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노 나가마사[野 長政]가 출세하는데 있어 히데요시[秀吉]의 친족이었다는 것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 나가마사의 부인 오야야[おやや]가 히데요시의 부인 네네[ねね=키타노만도코로[北政所]]와 배다른 자매[각주:1]였기에 나가마사와 히데요시는 동서지간이 된다. 친족이 적었던 히데요시가 나가마사를 중용한 것도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히데요시의 측근으로서 군사에 관해서도 담당하기는 하였지만 주로 외교나 민정가로서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였다.
 민정가로서의 나가마사를 나타내는 에피소드가 있다.
 후에 이 아사노 나가마사의 후손으로 겐로쿠[元
1688~1703] 시대 소위 '아코우 사건([赤事件][각주:2]'을 일으켜 당시 세상에 충격을 준 하리마[播磨] 아코우[赤穂] 5만석 아사노 타쿠미노카미 나가노리[匠頭 長矩[각주:3]]가 있는데, 이 사건 최대의 주역이 되는 가로(家老) 오오이시 쿠라노스케[大石 内蔵[각주:4]]가 영내(領內) 순시를 위해 아보시[網干]라는 곳에 들렸을 때이다. 이 마을 중심가의 한 곳만 공터가 되어 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것을 궁금히 여겨 마을사람에게 물어보자,
 "이곳은 아사노 단죠우[
=나가마사]님이 히메지[路]에 계실 적에 그분의 저택이 있던 자리옵니다. 백성들을 잘 보살펴 주신 분이었기에 그 은혜를 잊지 않기 위해서 아이들이라 하더라도 이곳은 풀 한 포기 손대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고 답했다고 한다.

 히데요시의 휘하가 된 나가마사는 히데요시가 1573년 아자이 나가마사[ 長政]의 옛 영토 오우미[近江] 오다니[小谷] 12만석을 하사 받자 히데요시에게서 120석을 받았고, 다음 해인 1574년 히데요시가 거성을 나가하마 성[長浜城]으로 옮긴 후 노부나가와 함께 전쟁터를 전전하였기에 히데요시가 부재인 동안 이 성을 다스릴 정도로 신임을 받았다. 거기에 하리마[播磨], 츄우고쿠[国] 공략에서는 히데요시와 행동을 함께하며 전선부대장으로서 용전분투하였고 또한 히데요시의 거성 히메지 성[路城]의 보충 공사를 담당하거나 하였다.

 1586년은 아사노 가문의 장래를 보았을 때 기념할만한 해가 되었다. 이때 처음으로 토쿠가와 이에야스[ 家康]와 접촉하여 절친해지는 계기가 되는 단초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1584년 코마키-나가쿠테 전쟁[小牧長久手の役] 후 히데요시는 이에야스와 화해(和解)를 꾀하며 아비 다른 여동생 아사히히메[朝日姫][각주:5]를 이에야스에게 시집을 보냈다. 그 교섭성립을 위해 분주히 뛰어다녀 이 1586년의 결혼을 성립시켰는데, 이때 성실히 임하는 모습을 이에야스에게도 인정받아 나가마사는 한층 더 명성을 높이게 된다.

 임진왜란 때 나가마사는 본진에서 근무하며 히젠[肥前] 나고야[名護屋] 성의 축조를 담당하였다. 이때 세운 망루()가 후에 카라츠 성[唐津城]으로 옮겨졌는데 나가마사의 관도명(官途名)인 단죠우쇼우히츠[正少弼]의 이름을 따 단죠우망루[正櫓]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훌륭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 나고야에 있을 때 나가마사는 히데요시를 화나게 하여 자칫하면 죽을 뻔한 사건이 일어난다.
 서전의 파죽지세에 콧대가 높아진 히데요시는 작전회의 자리에서,

 "일본은 이에야스에게 맡기고선 나는 30만 군세를 이끌고 조선에 건너가 곧바로 명의 수도에 진격하여 황제가 될 생각이다"
 고 선언한 것이다. 이에야스가 그런 큰 일을 담당하기에는 벅차다고 하자, 그것을 옆에서 듣고 있던 나가마사가 이에야스에게,
 "지금 칸파쿠 전하의 말씀은 제정신으로 한 말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필시 뭔가에 씌어 미치신 것 같으니 신경 쓰실 필요 없습니다"
 고 천연덕스럽게 말했다.
 히데요시의 얼굴이 급변했다.
 "네 이놈 나가마사! 내 직접 네놈을 죽이겠다!"
 고 외치며 손에 칼을 쥐고 일어섰다. 동석해 있던 마에다 토시이에[
前田 利家]가모우 우지사토[蒲生 氏鄕]가 열심히 말렸다. 그래도 나가마사는 눈 하나 깜짝 않고,
 "절 죽여서 국가가 안정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습니다. 근년 조선과의 전쟁으로 인해 사람들은 궁핍해 있습니다. 거기에 전하가 바다를 건너시면 국내 치안은 흔들릴 것입니다. 바다 건너는 것도 중지하시고 파견군도 전부 불러들이는 것이 좋을 것이라 사료되옵니다"
 고 말했다고 한다.
 이는 히데요시의 분노에 기름을 붓는 결과가 되었다. 결국 나가마사는 숙소에서 벌을 기다리는 몸이 되었다. 하지만 그때 히고[
肥後]에서 반란[각주:6]이 일어나 나가마사의 말이 옳았다는 것이 증명되어 죄를 용서받았다. 그 후 진압되어 어수선한 히고[肥後]를 진정시키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각주:7]

 히데요시가 죽은 뒤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 등 네 명의 대로(大老)[각주:8]와 다섯 행정관(五奉行)[각주:9]이 이에야스의 전횡에 분노하여 이에야스 타도를 꾀하였지만, 토시이에가 죽은 뒤 나가마사는 다른 행정관들과는 다른 행동을 취하며 이에야스와 기맥을 통하였다. 또한 1599년 무공파의 카토우 키요마사[加藤 正], 후쿠시마 마사노리[福島 正則] 등이 이시다 미츠나리를 제거하고자 했을 때도 나가마사는 아들 요시나가[幸長]를 무공파에 참가시켰다. 이제 나가사마는 확실히 이에야스 편에 섰다는 것을 표명한 것이다.

 이 즈음의 정치정세는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었다.
 그러던 중 10월 갑자기 나가마사는 영지(
領地)인 카이[甲斐]로 내려갔다. 자세한 사정은 확실하지 않지만 일설에 따르면 9월 9일 이에야스가 토요토미노 히데요리[豊臣 頼]를 방문하고자 하였을 때, 행정관 중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와 나츠카 마사이에[長束 正家]등이,
 "마에다 토시나가[
前田 利長][각주:10]에게 모반의 낌새가 있습니다. 아사노 나가마사나 오오사카 성[大坂城]의 히지카타 카츠히사[土方 勝久], 오오노 하루나가[大野 冶長]를 부추겨 암살을 꾀하려 하고 있습니다"
 고 이에야스에게 밀고하여 그 때문에 나가마사는 영지(
領地)에 칩거를 명령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에야스가 나가모리들의 참언을 믿은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나가마사는 카이[
甲斐]로 내려가자마자 에도[]에 가서 이에야스의 후계자 히데타다[秀忠]를 만나 그에게 환대를 받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가마사는 얼마 지나지 않은 1600년 1월에 셋째 아들 나가시게[長重]를 히데타다에게 출사시켰으며, 세키가하라 결전[原の戦い] 결전에서 나가마사는 히데타다를 따라 나카센도우[中山道]를 거슬러 올라갔고 적남인 요시나가는 이에야스의 선봉으로 출진한 것이다.

 말년의 나가마사는 이에야스의 바둑상대로 자주 초대받았다고 한다. 이에야스가 천하의 정치정세에 대해 나가마사의 의견을 듣기 위함이었다. 나가마사가 죽자 이에야스도 바둑을 관두었다고 한다.

 아사노 가문은 세키가하라 전쟁 후 키이[紀伊] 37만4000석이 요시나가에게 주어졌고, 나가아키라[長晟]의 대[각주:11]가 되어 아키[安芸] 42만6000석에 봉해져 이후 아사노 가문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까지 이어진다.

[아사노 나가마사(浅野 長政)]
1544년생. 야스이 시게츠구[
安井 継]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아사노 나가카츠[浅野 長勝]의 양자가 되었다[각주:12]. 첫 이름은 나가요시[長吉]. 1587년 와카사[狭] 오바마[小浜] 성주. 임진왜란에서는 조선에 건너가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 등과 함께 진주성 공격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카이[甲斐] 후츄우[府中] 22만5천석. 히데요시[秀吉]가 죽은 뒤에는 적자 요시나가[幸長]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 1611년 4월 7일 죽었다. 68세.

  1. 키타노만도코로 즉 네네는 양녀(나가마사의 양부 아사노 나가카츠의 부인의 여동생의 딸) [본문으로]
  2. 아사노 나가노리가 에도 성에서 바쿠후 의전 담당인 코우케[高家] 필두 키라 코우즈노스케[吉良 上野介]를 살해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 당시는 싸움 당사자간에 누구에게 죄가 있건 양쪽 다 처벌을 받았으나[喧嘩両成敗], 토자마[外様]의 약소번(5만석)의 다이묘우[大名]인 아사노 나가노리는 할복 & 번 폐쇄라는 엄벌이 처해졌지만 막부의 요직에 있는 키라에게는 아무 벌도 없었다. 그에 대한 복수로 번 폐쇄로 직장을 잃은 아코우 낭인들의 키라를 살해한 사건. 보통 '츄우신구라[忠臣蔵]'로 유명하다. [본문으로]
  3. 나가마사의 현손(玄孫). 즉 나가마사의 손자인 아코우 초대 번주 아사노 나가나오[浅野 長直]의 손자 [본문으로]
  4.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는 아코우 번 필두 가로로 아코우 사건의 주모자였다. 복수극에 성공한 이후 충성스런 신하 & 진정한 무사의 대명사가 된다. [본문으로]
  5. 시바 료우타로우[司馬 遼太郎]선생이 쓴 '토요토미 가문의 사람들'에 등장하는 스루가고젠[駿河御前]. [본문으로]
  6. 시마즈 가문[島津家]의 가신 우메키타 쿠니카네[梅北 国兼]가 일으킨 우메키타 반란[梅北一揆]를 말함. [본문으로]
  7. 여담으로 이 이야기는 18세기 중반의 유학자 유아사 죠우잔[湯浅 常山]이 쓴 상산기담(常山紀談)에 나오는 이야기로, 이 책에선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에 일어난 일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8. 이에야스를 제외한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 모우리 테루모토[毛利 輝元], 우에스기 카게카츠[上杉 景勝],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 秀家]. [본문으로]
  9. 아사노 나가마사[浅野 長政], 이시다 미츠나리[石田 三成], 마시타 나가모리[増田 長盛], 나츠카 마사이에[長束 正家], 마에다 겐이[前田 玄以] [본문으로]
  10.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의 아들. [본문으로]
  11. 나가마사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때 조선에 건너왔던 형 요시나가에게는 딸밖에 없어서 동생인 나가아키라가 후계를 이었다. [본문으로]
  12. 나가마사의 모친이 아사노 나가카츠의 누나였다. [본문으로]

난부 노부나오(南部 信直)

159910 5일 병사(病死) 54.


1546 ~ 1599

무츠[陸奧] 탓코[田子]성주 이시카와 타카노부[石川 高信]의 아들. 종가(宗家) 난부 하루츠구(南部 晴継)의 뒤를 이어 26대 당주(當主)가 되었다.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협력을 얻어 쿠노헤 마사자네(九戶 政実)의 난을 진압하였고, 새로이 모리오카(盛岡)성을 쌓아 후에 난부 번[] 24만석의 기초를 쌓았다.










오산으로 알게 된 시대의 종언.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의 오다와라 정벌[小田原征伐]에 호응하여 난부 노부나오[南部 信直]는 일천의 병사를 이끌고 참진하였다. 츠가루 타메노[津軽 為信]에게 난부 가문[南部家의 영지였던 츠가루[津軽] 일대을 빼앗긴 원한이 뼈에 사무칠 정도인 노부나오에게 있어서 참진은 영토를 탈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을 터였다. 그러나 원수 타메노부는 불과 18기의 기마 무사만을 대동한채 노부나오가 오기 3일전에 히데요시를 만나서 영지 소유권을 받아 낸 상태였다.


 억울함에 흥분하는 노부나오에게 "분노를 참고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 다독거린 것은 마에다 토시이에[前田 利家]였다. 노부나오는 이렇게 센고쿠 시대[戦国時代]의 종언을 깨닫게 되었다. 히데요시가 발령한 [칸토우, 오우우 총무사령(関東,奥羽惣無事令)]- 즉 사투금지령[私鬪禁止令]을 어기면 난부가의 존립이 위험할 터였다.


 힘에 의존한 타메노부 토벌에서는 몇 번이나 밀렸기에 뛰어난 무장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노부나오지만, 대세판단의 정확함에 있어서는 남들보다 뛰어난 면이 있었다.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가 죽은 뒤 천하의 정세를 정확하게 파악해, 노부나가의 후계자로 유력해진 히데요시에게 접근하기 위해 그의 신임이 두터운 토시이에에게 줄을 대고 있었다. 그 방법은 그때까지 말이나 매의 헌상을 매개로 하는 오우우[奥羽]의 여러 호족들의 방법[각주:1]에 더하여 기청문(起請文-서약서(誓約書))까지 토시이에에게 받아냄으로써 정치적 의도를 명확히 한 획기적인 것이었다.


 타메노부의 반란 후 노부나오는 일문의 효웅 쿠노헤 마사자네[九戶 政実]에게 배반당한다. 타메노부의 경우에는 사투금지령이 노부나오의 발목을 죄는 덫이 되었지만 마사자네의 경우는 노부나오를 구하는 마법의 지팡이가 되었다.


쿠노헤의 난과 오우우 처리(奥羽再仕置)


 노부나오는 난부가 24대 하루마사[晴政]의 사촌동생이었다. 처는 하루마사의 장녀였다. 하루마사의 양자로 들어가 후계자 자리를 약속 받았지만, 하루마사의 애첩에게서 하루츠구[晴継]가 태어나자 입장이 미묘하게 되었고 더구나 처가 먼저 죽었기에 후계자 후보의 자리에서 물러났다.


 1582 1월.

 하루마사가 죽자 하루츠구가 당주의 자리에 앉게 되었다. 그러나 그 20여일 후 부친의 장례식을 끝내고 산노헤 성[三戶城]으로 돌아오던 도중 자객에게 습격 당했다고도, 독살 당해 죽었다고도 한다. 그리하여 가독(家督) 상속 문제가 대두되어 가문이 둘로 나뉘는 바람에 무력에 위한 싸움은 없었으나 가문 내부에 석연치 않은 앙금을 남기게 되었다. 노부나오는 키타 노부치카[北 信愛], 하치노헤 마사요시[八戶 政栄]들의 지지를 얻어 26대 당주가 되었다. 나이 37세였다.


 한편 '노부나오는 두려워 할 가치도 없다'며 적의를 보이는 마사자네 초대 미츠유키[光行] 때 부터 갈라져 나온 난부 가문의 명문으로 쿠노헤[九戶], 니노헤[二戶]의 양 군()을 영유하고 있던 가문 내에서도 높은 신분이었다. 일촉즉발의 위기를 내부에 품고 있으면서도 평화를 유지하고 있던 난부 일족에게 결정적인 분열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오우우 처리(奥羽仕置)[각주:2]때문이었다. 처리(仕置)는 오다와라성 공격에 참여하지 않았던 여러 제후들에 대한 본보기였는데, 가지고 있던 영토를 빼앗긴 무장의 원한은 하늘을 찌르고 있었다. 히데요시의 군사들이 떠나자 구영주(舊領主)들과 이들과 관계를 맺고 있던 사람들에 의한 반란이 오우우[奥羽] 각지에서 계속해서 일어나 히데요시의 계획은 어긋나 버렸다.


 이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던 마사자네 후계문제에 불만을 품고 있던 무장들에게 격문을 날려 호응을 얻자 5천의 병사를 이끌고부 종가에게 반란을 일으켜 자신의 거성(居城) 쿠노헤 성에서 농성했다. 1591년의 가을이었다.


 노부나오의 구원 요청에 응해 히데요시는 마사자네의 봉기를 사투(私鬪)로 판단하여, 재처리(再仕置)를 통해서 천하 통일을 과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삼았다. 히데츠구[秀次]를 총대장으로 하는 원군을 파견. 여기에 오우우의 여러 무장의 병사들을 더한 10만의 대군으로 쿠노헤성을 포위. 4일간의 공성전 후 모략에 의해 마사자네 일당을 섬멸했다.


난부가 중흥의 시조


 노부나오는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에 종군. 히젠[肥前] 나고야[名護屋]에 있던 중 하치노헤 마사요시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이곳에 모여 있는 모두가 피로해 있다. 이것을 히데요시에게 직언하면 처분 받을 것 같기에, 이를 두려워 하여 아무도 말하는 사람이 없다. 이것만 보아도 이곳이 어떤지 알 수 있겠지
 고 하며 히데요시의 광기(狂氣)를 전하고 있다. 이 또한 노부나오의 통찰력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아사노 나가마사[浅野 長政]의 권유를 받아, 거성을 북쪽으로 치우친 산노헤 성[三戶城]에서 중앙부의 모리오카[盛岡]으로 옮기는 것을 허락 받은 것은 이 나고야 재진 중의 일이었다.


 노부나오가 난부 가문 중흥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이유는 천하인 히데요시를 따르며 난부 7()을 안도 받아 성 밑 마을(城下町) 모리오카로 전국의 상인이나 직인(職人)을 불러 모아 우대하여 번영시킨 것도 있지만, 거기에 더해서 카즈노[鹿角]의 산 등에서 금을 캐내어 재정을 풍부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1599, 노부나오는 모리오카성에서 발병. 쿠노헤 성을 수리, 복구하여 이름 바꾼 모리오카 성으로 옮긴 후에 죽었다. 나이는 54. 가독은 토시나오[利直]가 이었다.

  1. 이 방식은 노부나가에게 귀순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노부나가가 만들어낸 방법이었다. 즉 이 오우우, 즉 토우호쿠[東北] 지방 뿐만 아니라 큐우슈우[九州]의 시마즈[島津]나 오오토모[大友]도 노부나가에게 매를 헌상하여 노부나가에게 귀순하였다. [본문으로]
  2. 히데요시는 참전하지 않았던 토우호쿠[東北=오우우[奥羽]] 무장들의 영토를 빼앗아, 자기 가신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