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12. 잡힌 테루무네가 시게자네[伊達成実]에게 '주저말고 쏘아라. 나를 걱정하여 가문의 창피를 남기지 마라'고 하여 그 낌세를 눈치 챈 하타케야마 측이 테루무네를 먼저 찔러 죽였고, 그 모습을 눈 앞에서 본 다테 측의 공격에 하타케야마 측이 몰살되었다는 것은 다테 가문의 정사 [治家記録]와 [成実記]에 나오는 말. 이 기록에 따르면 마사무네는 사냥터에서 납치 사태를 듣고 이쪽으로 막 오고 있던 중으로 마사무네는 이 자리에 없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13. 다테 가문의 정사 治家記録에 실린 것이라고 하나, 실제로 요시히메는 그로부터 4년 뒤인 1594년에 요시아키에게로 갔다. 모가미 가문을 전문으로 다루는 사이트( http://mogamiyoshiaki.jp/ )에 따르면, 마사무네는 자신을 반대하는 파벌이 코지로우를 옹립하려는 움직임을 막기 위해 연극을 하였고 그 결과 동생까지 죽인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비밀리에 행해진 것이기에 그 동안 모친은 몰랐고 모친은 4년 뒤에나 이 사실을 알고 친정으로 떠난 것이 아닌가 - 고 하고 있다. 실제로 그 4년사이에 마사무네가 자기 엄마에게 선물이나 편지를 보낸 기록이 많이 남아있다 한다. [본문으로]
  14. 소네 시로우스케[曾根 四郎助]라는 자가 마사무네의 반란선동 편지를 바쳤다고 한다. 소네의 부친은 테루무네의 죽음에 순사[殉死]하였지만 그 댓가로 아무 것도 받지 못하였기에 마사무네를 원망하고 있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15. 자신의 사인에는 바늘로 구멍을 뚫지만 증거서류에는 구멍이 없기에 자신의 것이 아닌 위조된 것이라 주장. [본문으로]
  16. 결과는 실패. 이미 유럽에선 에도 바쿠후[江戸幕府]가 기독교 탄압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던 상태라 백안시 당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타카카게[隆景]가 코바야카와 가문[小早川家]의 후계자가 된 데에는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의 모략이라는 덫이 작용하고 있다.

 모우리 가문[毛利家] 발전을 위해서는 세토 내해[瀬戸内海] 연안의 호족 코바야카와 가문을 빼앗는 것이 긴급한 과제였던 것이다.
 코바야카와 가문은 당시 누타[沼田]와 타케하라[竹原]라는 두 가문으로 나뉘어져
[각주:1] 있었다. 그 중 타케하라 가문의 당주인 오키카게[興景]가 병으로 죽었다. 운 좋게 모토나리의 조카가 죽은 오키카게의 부인이었다. 곧바로 모토나리는 당시 9살인 토쿠쥬마루[徳寿丸=후의 타카카게]를 후계자로 밀어 넣었다.
 그 직후 이번엔 누타 가문에서 당주 마사히라[正平]가 죽었고 거기에 그의 아들인 마타츠루마루[又鶴丸]에게 눈이 머는 불행이 찾아왔다. 모토나리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처음부터 누타 가문의 중신 노미 씨[乃美氏]를 꼬셔놓은 상태에서 은밀히 모략을 꾸미고 있었던 것이다.
 모토나리는 강제로 누타 가문을 타케하라 가문에 합병시키고는 그 당주에 타카카게를 앉혔다. 더불어 합병 반대파인 누타 가문의 가신들 하나하나를 숙청한 것이었다. 누가 보아도 일련의 당주 사망사건에는 모토나리의 검은 모략의 냄새가 풍기고 있다.

 어쨌든 이런 어두운 모략에 의해 탄생한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이지만, 모우리 가문 발전의 방향타를 쥐고서는 전란의 세상에서 그 지모를 아낌없이 발휘하여 나오에 카네츠구[直江 兼継], 시마 사콘[島 左近] 등과 더불어 센고쿠[戦国]의 삼대지장 중 한 명으로 손꼽히게 된다.

 타카카게가 죽었을 때, 쿠로다 죠스이[黒田 如水]는,
 "일본에서 지혜로운 사람 한 명이 사라졌다. 이 인물은 모우리 가문이라는 거대한 배를 조종하는 뱃사공과 같았다…"
 하고 회상하였다.

 또한 이런 이야기가 있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가 상급귀족[公卿]인 키쿠테이 하루스에[菊亭 晴季]와 바둑을 두다가 어려운 국면을 맞이하자 자기도 모르게
 “이건 타카카게라도 풀 수 없겠지……”
 라고 혼잣말을 한 것이다. 옆에서 관전하고 있던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도
 “정말 그렇겠군요”
 라며 끄덕였다고 한다.

 거슬러 올라가 소년시대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타카카게가 형인
모토하루[元春]와 각각 아이들을 데리고 편을 갈라 눈싸움을 하였을 때, 처음엔 모토하루의 돌격에 패하였지만, 두 번째는 부하를 몇 명인가 복병으로 숨겨 놓아 모토하루의 허를 찔러 승리하였다고 한다.

 타카카게가 처음으로 전쟁터에 나선 것은 1547년 그의 나이 15살 때에 칸나베 성[神辺城]공략전이었고, 1555년 이츠쿠시마 전투[厳島合戦]에서는 일찍부터 후년 천하 삼대지장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다. 은밀한 상륙작전에는 아무래도 세토 내해의 수군인 노지마[能島], 쿠루시마[来島] 수군의 응원이 필요했다. 그리고 이들과 교섭하여 현실화시킨 것이 타카카게인 것이다.

 이러한 외교적 수완뿐만이 아니라 실전에서도 민첩한 기동성을 보여주었다. 별동대를 이끌고 대담하게도 적의 정면인 이츠쿠시마 신사(神社) 오오토리이[大鳥居] 가까이에 배를 대었다. 스에 타카후사[陶 隆房]의 군사들은 설마 적측인 모우리의 군사들이라고는 생각지도 못하고 그냥 수상히 여기고 있자, ‘큐우슈우(九州)에서 원군으로 온 수군이다’[각주:2]고 속이고는, 적이 보는 앞에서 당당히 상륙하여 스에 군의 본진 토우노오카[塔ノ岡]의 허리쯤에 진영을 세웠던 것이다.

 다음 날 아침의 결전에서는 스에 군의 배후에서 습격한 부친 모토나리 등의 주력과 호응하여 스에 군을 협공하였다. 타카카게 자신도 3개소의 상처를 입으면서 분전. 적 부하장수인 야마토 오키타케[大和 興武]를 포로로 잡았으며, 적 대장인 타카후사를 추격하여 자살로 몰아넣었다.


크게 보기                                                 < 이츠쿠시마의 전투 >

 1570년 6월.
 부친 모토나리가 이 세상을 떠나자 타카카게는 모토하루와 함께 테루모토[輝元]를 잘 보좌하여 [모우리의 양천(毛利の両川)[각주:3]]으로서 존재감을 발휘하였다. 그러는 한편 모우리 본가에 대한 충성심도 두터워, 조카인 테루모토가 머물고 있는 방을 지날 때는 반드시 무릎을 굽혀 예를 다하며 지나갔으며, 테루모토가 없을 때도 그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천하통일을 목표로 서쪽으로 진격을 해 온 오다 군[織田軍]과의 격돌에서 그의 군략가로서의 특질이 발휘된다.
 1575년 오다 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던 오오사카[大坂]의 혼간지[本願寺]와 손을 잡은 모우리는 같은 해 7월 혼간지에 식량을 해상 수송하였는데, 그때 총지휘를 한 것이 타카카게였다. 모우리의 수송선단은 요격하러 나온 오다 군과 키즈가와 강[木津川] 하구에서 격전을 벌인다. 그러나 이쪽은 이츠쿠시마 이래의 전통을 자랑하는 코바야카와 수군이다. 오다 측의 수군을 능숙하게 포위한 후 철포, 불화살을 쏟아 붙는 듯이 공격하여 수 백 명을 죽이는 대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각주:4]

 이제 츄우고쿠[中国] 모우리의 명성은 시코쿠[四国], 큐우슈우[九州]에까지 이르렀다. 더구나 모우리는 그 이전에 쇼우군[将軍]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 義昭]를 통해 에치고[越後]의 우에스기 켄신[上杉 謙信], 카이[甲斐]의 타케다 카츠요리[武田 勝頼]와도 동맹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들과 호응하여 오다[織田]를 동서에서 협격하고자 하는 대전략이었다.

 이러던 중 오다-모우리 대결 최대의 고비가 되는 빗츄우[備中] 타카마츠 성[高松城] 공방전에 이르게 된다.
 이 전투는 타카마츠 성주 시미즈 무네하루[清水 宗治]의 할복을 조건으로 강화를 맺게 되는데, 혼노우 사의 변[本能寺の変]의 변 소식이 전해지자 히데요시는 노부나가의 죽음을 숨긴 채 다음 날 무네하루를 할복시키고는 급히 쿄우토[京都]로 군사를 돌려던 것이다. 노부나가가 죽었다는 소식은 모우리 군에게 있어서 다시 오지 않을 반격의 기회였다. 여기서 히데요시를 추격한다면 물리치는 것은 쉬웠다. 대부분이 이 의견에 찬성하였다. 하지만 타카카게는 결사반대를 외쳤다.

 타카카게 외교감각의 탁월함이 여기서 멋지게 발휘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타카카게는 히데요시가 장래 반드시 천하를 쥐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 추격하지 않고 히데요시에게 아케치[明智] 토벌을 성공시키면 반드시 히데요시는 모우리에게 호의를 갖고 감사하게 될 것이다. 모우리의 장래를 위해서도 그러는 편이 훨씬 이득이라고 설득한 것이다.

 히데요시의 정권장악은 타카카게의 이 추격반대 덕분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사실 후년 히데요시는 이때의 타카카게 배려에 깊은 감사를 하여, 모우리 씨[毛利氏]에게 이때의 은혜를 갚음과 동시에 특히 타카카게를 본가의 테루모토와 동격으로 올려, 대로(大老)의 한 사람으로 발탁하였다. 영지(領地)도 치쿠젠[筑前] 전부와 치쿠고[筑後]와 히젠[肥前]에 각각 2개군(郡)을 하사하여 거대 다이묘우[大大名]로 만들어 주었다.

 한편 타카카게가 모우리 가문에 얼마나 헌신적이었는가는 히데아키[秀秋]를 양자로 받아들인 것에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세자가 없는 모우리 가문에 히데요시의 양자 히데아키가 후계자 후보로 거론된 것이다. 타카카게는 경악했다. 아키[安芸] 명문가의 피가 히데요시의 친척이라고는 하여도 기껏해야 잡병[足軽]이나 맡을 인물에게 더럽혀진다는 것은 참을 수 없었다. 어떻게 해서든 저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리하여 타카카게 필사의 노력이 시작되었다. 히데요시의 주치의인 야쿠인 젠소우[施薬院 全宗]에게 히데요시의 의향이 어떤지 묻자, 히데아키를 모우리에 보낸다는 건은 아직 결정된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타카카게는 이때 자기 가문을 희생시키는 계획을 세웠던 것이다.
 "52만석의 영지(領地)를 킨고 츄우나곤[金吾中納言] 히데아키 님에게 물리 드리고 싶습니다"
 는 요청하였다.
 모우리의 분가라고는 하여도 코바야카와 가문은 카마쿠라 시대[鎌倉時代]때부터의 명문가였다. 이런 명문가가 히데아키 따위에게 더럽혀 지는 것 또한 참기 힘들었다. 더구나 타카카게에게는 이미 동생인 히데카네[秀包]를 양자로 하고 있었음에도[각주:5], 그를 분가시키면서까지 히데아키를 양자로 받아들이고 싶다며 간청한 것이었다. 타카카게의 모우리 가문 안녕을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오히로이[お拾=후의 히데요리(秀頼)]가 태어나자 양자 히데아키의 처우에 곤란해 있었던 히데요시는 타카카게의 신청에 굉장히 기뻐하였다고 한다. 타카카게에게는 은거료(隠居料)로써는 파격적인 빙고[備後] 미하라[三原] 3만석이 주어졌다.

 이보다 앞선 1593년 1월.
 타카카게는 조선에서 전군을 그 지휘하에 두고서 명(明)나라의 병력 30만을 상대로 싸웠다. 적의 대장은 천하에 명성을 떨치고 있던 이여송(李如松)이었다. 이 명나라 장수는 코니시 유키나가[小西 行長]를 패주시킨 기세를 타고 한양으로 진격하였다. 타카카게는 이를 격파하는 대공을 세운 것이었다.[각주:6]
 그러나 조선에 있던 중 병을 앓았고 귀국하여 미하라에서 요양을 하였지만 1597년 뇌혈관 장애로 졸도하여 일생을 마쳤다.

 참고로 코바야카와 가문은 히데아키의 대가 되어서 자식이 없어 단절되지만,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 이르러 당시 모우리 가문의 당주인 모우리 타카치카[毛利 敬親]가 일족 중의 한 명에게 코바야카와 가문을 잇게 하였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 隆景)]
1533년 태어났다.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의 삼남. 부친 모토나리, 조카 테루모토[輝元]를 도와
츄우고쿠[中国]를 경략. 미하라[三原]를 본거지로 하여 세토 내해[瀬戸内海]에 강력한 수군을 편제하였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와 강화한 후, 히데요시의 시코쿠[四国], 큐우슈우[九州], 오다와라[小田原] 정벌[각주:7]에 참가. 조선의 역에서는 1593년 명(明)나라의 대장 이여송(李如松)의 대군을 개성(開城)에서 물리쳤다. 히데요시의 양자 킨고 츄우나곤 히데아키[金吾中納言 秀秋]를 세자로 받아들였으며, 1597년 6월 20일 죽었다. 65세.

  1. 누타(沼田) 쪽이 종가였다. [본문으로]
  2. 당시 오오우치 가문[大内家]의 당주는 오오토모 소우린[大友 宗麟]의 동생 오오우치 요시나가[大内 義長]였기에, 타카카게는 오오토모 소우린이 보낸 원군이라고 한 것이다. [본문으로]
  3. 킷카와[吉'川']나 코바야카와[小早'川']에는 내 천(川)자가 들어있기에. [본문으로]
  4. 제1차 키즈가와 강 입구의 전투[第一次木津川口の戦い]. 참고로 2차는 오다 군의 철갑선으로 복수했다는 전투이다. [본문으로]
  5. 모우리 모토나리의 9번째 아들. 모친이 코바야카와 가문의 분가인 노미 씨[乃美氏]인 연도 있어 아들이 없던 타카카게의 후계자가 되어 있었다. [본문으로]
  6. 벽제관 전투를 말한다. 여기 쓰여있는 30만을 그대로 믿으면 지는 겁니다. [본문으로]
  7. 칸토우[関東]의 호우죠우 가문[北条家]을 공격한 것. [본문으로]

아라키 무라시게(荒木 村重)

1586 5 4일 병사(病死) 52.

생년불명[각주:1] ~ 1586년.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를 섬겨 셋츠() 아리오카(有岡)()의 성주(城主)가 되었다. 후에 모우리(毛利)(), 혼간지(本願寺)와 손을 잡고 모반을 일으키지만 실패하여 도망쳤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시대가 되자, 센노 소우에키(千 宗易)에게 다도(茶道)를 배워, [利休七哲[각주:2]]의 한 사람으로 꼽힐 정도의 다인(茶人)이 되었다. (그림은 KOEI의 태합입지전V)






풍류의 자리에 있던 이외의 인물



 혼노우(本能)()의 변이 일어난 지 1 3개월 정도 지난 1583 9 16.

 아라키 무라시게는 죽은 오다 노부나가를 대신하여 쿄우토(京都)와 킨키(近畿)의 새로운 패자(覇者)가 된 하시바 히데요시(羽柴 秀吉)가 처음으로 개최한 [차 도구 전시회 = 御道具揃]에 참가하였다. 이미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道薰(도우쿤)]이라는 호를 칭하고 있었다. 참가한 면면(面面)을 보면,

구우나이쿄우(宮内卿) 호우인(法印[각주:3])[마츠이 유우칸(松井 友閑)]

소우에키(센노 리큐우 = 千 利休)

모즈야 소우안(万代屋 宗安)

텐노우지야(天王寺屋[츠다(津田)]소우규우(宗及)

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전부 노부나가의 풍류 취미와 관련된 스키샤(数奇者[각주:4])이며 사도우(茶頭[각주:5])였다.


더구나 이를 구경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케다 쇼우뉴우(勝入)[츠네오키(恒興)],

의사인 토쿠운켄(德雲軒)[야쿠인 젠소우(院 全宗)]

가 있었다. 츠네오키는 노부나가의 유형제(乳兄弟[각주:6])였으며, 토쿠운켄은 산몬(山門[각주:7])이나 조정에 연줄이 있는 승의(僧醫)였기에 둘 다 히데요시의 권력장악에 불가결한 사람들이었다.


 소우규우나 소우에키라는 당대 풍류의 세계를 둘로 나뉘고 있던 다도(茶道)의 거장들과 섞여 무라시게가 내 놓은 것은 [모모지리(桃尻)의 하나이레(花入[각주:8])], 못케이(牧溪)가 그린 걸개 그림인 [범귀회(帰絵)], [효우고(兵庫)의 오오츠보(大壷)] 어느 것이나 이름있는 명물이었다.


 주군(主君)의 복수전이 된 야마사키(山崎)의 싸움에서 이기고, 자기 입으로 일본 통치는 이제부터라고 한 시즈가타케(賤ヶ岳)의 싸움 및 키타노쇼우(北ノ庄)()의 싸움을 이겨 정청(政廳)으로 오오사카(大坂)()과 쿄우토(京都)에 저택을 짓기 시작한 히데요시의 면목을 살리기에 충분한 전시회가 되었다. 그렇다고는 하여도 이상한 것은 이러한 장소에 어째서 무라시게가 있을 수 있었냐는 점이었다.


 무라시게라고 하면 1578 10월.

 혼간지(本願寺)에 딸을 인질로 보내어 법주(法主)인 켄뇨 코우사( 光佐)와 맹약을 맺고서는 주군인 노부나가에게 반역을 한 다이묘우(大名)가 아니었던가? 그 때문에 거성(居城)에서 쫓겨나 영지(領地)도 잃고 방랑의 몸이 되었던 인물이 아니었던가? 그런 무라시게가 하필이면 노부나가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히데요시 밑에 있는 것은 어찌된 일이란 말인가?

 확실히 무라시게는 셋츠의 이케다(池田)()의 부하에서 올라 온 토자마(外様[각주:9])의 신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셋츠의 국주(国主)로 발탁시켜 준 노부나가를 가장 중대한 국면에 배반하여 숙적인 혼간지(本願寺)와 모우리(毛利)()의 연합세력으로 달려간 반역자였기에 오다(織田)쪽에게 있어서는 용서할 수 없는 인물이었을 터였다.


다인(茶人)으로 여생을 보내다.


 당초 여러 방법으로 무라시게의 뜻을 돌릴 방법을 시도했던 노부나가도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자 공격에 전념하였다.

 우선 무라시게에게 가담하고 있던 셋츠 타카츠키(高槻)()의 성주인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과 이바라키(茨木)()의 성주인 나카가와 키요히데(中川 清秀)등을 귀순시킨 후에 무라시게의 거성(居城) 아리오카(有岡)를 포위하였다. 1578 11월부터 10개월간에 걸친 장기 포위전을 전개 하여 다음 해 1579 9 2 무라시게가 처자식을버려둔 채 아리오카성()을 탈출하여 아마가사키(尼崎)()으로 도망치자, 노부나가 군세는 아리오카성을 함락시켜 무라시게의 처자식과 친척 36명을 쿄우토(京都)의 로쿠죠(六条) 강변(河原)에서 처형하였고, 가신(家臣)의 처자식 120여명을 성 아래서 십자가 같은 곳에 매달아 창으로 찔러 죽였으며, 510여명을 역시 성 아래 4개의 집에 쳐 넣고 불을 질러 죽였다.[立入左京亮入道隆佐記].

 그 비참함엔 구경하던 사람도 눈물을 흘렸고 눈을 뜨고 볼 수 없을 정도여서 부처가 이 세상을 창조한 이래로 이러한 일은 없었다고 사람들은 말했다 한다.


 이런 학살이 일어날 즈음. 무라시게는 아마가사키(尼崎)()에서 하나구마(華熊)()으로 피난하였지만 여기도 1580 7월 초 즈음에 오다 세력에게 공격받아 낙성(落城)되자 모우리(毛利)()의 영토로 도망쳤다.자신의 처자식뿐만 아니라 친척, 가신의 처자식마저 참혹한 죽음을 당하는 와중에 거성(居城)이나 일족(一族), 가신을 계속해서 버려가며 도망친 무라시게의 목적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무라시게가 주가(主家)인 이케다(池田)()를 쓰러뜨리는 하극상(下剋上)으로 몸을 일으키긴 했지만 노부나가에게 반역을 일으킨 것은 참언(讒言)에 의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시야마(石山)()[本願寺]을 포위하고 있던 아라키 무라시게의 부대에서 매일 밤마다 작은 배를 이용하여 성()안으로 쌀을 팔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자 노부나가에게 변명을 하려 했던 무라시게를 측근인 나카가와 키요히데가 만류하여 어쩔 수 없이 반역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자세한 사정을 안 노부나가의 적남(嫡男) 노부타다(信忠)나 히데요시들이 무라시게를 굉장히 불쌍히 여겼다고 한다. [寬政重修諸家譜]


 이 때문인지 혼노우(本能)()의 변 후 머물던 빙고(備後) 오노미치(尾道)에서 다인(茶人)인 츠다 소우규우(津田 宗及)에게 사람을 보내는 등 해서 히데요시에 대한 알선을 의뢰한 듯하다. 히데요시에게서 셋츠인지 이즈미(和泉)에 조그만 영지(領地)를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주로 다도(茶道)를 통해 섬겼던 듯하다. 모우리(毛利)()와 관계 개선을 꾀하려 하던 히데요시에게 무라시게라는 존재가 필요했을 것이다.


 1586년에 사카이()에서 죽었다.

 후반생은 하극상으로 몸을 일으켰던 효웅(梟雄)의 이미지와는 먼 일개의 스키샤(数奇者)와 같은 최후였다.

  1. 위키피디아와 KOEI 태합입지전 평전에는 1535년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2. 리큐우(=宗易)에게 배운 제자들 중 뛰어난 일곱 제자. 문서에 따라 다르나 주로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 忠興), 후루타 시게테루(古田 重然), 시바야마 무네츠나(芝山 宗綱, 세타 마사타다(瀬田正忠), 카모우 우지사토(蒲生 氏郷), 타카야마 우콘(高山 右近), 마키무라 토시사다(牧村利貞)를 지칭함. 아라키 무라시게의 경우 오다 우라쿠사이(織田 有楽斎), 리큐우의 아들인 센노 도우안(千 道安)과 함께 십철(十哲)로 꼽힌다. [본문으로]
  3. 승정의 최고위. [본문으로]
  4. 풍류인(風流人)을 말하나 주로 다인(茶人)을 지칭한다. [본문으로]
  5. 다도(茶道)의 자리에서 리드하던 사람. [본문으로]
  6. 같은 여성의 젖을 먹고 자란 사이. 높은 집안의 아이는 모친의 젖이 아닌 다른 사람의 젖을 먹는 풍습이 있었는데, 노부나가는 유모의 유두를 물어 뜯는 버릇이 있었지만 츠네오키의 모친의 젖만은 얌전히 먹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7. 보통은 '절'을 뜻하나 여기서는 히에이산(比叡山) 엔략쿠(延暦)사(寺)를 말함. [본문으로]
  8. 다도할 때 꽃을 꽃아 놓는 도자기. [본문으로]
  9. 대대로 섬긴 가문 아닌 새로 부하가 된 가문.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