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아마고 츠네히사[각주:1] 이즈모[出雲] 슈고다이[守護代][각주:2]의 직책을 빼앗긴 뒤 2년 동안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도 와신상담 끝에 옛 지위 회복의 비책을 짜내어 결국 그것을 이루어 냈을 뿐만 아니라 산인[山陰]의 패자(覇者)까지 된 굉장한 인물이다.


 떠돌이 생활을 할 때 고생을 많이 하였기에 백성이나 어민(漁民)들에게까지 잘 보살폈고, 언제나 따스한 미소를 잃는 일이 없었기에 여자 아이들조차 친근감을 가졌다고 한다.

 가신(家臣)들에게 대하는 태도는 더욱 헌신적이었다. 부상 당한 자는 손수 간호를 하였으며, 싸우다 죽은 이의 육친에게는 식록(食祿)을 늘려주었고, 명복을 빌며 직접 불경(佛經)을 읽었다. 이 때문에 휘하 병사들은 츠네히사를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아마고 씨[尼子氏]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조부(祖父) 모치히사[持久] 때 부터이다.

 모치히사는 이즈모[出雲]의 슈고[守護] 쿄우고쿠 씨[京極氏]에게 중용 받아 슈고다이까지 출세해서는 토다갓산 성[富田月山城]을 본거지로 삼았다.


 츠네히사의 부친 키요사다[]가 뒤를 이어서는 활발히 영토를 넓혀 미호노세키[美保関]를 손에 넣음으로써 아마고 씨의 재정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즉 이 세키[関][각주:3]의 세키센[関銭][각주:4]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원래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것이지만 횡령하였다.


 강성해졌던 아마고 씨는 츠네히사의 시대가 되자 일시 몰락한다.

 아마고 씨가 너무도 강대해 졌기에 슈고[守護] 쿄우고쿠 씨가 미사와[沢], 엔야[塩谷], 미토야[三刀屋] 등의 호족을 꼬드겨 츠네히사를 공격시켜다. 츠네히사는 슈고다이에서 쫓겨나게 된 것이다.


 토다갓산 성에서 쫓겨난 츠네히사는 이곳 저곳을 방랑하게 된다.

 눈보라가 치던 어느 날 밤. 츠네히사는 옛 신하 야마나카 카츠시게[山中 勝重][각주:5]의 집에 방문한다. 얼굴을 가리는 삿갓[深編笠]을 쓰고, 살을 에이는 추위에도 얇은 마()로 된 옷 한 벌이라는 초라한 모습이었다. 이미 굶주림과 추위로 삐쩍 말라있었다. 야마나카는 젊은 주인의 몰락한 모습에 눈물을 흘리며 불을 쪼이게 하고 술을 내와 위로하였다.

 그러나 츠네히사의 의기는 드높았다. 몸을 녹이면서 토다갓산 성 탈환 계획을 털어놓았던 것이다. 이 야마나카 일당의 협력덕택에 아마고 재기의 발판이 되는 토다갓산 성 탈환이 가능하게 된다.

 

 1485년의 섣달 그믐날 밤이었다.
 
목적지는 예전의 본거지 토다갓산 성이었다. 성주는 츠네히사에게서 슈고다이의 직책과 성을 뺏어간 엔야 카몬노스케[塩谷 掃部助]였다.
아마고 일당은 밤의 어두움을 이용해서 성 안으로 숨어들었다. 천연의 요해(要害)였지만 예전엔 자신의 성이었다. 그들은 아무런 어려움 없이 잠입에 성공하였다.

 

 다음 날은 설날이었다.

 아마고 츠네히사의 노림 수는 신년 축하 행사였다. 츠네히사는 이미 신년 축하에 흥을 돋구는 사당패 가마[賀麻] 일당을 포섭해 두고 있었다. 성 안에서 큰 북(太鼓)이나 작은 북()의 박자에 맞추어 춤이 시작되자 그와 동시에 갑자기 성 안의 곳곳에 숨어 있던 아마고의 군사들이 일제히 불을 지르며 공격하였다. 춤을 추고 있던 가마 일당도 아마고 측 군사들의 함성을 듣자 준비해 두었던 갑옷으로 갈아입고는 성병(城兵)들에게 칼질을 퍼부었다. 아마고의 기습은 보기 좋게 성공하여 불과 100여명으로 성병 700명 이상을 물리쳤다.

 이렇게 토다 성을 탈환한 후 츠네히사는 최대의 강적인 미사와 씨[三沢氏]를 물리치는 것에도 모략을 이용하게 된다.

 

 중신(重臣)이 된 야마나카 카츠시게에게 일부러 누명을 씌어 미사와 씨에게 도망치게 만든 것이다. 야마나카는 일년간 미사와 씨에게 충성을 다하였다. 이제 미사와는 야마나카 카츠시게를 완전히 신용하였. 야마나카 카츠시게는 “츠네히사를 위해 충성을 다하였건만 사소한 죄를 하나 지었다고 저를 쫓아내어 여기로 왔는데, 츠네히사는 제 부인과 자식, 늙은 모친마저 감옥에 가두고 학대하고 있습니다. 억울해 견딜 수 없으니 복수를 하고 싶습니다고 말했다. 감쪽같이 속아 넘어간 미사와는 정예 500명을 야마나카에게 맡겼고, 그는 이 500명을 이끌고 토다 성으로 데리고 갔다. 토다갓산에 도착한 야마나카 카츠시게는 성 안에 있는 자기의 옛 부하들에게 연락을 하여 내응하게 만든다며 사라졌고, 사라진 사이 츠네히사와 함께 병사들을 이끌고 와 미사와의 병사들을 격파하였다.

 

 아마고 씨는 이후 각지에 진출하여 산인산요우[山陽]11개 지역[]에 위세를 떨치는 거대 세력으로 발전해 간다. 그러나 증손자인 요시히사[義久]의 대가 되어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에게 멸망 당한다.

 

[아마고 쓰네히사(尼子 )]

키요사다[清定]의 아들. 이즈모[出雲], 오키[岐], 이와미[石見], 이나바[因幡], 호우키[伯耆]를 영유(領有). 모우리 모토나리도 한때 휘하에 두었다. 1541년 죽었다. 84세라고 한다.

  1. ‘아마코’라고 읽을 수도 있다고 한다. [본문으로]
  2.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지방관인 슈고[守護]의 대리. 오우닌의 난[応仁の乱] 이전만 해도 해당 지역에 가지 않고 주로 쿄우[京]에서 정무를 보았기에, 그런 슈고를 대신해서 해당 지역에 가서 실무를 보았다. [본문으로]
  3. 지금의 세관이라 할 수 있는 곳. 통과하려면 돈을 내어야 했다. [본문으로]
  4. 세키 통행을 위해 내는 돈. [본문으로]
  5. 이 사람의 손자가 후에 아마고 재흥군을 이끌게 되는 야마나카 유키모리[山中 幸盛=시카노스케[鹿之助]]이다. [본문으로]

아마고 쓰네히사[尼子 ]

154111 13일 병사(病死) 84

1458~1541

처음엔 이즈모[出雲] 슈고다이[守護代][각주:1]. 갓산토다 성[月山富田城]을 탈취한 후 이나바[因幡] 이서(以西)산인[山陰] 각지를 공략하여 아마고 씨() 전성기를 수립했다. 후에 손자 하루히사[晴久]가 오오우치 요시타카[大内 義隆], 모우리 모토나리[毛利 元就]와 대립하여 모토나리의 아키[安芸] 요시다 성[吉田]을 공격하지만 실패. 직후에 죽었다.








세 아들의 말로


 아마고 츠네히사에게는 마사히사[政久], 쿠니히사[国久], 오키히사[興久]라는 세 아들이 있었다.


 장남인 마사히사는 1516 8월. 히가시아요우[東阿用]의 사쿠라이 소우테키[桜井 宗的]를 공략하던 중 죽었다.
 전투 중에 죽은 것이 아니고 한 밤중에 망루에 올라가 피리를 불고 있다가 화살에 맞아 죽었다. 총사령관이 피리를 불다가 목에 화살을 맞아 죽었다는 것은 칭찬할 만한 일이 아니다. 장남은 그렇게 죽었다.[각주:2]


 둘째인 쿠니히사는 아마고 군()의 최정예부대인 신구우 당[新宮党][각주:3]을 이끌던 전투의 스페셜리스트였다.
 그러나 독불장군으로 주변과 다툼이 끊이지 않았기에 츠네히사가 죽은 후 조카인 하루히사[
晴久][각주:4]알력이 생겨 하루히사에게 죽음을 당했다. 츠네히사는 장남 마사히사가 죽은 뒤 둘째인 쿠니히사에게 가독을 물려줄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다. 아비의 눈으로 보아도 일족의 두령으로 삼기에는 불안했다.


 셋째인 오키히사는 엔야[塩谷]라는 지역에 3천관(貫)의 땅을 하사받아 이 땅을 통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영지(領地)가 너무 적다고 투정부리기 시작하여 하라테 군[
原手郡] 700백관을 더 달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자 아비인 츠네히사에게 반란을 일으키지만 패배하여 장인인 야마노우치 나오미치[山内 直通]가 지키는 빙고[備後] 카부토야마 성[甲山城]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2년 뒤에 자신의 미래를 자책하였는지 자살했다. 38세였다.


11(州)[각주:5]의 영주(領主)


 츠네히사는 84세에 죽었기에 센고쿠[戦国] 무장 중에선 장수한 편에 속한다.
 이즈모 슈고다이는 대대로 갓산토다 성()을 거성(居城)으로 삼고 있었으며, 일시 여기에서 쫓겨났던 츠네히사는 실력으로 슈고다이의 직책을 되찾아 이즈모 전역에 세력을 뻗쳤다. 그의 실력과 전투 방식은 굉장히 뛰어나 이즈모의 호족들을 계속해서 제압하여 자기 세력으로 편입시켰다.


 이즈모를 제패하자 이어오키[隠岐], 호우키[伯耆], 이나바[因幡]로 진출하였고 이와미[石見], 빙고[備後], 빗츄우[備中], 비젠[備前], 미마사카[美作], 아키[安芸], 하리마[播磨]영유(領有)하기에 이르렀다. 후에 모우리 모토나리에게 전부 빼앗기지만 츠네히사의 이런 파죽지세는 놀라울 따름이다. 호우죠우 소우운[北条 早雲]사이토우 도우산[斎藤 道三]이라도 지배한 나라[国]의 수에 있어서 츠네히사에겐 미치지 못했다.


 1537년. 츠네히사는 80세였다.
 장남 마사히사의 아들 하루히사는 24세가 되어 있었다. 츠네히사가 손에 넣은 11개국 중에서 빗츄우[備中], 미마사카[美作], 하리마[播磨]는 하루히사가 원정하여 전과를 올린 부분도 있었기에 하루히사의 실력은 그럭저럭 인정받고 있었다. 1537년 츠네히사는 은퇴하여 손자인 하루히사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 아마고 씨()의 흥망사(興亡史)에 있어서 이 시점이 가장 전성기였으며 빛나고 있었다.


 츠네히사는 동생인 요시카츠[義勝 – ‘시모츠케노카미 히사유키[下野守 久幸]라고도 한다]를 하루히사의 후견인으로 삼았다. 츠네히사는 누구보다도 이 동생인 요시카츠를 신뢰하였으며, 장남 마사히사가 죽었을 때 동생 요시카츠에게 가독을 물려주려고 했을 정도였기에 둘째 쿠니히사, 셋째 오키히사가 이런 아비의 마음을 읽고 불만이 생겨 이후의 행동에 영향을 끼쳤다는 말도 있다.


원정 대패 후의 죽음


 1539. 하루히사는 친척이나 중신(重臣)을 모아서,
 모우리 모토나리의 본거지인 아키[安芸] 요시다[吉田]의 코오리야마 성[郡山城]을 공격하려 하는데 모두 어떻게들 생각하나?”

 하고 물었다. 츠네히사는 82세로 이때는 이미 병상(病床)에 누워있었기에 군의(軍議)의 자리엔 없었다. 단순한 노쇠(老衰)인지, 중풍(中風)과 같은 중병이었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코오리야마로 공격'에 관해서 참가한 사람 중 가장 격()이 높다고 할 수 있는 츠네히사의 동생 요시카츠가,

 “좀 더 지켜보는 편이 좋겠습니다. 모토나리는 뛰어난 영걸이기에 그리 쉽게 이길 수 없습니다"
 며 반대하였다.


 그러나 하루히사는 듣지 않았고 아키[安芸] 요시다로 원정을 결정했다. 병상의 츠네히사는 요시카츠에게 이 회의의 결과를 듣고,

 “성급해서는 안 된다. 하루히사가 생각을 돌릴 수 있게 잘 말해주길 바란다
 고 말했지만, 하루히사는 역시 듣지 않았다.


 1540 9월 말.
 하루히사는 3만의 군세를 이끌고 아키(安芸) 요시다로 원정을 떠났다. 코오리야마 성을 포위한 아마고의 군세는 연전연패하였고, 다음 해인 1541 1월에도 대패(大敗)하여 도망치기에 이르렀다. 요시카츠를 시작으로 많은 전사자(戰死者)가 생겼을 뿐만 아니라, 아마고 휘하 13명의 유력무장이 오오우치 요시타카[
大内 義隆](모우리와 동맹)에게로 도망쳤다. 이 배반은 아마고에게 있어선 뼈아팠다.


 츠네히사가 이 결과를 듣고 어떠한 생각을 가졌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해의 11 13일에 갓산토다 성에서 죽었다.

  1.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의 지방장관(地方長官)인 슈고[守護]의 대리인(代理人). 보통 슈고는 쿄우[京]에 머물면서 막부의 정치에 관여하였고, 여러 지역을 가진 슈고일 경우 그 지역에 가지 않은 채 가신 혹은 친척에게 대신 그 지역을 통치시켰는데 그런 사람을 슈고다이[守護代]라 하였다. [본문으로]
  2. 이 글의 필자는 문약한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인상이 있지만 역사상 마사히데는 아버지를 도와 아마고 씨의 전성기를 이끈 문무겸비의 무장이었다고 한다. [본문으로]
  3. 갓산토다성의 북쪽 기슭에 있는 ‘신구우[新宮]’라는 골짜기에 본거지가 있었기에 그런 이름이 붙었다. [본문으로]
  4. 마사히사의 아들. [본문으로]
  5. 일본 지방단위인 국[国]의 다른 표현. [본문으로]